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대건축의 색채구조를 적용한 공간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ce interpretation by Application of Color Structure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20 no.3 = no.86, 2011년, pp.152 - 160  

김선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temporary architecture pursues new method of Interpretation of Non-linear space as digital media appears. As various materials and new methods can be used due to developments in science and expansion of thinking, contemporary architectural color developed extensive possibilities. It means not on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I)라는 제프리 쇼 (Jeffrey Shaw)의 언급처럼, 디지털미디어 시대의 색채는 다원화된 관계를 수용하여 유동적인 패러다임을 구현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건축색채의 인지 과정을 통하여 현시대에 적합한 색채구조를 개념화하고자 한다. 이러한 관점은 색채지각의 3요소인 광원, 반사체, 관찰자를 바탕으로 색, 형태, 시퀀스로 유형화하여 물리적인 색과 건축색채, 그리고 환경색채로 이루어진 색채구조를 적용한 공간해석을 제시하고자 한다.
  • 왜냐하면 건축색채는 건축가의 심상과 직관력 등의 아이디어가 공간에 아이덴티티를 부여하는 특성을 갖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채지각 3요소를 토대로 물리적 현상의 빛 성질에 따른 물체색, 투과색, 광원색3)의 속성에서 건축색채를 유형화한 후 각각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한다. 따라서 건축색채의 구성요소인 빛, 조형, 시공간의 특성에서 색, 형태, 시퀀스로 확장된 개념을 본 절에서 다루고자 한다.
  • 시공간은 서로 긴밀히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절에서는 이러한 근거로 건축색채의 구성요소별 의미와 그 세부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건축색채는 고립된 존재로 인식되지 않기 때문에, 건축적 맥락 뿐 아니라 환경요소 및 색채 구성요소를 함께 살펴보아야 한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건축색채의 인지 과정을 통하여 현시대에 적합한 색채구조를 개념화하고자 한다. 이러한 관점은 색채지각의 3요소인 광원, 반사체, 관찰자를 바탕으로 색, 형태, 시퀀스로 유형화하여 물리적인 색과 건축색채, 그리고 환경색채로 이루어진 색채구조를 적용한 공간해석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사례분석을 거쳐 시사점에 도출한 후, 향후 건축색채의 공간해석 방법론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디지털 예술의 형태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가능성의 상호작용 안에서 이루어질 것이다.I)라는 제프리 쇼 (Jeffrey Shaw)의 언급처럼, 디지털미디어 시대의 색채는 다원화된 관계를 수용하여 유동적인 패러다임을 구현하고 있다.
  • 빛은 시간이고 색은 공간이다.9)빛과 그림자로 구축된 색채는 시공간을 통해 비로소 그 대상성이 완성된다. 비연속적인 시공간의 흐름과 차원을 추적하여 과거와 현재와 미래의 색채는 계속 생성, 팽창, 반복, 재생된다.
  • 병치되어 새로운 공간(space)이 추가된다. 따라서 물리적인 혼용의 징후가 나타나는 표피색채와 달리, 어떠한 변형을 통해 간략화, 상징화 등의 추상의 가정을 추가한다. 왜냐하면 공간의 색은 대상의 내면에서 살아 움직이는 내적 본질을 나타내어, 인간 체험을 통해서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예컨대 하나의 공간색채를 생각할 때, 우리의 두뇌 속에는 본질 색-표피색채-이 담겨있지 않고, 그 색채에 의한 심상과 다듬어진 기억이 남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El Croquis 139: Sanaa Sejima Nishizawa 2004-2008, El Croquis, 2008 

  2. Principles of Color: A Review of Past Traditions and Modern Theories of Color Harmony, Schiffer Publishing; Rev Sub edition, 1987 

  3. 김선영, 디지털공간의 건축색채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통권 제81호, 2010.08 

  4. 김선영, 현대건축의 색채해석 방법론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박논, 2010.12 

  5. 이경훈, 이윤진, 디지털건축에 있어서 형태생성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통권 제25호, 2009.03 

  6. 최은신, 디지털 건축에서 공간의 하이브리드 특성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1권 1호, 2010.02 

  7. http://architecturerevived.blogspot.com/ 

  8. http://blog.xkcd.com/2010/05/03/color-survey-results/ 

  9. http://www.aic-color.org/news/news23-10.pdf 

  10. http://www.sauerbruchhutton.com/ 

  11. http://www.unstudio.com/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