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의 기질 및 주장적 행동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 Temperament, Assertive Behavior,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on Academic Achievement in Late Childhood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2 no.6, 2011년, pp.15 - 32  

조희원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  박성연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  지연경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mechanisms by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child temperament influences academic achievement in late childhood.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effects of child temperament on achievement would be mediated by assertive behavior on the part of children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연구는 학령기 아동의 기질 및 주장적 행동과 어머니 양육행동, 그리고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및 그 경로를 밝히는데 연구의 일차적인 목적을 두었다. 또한 이차적으로 아동의 기질 및 주장적 행동, 어머니 양육행동, 아동의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가 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이는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 연구가 거의 없는 상황이지만 부모의 양육행동이 여아보다 남아의 학업성취도를 더 잘 설명해 주며(황매향, 2006; 황지현, 2006), 학습자의 스트레스(양애경 · 조호제, 2009)나 시험불안(송숙희 · 김재은 · 정현지, 1991)등의 개인의 내적 요인이 남아보다 여아의 학업성취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몇몇 연구결과에 근거해볼 때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도 성차가 나타날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이다.
  • 본 연구는 아동의 기질 및 주장적 행동, 어머니 양육행동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구조모형을 통해서 분석하는 한편, 그 경로에 있어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가 성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 아동 65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학업성취도를 제외한 모든 자료는 자기보고식 질문지 자료에 기초하였다.
  • 또한 아동의 기질 및 주장적 행동, 어머니 양육행동과 학업성취도의 네 변인들 간 구조적 관계를 경험적으로 밝힌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어 이들 변인 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거나 학업성취도를 높이는데 필요한 양육시사점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연구는 학령기 아동의 기질 및 주장적 행동과 어머니 양육행동, 그리고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및 그 경로를 밝히는데 연구의 일차적인 목적을 두었다. 또한 이차적으로 아동의 기질 및 주장적 행동, 어머니 양육행동, 아동의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가 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기질의 정의나 선행연구를 통해 짐작할 수있듯이 아동의 기질은 직접적으로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아동의 행동과 발달 및 성격의 기초가 되므로(Goldsmith & Rothbart, 1996), 본 연구의 관심사 중 하나인 주장적 행동과도 관련될 것으로 가정된다.
  • 주1) 제시된 수치는 표준화 추정치임.
  • 주2) 측정오차항은 생략함.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1960년대부터 시작된 학업성취도에 관한 국내 · 외 선행연구들을 고찰해 보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크게 아동의 개인적 특성변인과 다양한 맥락의 환경적 변인에 관심을 두어왔다고 할 수 있다. 아동의 개인적 특성 변인으로는 연구 초기의 경우 특히 지능에 관한 연구로부터(예; 김정휘, 1972; Simons, 1975) 자아개념(예; 서용선, 1982)이 주류를 이루어 왔으며, 이외에도 환경적 변인인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박창남․도종수, 2005; De Graaf & Ganzeboom, 1993)가 꾸준한 관심을 받아왔다.
기질이란 무엇인가? 성격의 토대로서 생물학적 요인에 근거하는 행동적인 개인차로 정의되는 기질(Goldsmith & Rothbart, 1996)은 부모의 양육행동 및 아동의 사회적 행동특성과도 밀접한 관련을 가져, 학업성 취도에 직접적으로 뿐만 아니라 위와 같은 변인들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된다. 예를 들어,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적 특성은 부모의 강압적, 통제적인 양육행동과 관련이 있으며, 적극적이고 자기규제를 잘하는 기질적 특성은 어머니의 온정적이고 반응적인 양육 행동과 관련이 있다(Sanson, Hemphill, & Smart, 2004).
아동의 기질 및 주장적 행동, 어머니 양육행동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구조모형을 통해서 분석하는 한편, 그 경로에 있어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가 성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조사분석 한 결과와 결과를 토대로 논의한 내용은 무엇인가? 첫째, 아동의 기질은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 양육행동과 아동의 주장적 행동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즉 기질적으로 낯선 대상 및 상황에 대해 접근을 잘 하고 긍정적 정서성이 높으며 끈기가 있는 아동일수록 주장적으로 행동하고 어머니로부터 애정적이고 수용적이며 합리적인 양육을 받는 반면, 통제적 양육은 덜 받았다. 이는 긍정적 정서성이 높고 적극적인 기질의 아동이 어머니의 애정적인 양육행동을 이끌어 낸다는 연구결과(김은진 외, 2009; Sanson et al., 2004)를 뒷받침해 주는 결과이다. 또한 낯선 대상에 대한 접근성 및 긍정적 정서성이 높고 끈기가 있는 기질이 주장적 행동의 발달을 격려한다는 본 연구결과는 탈 억제적인 아동, 즉 새로운 대상에 대해 회피하기보다 접근성이 높은 아동이 주장적으로 행동한다는 Blatny와 동료들(2007)의 연구결과를 지지한다. 이외에도 유아를 대상으로한 연구이기는 하나 불안해하고 두려움이 많아 위험을 회피하는 기질의 유아에 비해 사회적 민감성과 인내력이 높은 기질의 유아가 주도력 및 리더십이 높았다는 서기남과 문혁준(2009)의 연구, 위험을 회피하지 않고 끈기가 있는 기질의 아동은 리더십이 높게 나타났다는 문혁준(2010)의 연구와도 맥을 같이 한다. 따라서 긍정적 기분, 끈기와 지구력, 그리고 새로운 것에 보다 적극적으로 접근하는 기질의 아동은 사회적 상황에서 지도력 있고 자신의 권리와 이익을 잘 챙기며 낯선 상황에서도 높은 적응력을 보일 수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가정했던 바와는 달리, 아동 기질은 주장적 행동에 미치는 경로에서 어머니 양육행동을 거치지 않고 직접적으로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행동이 아동의 주장적 행동의 발달을 격려하고 부정적 양육행동은 아동의 주장적 행동 발달을 저해한다는 연구결과(이지원, 1999)와는 일치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아버지 양육태도가 성역할고정관념 및 내적동기를 통해서만(즉 완전매개함) 여아의 주장적 행동에 영향을 미쳤다는 하수정과 박성연(2011)의 연구결과를 지지한다. 따라서 어머니 양육행동 또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대신 제 3의 변인을 통해 아동의 주장적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어, 이와 관련된 변인들의 매개효과를 포함하여 영향기제에 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둘째, 어머니 양육행동 및 아동의 주장적 행동은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쳐 어머니 양육행동이 애정 · 수용적이고 합리적이며 덜 통제적일수록, 또 아동이 주장적으로 행동할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았다. 이는 민주적이고 자율적인 양육태도를 지닌 부모의 자녀가 권위적이고 통제적인 양육태도를 지닌 부모의 자녀보다 학업성취도가 높다고 보고한 연구들(Bean et al., 2003; Bronstein et al., 2005)과 유사한 결과이다. 그러나 부모의 양육행동이 주도-지시적일수록 아동의 학업성취도가 높았다는 연구 결과(최옥희 · 김용미, 2008)나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학업성취도간의 관계가 나타나지 않은 연구(김은하, 2004; 차미탁, 2010; Hernandez, 2010)와는 다르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차이는 우선 연구대상의 차이에서 온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즉 최옥희와 김용미(2008)의 연구대상인 초등학교 1학년과는 달리, 본 연구의 대상인 초등학교 5학년은 인지적 · 사회적으로 성숙하고 자율성이 발달하는 시기로 부모의 주도-지시적인 양육보다는 애정적이고 합리적인 양육에 더 등정적인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 추측해 볼 수 있으나 이는 추후 연구를 통해 더 확인되어야 할 부분이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는 아동의 주장적 행동이 학교생활(이건순, 2003)이나 시험불안(권명선, 2001)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 결과에 더하여 주장적 행동이 학업성취에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본 연구의 가정을 지지하는 결과로도 볼 수 있다. 한편, 예상과는 달리 아동의 기질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있어, 어머니 양육행동 및 아동의 주장적 행동을 매개로하여 간접적으로만 영향을 미쳤다. 이는 아동의 기질이 학업 성취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주장(최옥희 · 김용미, 2008; Coplan.et al., 1999)과는 불일치하는 결과이다. 또한 아동의 기질적 특성중 지속성은 아동의 학업성취도와는 정적관계를 보인 한편, 활동성과는 부적관계를 나타냈던 선행연구 결과(윤정민, 1997; Al-Hendawi, 2010; Bramlett et al., 2000)와도 다르다. 이와 같은 결과는 기질은 아동이 선천적으로 가지고 태어나는 특성인 반면, 학업성취도는 아동이 성장하면서 외부적 변인들로부터 받게 되는 수많은 영향에 의해 좌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아동의 기질이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타고난 성향인 기질이 아동의 행동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거나 어머니 양육행동 등의 환경 변인에 영향을 미쳐, 그것이 다시 아동의 학업성취도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연구들은 대체로 상관관계에 기초하여, 기질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본 연구결과와는 다르게 나타난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더욱이 기질은 다차원적으로 구성된 개념임에 따라 기질을 측정하는 척도의 민감성이나 측정결과의 해석의 차이에 기인한 것일 수도 있을 것이다. 셋째, 아동의 기질과 주장적 행동, 어머니 양육행동 및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에 있어 성차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본 결과, 아동의 기질이 주장적 행동과 어머니 양육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동일하였으나 각 성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다른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남아의 경우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나 주장적 행동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수용적이고 자율적이며 통제적이지 않은 양육행동이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결과(Bean et al., 2003; Bronstein et al., 2005)와 맥을 같이 하며, 남아가 여아에 비해 부모와의 관계에 의해 보다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연구결과(황매향, 2006; 황지현, 2006)를 뒷받침한다. 반면, 이러한 결과는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부모 양육행동의 간접적 영향만을 언급한 다른 연구들(김승기, 2002; Bandura, Barbaranelli, Caprara, & Pastorelli, 1996)과는 다르다. 이러한 불일치한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부모의 양육행동을 함께 다루거나 아동의 성차를 고려하지 않았던 데 반해,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행동만을 변인으로 하여 아동의 성에 따른 영향력을 분석하였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라볼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남아의 주장적 행동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은 성에 따라 주장적 행동의 개념이 다르게 해석된 것에 기인할 수 있다고 본다. 다시 말해 일반적으로 여아에 비해 남아의 행동이 더 과격하게 나타 나기 때문에, 주장적 행동 역시 남아의 경우 학급 내 상황에서 자신을 나타내는 긍정적인 개념 으로 해석되기보다 부정적으로 인식되어 나타난결과라 추론해 볼 수 있다. 한편 여아의 경우 주장적 행동은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나 어머니의 양육 행동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리더십이 높고 주장적 행동을 하는 여아가 학업성취도 또한 높았다는 연구결과(하수정․박성연, 2011)와 일치하는 반면, 아동의 학업성취도에 있어 부모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주장(김의철 · 박영신, 2008)과는 상반된다. 여아에게서 나타난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학업성취도에 이르는 경로에 있어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또 다른 변인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 양육태도는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가장 잘 설명해 주며, 이러한 자기효능감은 다시 아동의 학업성취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쳤다(유미영 · 홍혜영, 2010). 또한 부-녀간 관계에 관련한 선행연구들에서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태도가딸의 인지적, 사회적 능력의 발달을 촉진시킴(하수정 · 박성연, 2011; Steinberg, 2001)을 밝히고 있다. 따라서 어머니 양육행동과 여아의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또 다른 변인을 포함한 연구 및 학업성취도에 선행하는 변인으로 어머니 양육행동과 아버지 양육행동을 함께 본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결론적으로, 접근성과 긍정적 정서성이 높고 끈기가 있는 기질은 주장적 행동을 이끌어내고, 어머니로 하여금 긍정적인 양육행동을 하도록했으며, 이는 다시 아동의 높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쳤다. 다시 말하면, 기질이 새로운 상황에 대해 적응적이고 긍정적 정서성이 높으며 일에 대한 끈기를 가지고 있는 아동일수록 주장적으로 행동하는 한편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애정적이고 합리적이었으며 학업성취도가 높았다. 또한 이러한 경로에 있어 남아와 여아 간 차이가 있어, 남아와 여아 모두 기질이 어머니 양육행동과 아동의 주장적 행동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으나 남아의 경우는 어머니 양육행동만이, 그리고 여아의 경우는 주장적 행동만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권명선(2001). 놀이 중심의 주장훈련이 초등학생의 시험불안 감소 및 주장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김계수(2007). AMOS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 

  3. 김상래(2002). 취업모의 자녀양육태도와 아동의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승기(2002).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조정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은진?박성연?임희수(2009). 아동의 성 및 기질, 남편의 양육지지와 어머니의 심리적 복지감이 걸음마기 아동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7(9), 71-82. 

  6. 김은하(2004). 부모의 양육태도와 통제소재,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도간의 관계. 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의철?박영신(2008). 한국 사회와 교육적 성취(2): 한국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대한 심리적 토대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14(1), 63-109. 

  8. 김정휘(1972). 창의력과 지능 및 학업성취의 관계분석.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지신(1996). 어머니의 전통-근대 가치관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김혜영(2000). 초기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이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0(10), 205-223. 

  11. 나미순(2006).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리더십간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남현우(2001). 검사 동등화 방법. 서울: 교육과학사. 

  13. 문혁준(2010). 취학전 남아와 여아의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기질, 또래 상호작용,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 가정환경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1(1), 35-46. 

  14. 박성연?유명희(1992). 온순한 유아와 까다로운 유아의 울음에 대한 어머니의 지각과 반응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12(2), 173-191. 

  15. 박성연.케네스 루빈(2008). 걸음마기 아동의 성, 기질 및 어머니의 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9(2), 109-124. 

  16. 박순길(2004).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적과의 관계.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박창남?도종수(2005).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정책, 22, 281-303. 

  18. 서기남?문혁준(2009). 유아의 리더십과 관련된 변인 연구:유아의 개인 변인과 환경 변인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7(5), 107-121. 

  19. 서용선(1982). 아동의 자아개념과 동료간 인기도 및 학업성취의 상관관계. 대한가정학회지, 20(4), 257-257. 

  20. 송숙희?김재은?정현지(1991). 시험불안과 학업성취와의 관계. 소아?청소년정신의학, 2(1), 11-23. 

  21. 송지준(2009).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 분석방법. 경기: 21세기사. 

  22. 양애경?조호제(2009). 중?고등학생의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차이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9(1), 1-18. 

  23. 유미영?홍혜영(2010).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교육심리연구, 24(4), 915-937. 

  24. 윤정민(1997). 중학생들의 기질이 과학 태도 및 성취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이건순(2003). 자기주장훈련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주장성 발달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이지원(1999). 부모의 양육태도가 또래로부터의 공격 피해에 미치는 영향:공격적 및 소극적 반응양식을 매개변인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조선일보(2009. 01. 01). 위기에 강한 한국의 저력:교육열 세계 최고. 미국 내 유학생 수 한국이 1위. http://news.chosun.com에서 2010. 12. 03. 인출. 

  28. 차미탁(2010).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진로성숙도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 한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최옥희?김용미(2008). 아동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 적응과 학업성취 차이에 대한 연구. 아동교육, 17(2), 275-285. 

  30. 하수정?박성연(2011). 아버지의 양육태도, 학령기 여아의 성역할 고정관념 및 내적동기가 여아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18(1), 133-149. 

  31. 황매향(2006).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관계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 차이. 아시아교육연구, 7(3), 187-203. 

  32. 황지현(2006).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3. Al-Hendawi, M. (2010). The predictiv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ment,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A 2-year longitudinal study of children at-risk. Doctoral dissertation,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34. Bandura, A., Barbaranelli, C., Caprara, G. V., & Pastorelli, C. (1996). Multifaceted impact of selfefficacy beliefs on academic functioning. Child Development, 67(3), 1206-1222. 

  35. Barber, B. K. (1996).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Revisiting a neglected construct. Child Development, 67(6), 3296-3319. 

  36. Bean, R. A., Bush, K. R., McKenry, P. C., & Wilson, S. M. (2003). The mpact of parental support, behavioral control, and psychological control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esteem of african american and european american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18(5), 523-541. 

  37. Blatny, M., Jelinek, M., & Osecka, T. (2007). Assertive toddler, self-efficacious adult:Child temperament predicts personality over 40 year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3(8), 2127-2136. 

  38. Bramlett, R. K., Scott, P., & Rowell, R. K. (2000). A comparison of temperament and social skills in predicting academic performance in first graders. Special Services in the Schools, 16(1), 147-158. 

  39. Bronstein, P. (1994). Patterns of parent-child interaction in Mexican Families:A cross-cultural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17(3), 423-446. 

  40. Bronstein, P., Ginsburg, G. S., & Herrera, I. S. (2005). Parental predictors of motivational orientation in early adolescence: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4(6), 559-575. 

  41. Coplan, R. J., Barber, A. M., & Legace-Seguin, D. G. (1999). The role of child temperament as a predictor of early literacy and numeracy skills in preschooIe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4, 537-553. 

  42. De Graaf, P. M., & Ganzeboom, H. B. G. (1993). Family back­ground and educational attainment in the Netherlands for the 1891-1960 birth cohorts. In Y. Shavit & H. Blossfeld (Eds.), Persistent inequality:changing educational attain ment in thirteen countries (pp. 75-99). Boulder, Colorado:Westview Press. 

  43. Goldsmith, H. H., & Rothbart, M. K. (1996). The Laboratory Temperament Assessment Battery. Prelocomotor Version, V.3.00. Unpublished manuscript. 

  44. Hernandez, A. A. (2010). The relationship among the nurturance and monitoring dimensions of parenting, academic self-concept, and acculturation i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Latino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45. Hu, L.,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6(1), 1-55. 

  46. Lorr, M., & More, W. W. (1980). Four dimensions of assertivenes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15(2), 127-138. 

  47. Sanson, A., Hemphill, S., A., & Smart, D. (2004). Connections between temperament and Social Development:A Review. Social Development, 13(1), 142-170. 

  48. Simons, J. (1975). How Effective is Schooling for Promoting Learning. World Bank Staff Working Paper. 

  49. Steinberg, B. S. (2001). The making of female presidents and prime ministers:The impact of birth order, sex of siblings, and father-daughter dynamics. Political Psychology, 22(1), 89-110. 

  50. Wang, M. C., Haertel, G. D., & Walberg, H. J. (1993). Toward a knowledge base for school learn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3(3), 249-294. 

  51. Windle, M., & Lerner, R. M. (1986). Reassessing the Dimensions of Temperamental Individuality Across the Life Span:The Revised Demensions of Temperament Survey (DOST-R).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1(2), 213-2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