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놀이특성 및 상호작용적 또래놀이가 유아의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Play Characteristics, Interactive Peer Play, and Preschool Children's Behavior According to Teacher's Evaluations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2 no.4, 2011년, pp.135 - 146  

황윤세 (강원대학교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play characteristics, interactive peer play and Preschool children's behavior. The subjects of this consisted of 235 3- to 5-year-old children resident in Gyeonggi Provinc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st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의 긍정적인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적응력(김경숙, 2001), 사회적 기술(김수영, 2000)등과 관련성을 보고하였고,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의 부정적인 요소들은 자아통제감이 낮고, 평소의 놀이 활동에 적극적이지 못함(김수영, 2000; Fantuzzo & Mendez, 1998)을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놀이가 유아행동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유아의 행동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 유아의 문제 행동에 대한 연구는 문제 행동의 개념만큼이나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Behar과 Stringfield가만 3세에서 6세 유아의 행동 및 부적응 행동을 검사하기 위해 개발한 The Preschool Behavior Questionaire를 사용하고자 한다. 이 도구에서는 공격성, 불안, 과활동성 및 산만의 세 가지 범주로 나누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놀이 특성, 상호작용적 또래놀이, 그리고 행동 특성 간의 상관관계와 놀이특성과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의 각 하위 구성요소들이 행동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놀이특성, 상호작용적 또래놀이 및 행동 특성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유아의 놀이 특성은 유아의 행동 특성에 음의 영향을 미치며,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의 하위요인 중 부정적인 놀이 맥락인 놀이 방해와 놀이 단절이 유아의 행동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이와 같이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유아들에게 중요한의미를 지니는 놀이활동과 유아의 행동특성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은 놀이 중심의 유아 교육에 보다 의미있는 교육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이들 변인간의 관련성을 밝힘으로 유아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들은 놀이를 통하여 무엇을 경험하게 되는가? 유아의 놀이 행동은 인간의 여러 측면이 통합되어 나타나므로 유아 중심의 놀이는 유아의 통합적인발달의 기초가 된다(박유영․이수기․윤현숙․홍혜경, 2007). 유아들은 놀이를 통해 사회적 상호작용을 경험하고 자신과 타인의 다른 관점을 인식하고 자신을 탈중심화하고 마음이론을 발달시키게 되므로 사회적 능력이 발달하게 된다(Fromberg, 2002). 또한 유아의 놀이경험은 예측능력, 언어발달과 인지발달(Pellegrini & Galda, 1982), 지각능력을 발달(윤애희, 2004)시킨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은 놀이와 발달과의 관계를 밝히는 것으로 이는 유아교육 분야의 일반적인 견해이다.
유아들의 일상생활은 무엇으로 이루어지는가? 유아들의 일상생활은 놀이로 이루어진다. 유아의 어떠한 발달 영역이든 유아에게 적합한 교육방법은 ‘놀이’라는 것(Van Hoon, Nourot, Scales, & Alward, 2003)에는 이견이 없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유아의 놀이 특성, 상호작용적 또래놀이, 그리고 행동 특성 간의 상관관계와 놀이 특성과 상호작용적 또래 놀이의 각 하위 구성요소들이 행동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한 결과는 무엇인가? 우선, 연구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아의 행동특성 전체 및 그 하위요인(공격성, 불안, 과잉행동 및 산만)들은 놀이특성의 모든 하위 구성요소,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의 하위구성요소인 놀이상호작용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아의 행동 특성 및 그 하위요인들은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의 하위요인인 놀이방해와 놀이단절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유아의 행동 특성은 그 하위요인이 공격성, 불안, 그리고 과잉행동 및 산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유아의 부정적인 행동을 평가하고 있다. 유아의 문제행동 및 부정적인행동들은 주로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들의 놀이 행동과 관련이 있음(Coplan, Gavinski-Monlia, Lanace-Seguin, & Wichmann, 2001)을 보고하고 있다. 즉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문제 행동을 보이는 유아들의 놀이 행동과 일반 유아들의 놀이 행동을 비교하는데, 과잉 행동의 유아들은 다른 정상적인 유아들에 비해 많은 수의 놀잇감을 이용하지만, 한 가지 놀잇감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놀이의 지속시간이 짧고, 놀이의 주제가 제한적이라고 보고하였다. 또한 Rubin(1982)에 의하면, 유아들의 극놀이 맥락에서 혼자놀이에 많이 참여하는 유아들은 또래와의 놀이에서 거부당하는 경향이 많고, 교사에 의해 사회적인 부적응아로 평가되는 경우가 있다. 물론 김민정과 엄정애(2005)의 연구에서는 외적으로 혼자놀이를 한다고 해서 문제의 유아라고 판단하기 보다는 놀이의 맥락을 고려하여 평가하여야 함을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살펴 볼 때, 유아의 부정적인 행동 특성은 유아의 놀이와 관련이 있으며, 특히 긍정적인 놀이 맥락과는 부정적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유아의 놀이특성,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의 각 하위변인들이 유아의 행동 특성 및 그 하위 요인 각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 결과 유아의 행동 특성 전체에는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의 하위요인인 놀이방해와 놀이단절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놀이특성의 하위요인인 인지놀이, 운동놀이, 정서놀이가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 행동 특성의 하위요인인 공격성에 대해서는 놀이방해, 놀이단절 그리고 정서놀이가 음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불안요인에 대해서는 놀이단절, 놀이방해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운동놀이와 인지놀이는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잉행동 및 산만 요인에 대해서는 사회놀이, 운동놀이, 인지놀이가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놀이단절 및 놀이 방해 역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행동특성에 대해서는 놀이특성은 주로 음의 영향을 미쳤으며,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의 부정적인 요인인 놀이방해와 놀이단절이 유아의 행동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와 관련하여, 선행연구(안효진․임연진, 2010)에서는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의 점수가 높을수록 놀이성에 높게 나타난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놀이중심의 교육을 강조하는 유아교육의 근본 맥락을 뒷받침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Coplan, Gavinski-Monlia, Lanace-Seguin, 그리고 Wichmann, 2001 (2001)의 연구에서, 일상생활의 맥락에서 유아가 놀이 활동을 통해 능동적인 경험을 얼마나 많이 하는지에 따라 놀이성 혹은 놀이 활동이 달라진다는 결과는 본 연구의 결과를 간접적으로 뒷받침하는 연구결과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안효진․임연진, 2010)에서는 놀이성의 하위요인에 따라 영향을 주는 변인이 달라짐을 보고하였다. 특히 놀이성의 신체적자발성은 유아의 행동특성은 정적인 관련성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의 놀이특성 중 운동놀이는 유아의 행동 특성에 대해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상반성에 대해, 이희선(1994)은 유아의 활동성이 높으면, 교사들은 유아가 문제행동을 보인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주도성을 가지고 독립적으로 놀이활동에 참여하는 유아도신체적 자발성 혹은 운동 놀이 경향이 높게 나타날 수도 있고, 동시에 유아의 미숙한 대근육 혹은 소근육의 사용으로 인해 나타나는 행동을 부정적인 행동 특성이라 해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주의가 요구된다. 한편,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의 하위요소(놀이상호작용, 놀이방해, 놀이단절) 중 부정적 맥락인 놀이방해와 놀이단절은 유아의 행동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와 관련하여, 선행연구에서는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와 유아의 행동 특성을 직접적으로 밝힌 선행연구는 없지만, 상호작용적 놀이의 놀이상호작용은 놀이성과 관련이 있으며(박화윤외 2004), 유아의 놀이성향은 또래유능성과 친사회적인 행동을 많이 하는 유아들의 행동 특성인것으로 선행연구(김수영, 2000)에서 보고하였다.이러한 놀이맥락에서 놀이방해와 놀이단절과 같은 부정적인 놀이 맥락은 유아의 부정적인 행동특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김경숙(2001).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놀이상호 작용 및 적응행동과의 관계.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김민정?엄정애(2005). 유아의 혼자놀이와 기질 및 문제행동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6(5), 1-14. 

  3. 김수영(2000). 유아의 또래수용도, 놀이상호작용 및 놀이형태와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0(3), 47-66. 

  4. 김혜수(1995). 어머니와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기질과 유치원에서의 행동 및 적응과의 관계. 이화여자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박수윤(2004). 유아의 기질 및 자아개념과 교사-유아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박유영, 이수기, 윤현숙, 홍혜경 (2007). 유아의 놀이 특성에 대한 또래 수용도 및 유치원 적응력과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1(3), 227-246. 

  7. 박화윤?마지순?천은영 (2004). 유아의 놀이성과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9(4), 285-298. 

  8. 안효진?인연진(2010). 유아의 놀이성, 적응 그리고 문제 행동과의 관계성 연구. 아동학회지, 31(2), 53-68. 

  9. 윤애희(2004). 교사를 위한 유아놀이 지도. 서울: 창지사. 

  10. 이희선(1994). 어머니와 교사가 지각한 아동의 기질 및 유치원 적응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15(2), 117-128. 

  11. 지성애(2007). 유아놀이척도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1(10), 65-84. 

  12. 최인숙?천은영(2005). 유아의 성격 유형에 따른 놀이 형태와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0(1), 169-186. 

  13. Coplan, R. J., Gavinski-Monlia, M., Lanace-Seguin, D. G., & Wichmann, C. (2001). When girls versus boys play alone:Nonsocial play and adjustment in Kindergarten. Developmental Psychology, 37 (4), 464-474. 

  14. Fantuzzo. J., & Mendez, J. E. (1998). Parental Assessment of Peer Play:Development and Validationof the Parent Version of the Penn Interactive Play Scal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3 (4), 659-676. 

  15. Fantuzzo, J., Sutton-Smith, B., Coolanhan, K., Manz, P., Canning, S., & Debnam, D. (1995). Assessment of preschool play interaction behaviors in young low-income children: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0, 105-120. 

  16. Fromberg, D. P. (2002). Play and mean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oston:Allyn and Bacon. 

  17. Gresham, F. M., Elliott, S. N., & Black, F. L. (1987). Factor structure replication and bias investigation of teacher rating of social skill.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25, 81-92. 

  18. Ledingham, J. E., & Younger, A. J. (1985). The influence of the evaluator on assessments of children's social skills. In B. H. Schineider, K. H. Rubin, and J. E. Ledingham (Eds.). Children's peer relations:Issues in assessment and intervention (pp. 111-121). New York:Springer-Verlag. 

  19. McAfee, O., & Leong, D. J. (2007). Assessing and Guiding Young Children's Development and Learning (4th Ed.). Boston:Allyn and Bacon. 

  20. Ollendick, T. H., Oswald, D. P., & Francis, G. (1989). Validity of teacher nominations in identifying aggressive, withdrawn, and popular children.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8, 221-229. 

  21. llegrini, A. D., & Galda, L. (1982). The effects of thematic-fantasy play training on the development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19(3), 443-452. 

  22. Rubin, K. H. (1982). Nonsocial play in preschoolers: Necessarily evil? Child Development, 53, 651-657. 

  23. Von Hoorn, J., Nourt, P., Scales, B., & Alward, K. (2003). Play:at the center of curriculum. NJ: Merril Prentic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