$\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칼륨혈증과 횡문근융해증으로 발현한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1예
Primary Aldosteronism Presenting as Hypokalemia and Rhabdomyolysis 원문보기

대한임상신경생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linical neurophysiology, v.18 no.1, 2016년, pp.21 - 24  

박기홍 (경상대학교병원 신경과) ,  김수경 (경상대학교병원 신경과) ,  조은빈 (창원경상대학교병원 신경과) ,  정희정 (창원경상대학교병원 신경과) ,  최낙천 (경상대학교병원 신경과) ,  권오영 (경상대학교병원 신경과) ,  임병훈 (경상대학교병원 신경과) ,  함종렬 (경상대학교병원 신경과) ,  박기종 (창원경상대학교병원 신경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imary aldosteronism is one of the most common cause of secondary hypertension and can be accompanied with hypokalemia. Rhabdomyolysis with hypokalemia in primary aldosteronism has been rarely reported. We describe a patient of primary aldosteronism who presented with limb-girdle type weaknes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2 지속적이고 심한 저칼륨혈증은 횡문근융해증의 발생인자가 될 수 있는데 지금까지 원발성 알도스테론증의 일부 환자에서 저칼륨혈증과 횡문근융해증(rhabdomyolysis)이 동반된 예가 보고되어 있는 상태이다.3-6 저자들은 근위부 위약감과 잘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으로 내원한 젊은 여성에서 저칼륨혈증에 동반된 횡문근융해증을 관찰하였고, 좌측 부신절제술을 통해 알도스테론 분비 종양으로 확진한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횡문근융해증은 어떠한 상태를 말하는가? 횡문근융해증은 골격근의 손상으로 인해 세포내 성분이 체순환계로 유리되는 상태를 일컬으며 원인으로는 약물, 외상, 과다한 운동, 근육허혈, 감염, 전해질 및 내분비계 이상 등이 알려져 있다. 8 이 중 저칼륨혈증이 횡문근융해증을 유발하는 기전은 아직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는 않으나, 저 칼륨혈증에 의해 모세혈관이 수축하여 근육에 혈류가 감소하여 근세포가 융해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며, 대개는 2.
원발성 알도스테론증의 진단은 Endocrine Society 지침에 따라 어떤 경우 선별검사를 실시하는가? 1 알도스테론은 부신의 사구층(zona glomerulus)에서 분비되는 부신피질호르몬의 하나로 나트륨의 재흡수 및 칼륨의 요 배출을 촉진하며, 나트륨의 저류로 고혈압이 발생하며 칼륨 배출 증가로 저칼륨혈증이 동반될 수 있다. 7 따라서 고혈압과 저칼륨혈증이 동반되어 있는 환자에서 원발성 알도스테론증은 감별진단에 시켜야 하며 Endocrine Society 지침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경우 선별검사를 시행한다; (1) Joint National Commission 2단계(수축기/이완기혈압 >160-0-179/100-109 mmHg) 및 3단계 고혈압(>180/110 mmHg); (2) 약제 저항성 고혈압; (3) 자발 저칼륨혈증 혹은 이뇨제유발저칼륨증이 동반된 고혈압; (4) 부신 우연종(incidentaloma)이 동반된 고혈압; (5) 조기발현 고혈압 혹은 40세 미만에서 발생한 뇌혈관발작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6)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환자의 직계 가족. 1선별검사로 혈장알도스테론/레닌활성도 비를 구하여 20-40 이상일 때 추가 검사를 시행하며, 나트륨부하검사를 실시하여 혈장알도스테론이 10 ng/dL 이상일 때 확진할 수 있다.
원발성 알도스테론증이란? 원발성 알도스테론증(primary aldosteronism)은 이차성 고혈압 원인 중 가장 흔한 내분비질환으로 낮은 혈장 레닌 (renin) 수치와 함께 알도스테론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되어 있으면서 부하검사에서 억제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1 고혈압과 함께 특징적으로 저칼륨혈증이 동반될 수 있는데, 이전에는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진단 당시 약 반수 이상에서 발견되었으나 최근 이 질환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고 부신 우연종의 발견 등으로 조기 진단이 되면서 약 18% 정도에서만 저칼륨혈증 동반이 확인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Funder JW, Carey RM, Fardella C, Gomez-Sanchez CE, Mantero F, Stowasser M, et al. Case detection, diagnosis, and treatment of patients with primary aldosteronism: An endocrine society clinical practice guideline. J Clin Endocrinol Metab 2008;93:3266-3281. 

  2. Omura M, Sasano H, Saito J, Yamaguchi K, Kakuta Y, Nishikawa T.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ldosterone-producing microadenoma, macroadenoma, and idiopathic hyperaldosteronism in 93 patients with primary aldosteronism. Hypertens Res 2006;29:883-889. 

  3. Lee JH, Kim E, Chon S. Hypokalemia-induced rhabdomyolysis by primary aldosteronism coexistent with sporadic inclusion body myositis. Ann Rehabil Med 2015;39:826-832. 

  4. Park W, Kim DH, Han KC, Bae YH, Kim SH, Ju JH, et al. A case of primary aldosteronism with rhabdomyolysis. Korean J Nephrol 2005;24:845-850. 

  5. Kim B, No HJ, Lim YH, Kim HJ, Kim HY, Park BH, et al. A case of primary aldosteronism accompanied by rhabdomyolysis. Korean J Med 2006;70:261-266. 

  6. Kim HI, Baek SA, Hwang HS, Lee WH, Kang GW, Lee IH. A case of primary aldosteronism accompanied by hypokalemic rhabdomyolysis. Yeungnam Univ J Med 2012;29:113-117. 

  7. Chao CT, Wu VC, Kuo CC, Lin YH, Chang CC, Chueh SJ, et al.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rimary aldosteronism: an updated review. Ann Med 2013;45:375-383. 

  8. Zimmerman JL, Shen MC. Rhabdomyolysis. Chest 2013;144:1058-1065. 

  9. Ellison DH, Loffing J. Thiazide effects and adverse effects: Insights from molecular genetics. Hypertension 2009;54:196-202. 

  10. Furberg CD, Wright JT, Davis BR, Cutler JA, Alderman M, Black H, et al. The ALLHAT Officers and Coordinators for the ALLHAT Collaborative Research Group. Major outcomes in high-risk hypertensive patients randomized to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 or calcium channel blocker vs diuretic. J Am Med Assoc 2002;288:2981-29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REEN

저자가 공개 리포지터리에 출판본, post-print, 또는 pre-print를 셀프 아카이빙 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