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령 후기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중재하는 보호요인 : 자기통제력과 유머감각
Self-control and Sense of Humor as Moderating Factors for Negative Effects of Daily Hassles on School Adjustment for Children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0 no.2, 2009년, pp.113 - 127  

우소연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박경자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children's self-control and sense of humor could moderate negative effects of daily hassles on their school adjustment.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80 6th graders (468 boys, 412 girl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Children reported their daily hassles, school adj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자기 통제력 및 유머감각이 학교생활적응과 어떤 관계를 갖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통제력과 유머감각이 완화시키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자기통제력과 유머감각이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는 부정적 적응을 중재하는 보호요인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 즉, 아동이 스트레스를 받더라도 아동의 개인적인 특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여그 영향력은 개인마다 다를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에 대한 적응의 여러 가지 보호요인 중, 아동의 개인 내적인 속성에 중점을 두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자기 통제력 및 유머감각이 학교생활적응과 어떤 관계를 갖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통제력과 유머감각이 완화시키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자기통제력과 유머감각이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는 부정적 적응을 중재하는 보호요인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유머감각이 중재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에 제시하였다.
  •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통제력이 중재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에 제시하였다.
  • 아동의 자기통제력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한 결과는 에 제시하였다.

가설 설정

  • 인간 발달에 관한 생태학적 관점에서는 아동의 발달이 복합적인 맥락 안에서 이루어지며 개인 내적 요인과 가족적 요인, 환경적인 요인들이 상호작용하여 영향을 미치지만(Bronfenbrenner, 1979), 개인이 환경과 상호작용을 할 때, 개인내적인 특성에 의해 환경을 여과하여 받아들인다고 가정한다(Bronfenbrenner & Morris, 199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령기 아동이 생애 어느 시기보다 일상생활에서 불안, 고통, 짜증과 같은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는 이유는? 학령기 아동은 인지적ㆍ사회적ㆍ신체적인 면에서 계속적인 성장 및 전이 과정과 질적인 변화를 경험하기 때문에, 생애 어느 시기보다 일상생활에서 불안, 고통, 짜증과 같은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한다. 일상의 사소한 스트레스들이 점진적으로 누적되면 개인의 안녕을 위협할 수 있음을 고려해볼 때(Morales & Guerra, 2006), 발달 하면서 그에 따른 일상의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학령기 아동은 신체적, 심리적, 정서적인 안녕을 쉽게 위협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된다(민하 영ㆍ유안진, 1998).
보호요인이란? 위험이나 스트레스를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도록 돕는 요인을 보호요인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보호요인은 가족과 관련된 것, 가족 외적인 부분과 관련된 것(학교 및 사회와 관련된 것), 아동 개인의 속성과 관련된 것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Garmezy, Masten, & Tellegen, 1984). 이러한 세 가지 유형의 보호요인들은 인간의 삶에 공존하면서 함께 영향을 주고받는다.
스트레스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아동의 유머 감각을 증진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고, 이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일상생활 속에서 유머 감각을 키울 방법을 고안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본 연구에서 유머감각의 중재효과가 미미하게 나타난 것은, 자기통제력의 경우와 유사하다. 연구 대상의 일상적 스트레스 수준이 낮았던 것이 공통적으로 적용되며, 유머감각 역시 표준편차가 작은 편이었고 학교적응에 대한 설명력도 자기통제력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재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회귀식및 상호작용항으로 인한 설명력 증가분이 유의 했다는 것은 아동의 유머감각이 일상적 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중재할 수있음을 추론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따라서 이를 바탕으로 하였을 때, 스트레스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아동의 유머감각을 증진시키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고, 이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일상생활 속에서 유머감각을 키울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김선희 . 김경연(2001). 학령기 아동의 행동문제 유형에 따른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인과모형. 아동학회지, 22(1), 19-34. 

  2. 문경숙(2008).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정신건강 : 자기통제 및 감정조절의 역할. 아동학회지, 29(5), 285-299. 

  3. 민하영 . 유안진(1998). 학령기 아동의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 척도 개발. 아동학회지, 19(2), 77-96. 

  4. 박성연 . 강지흔(2005). 남 . 여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 및 공격성과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6(1), 1-14. 

  5. 백혜정(2007). 자아통제, 자기신호 및 교사애착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19(2), 357-373. 

  6. 이경님(2000). 아동의 자기통제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인간발달연구, 7(1), 99-120. 

  7. 이재선(2005). 청소년의 유머감각과 유머스타일이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8. 임정순(1993). 아동의 의존성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9. Abel, M. H. (1998). Interaction of humor and gender in moderating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and outcomes. The Journal of Psychology, 132(3), 267-276. 

  10. Attar, B. K., Guerra, N. G., & Tolan, P. H. (1994). Neighborhood disadvantage, stressful life events and adjustments in urb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3(4), 391-400. 

  11. Baumeister, R. F., Heatherton, T. F., & Tice, D. M. (1994). Losing control : How and why people fail at self-regulation. San Diego, CA : Academic Press. 

  12.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13. Betts, L. R., & Rotenberg, K. J. (2007). Trustworthiness, friendships and self-control : Factors that contribute to young children's school adjustment.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6(5), 491-508. 

  14. Bronfenbrenner, U. (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Cambridge. MA : Harvard University. 

  15. Bronfenbrenner, U., & Morris. P. (1998). The ecology of developmental processes. In W. Damon(Series Ed.), & R. M. Lerner(Vol.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 Vol.1. Theoretical models of human development(5th ed., Vol.1, pp.993-1028). New York : Wiley. 

  16. Compas, B., Malcarne, V., & Fondacaro, K. (1988). Coping with stressful events in older children and young adolescent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Research, 56(3), 405-411. 

  17. Fabes, R. A., Eisenberg, N., Jones, S., Smith, M., Guthrie, I., & Poulin, R., et al. (1999). Regulation, emotionality, and preschoolers' socially competent peer interactions. Child Development, 70(2), 432-442. 

  18. Feldman, S. S., & Weinberger, D. A. (1994). Self-restraint as a mediator of family influences on boys' delinquent behavior : A longitudinal study. Child Development, 65(1), 195-211. 

  19. Finkenauer, C., Engels, R. C. M. E., & Baumeister, R. F. (2005). Parenting behaviour and adolescent behaviour and emotional problems : The role of self-control.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9(1), 58-69. 

  20. Fry, P. S. (1995). Perfectionism, humor, and optimism as moderators of health outcomes and determinants of coping styles of women executives. Genetic, Social, and General Psychology Monographs, 121(2), 211-245. 

  21. Garmezy, N., Masten, A. S., & Tellegen, A. (1984). The Study of stress and competence in children : A building block for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Child Development, 55(1), 97-111. 

  22. Haner, S. (1982). The Perceived Competence Scale for children. Child Development, 53(1), 87-97. 

  23. Haner, S. (1990). Issues in the assessment of the self-concep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A. LaGreca(Ed.), Through the eyes of a child(pp.292-325). Boston : Allyn & Bacon. 

  24. Korobkin, D. (1988). Humor in the classroom : Considerations and strategies. College Teaching, 36(4), 154-158. 

  25. Krueger, R. F., Caspi. A., Moffitt, T. E., White, J., & Stouthamer-Loeber, M. (1996). Delay of gratification, psychopathology, and personality : Is low self-control specific of externalizing problems? Journal of Personality. 64(1), 107- 129. 

  26. Kuiper, N. A., Grimshaw, M., Leite, C., & Kirsh, G. A. (2004). Humor is not always the best medicine : Specific components of sense of humo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umor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or Research, 17(1/2), 135-168. 

  27. Kumpfer, K. L. (1999). Factors and processes contributing to resilience : The resilience framework. In M. D. Glantz & J. L. Johnson(Eds.), Resilience and development : Positive life adaptations(pp. 179-224), New York : Kluwer academic. 

  28. Martin, R. A. (2007), The psychology of humor : An integrative approach. Burlington, MA : Academic Press. 

  29. Martin, R. A., & Dobbin, J. P. (1988). Sense of humor, hassles, and immunoglobulin A : Evidence for a stress-moderating effect of humor.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iatry in Medicine, 18(2), 93-105. 

  30. Masten, A. S. (1986). Humor and competence in school-aged children. Child Development, 57(2), 461-473. 

  31. McGhee, P. E. (1989). The role of humor in enhancing children's development and adjustment. In P. E. McGhee(Ed.), Humor and children's development(pp.249-274), NY : Haworth. 

  32. Mederios, D. C. Porter, B. J., & Welch, I. D. (1983). Children under stress : How to help with the everyday stresses of childhood,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Hall. 

  33. Morales, J. R., & Guerra., N. G. (2006). Effects of multiple context and cumulative Stress on urban children's adjustment in elementary school. Child Development, 77(4), 907-923. 

  34. Murphy, B. C. & Eisenberg, N. (1997). Young children's emotionality, regulation and social functioning and their responses when they are a target of a peer's anger, Social Development, 6(1), 18-36. 

  35. Murray, C. (2003), Risk factors, protective factors, vulnerability and resilience :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and supporting the adult transitions of youth with high incidence disabilities.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24, 16-26. 

  36. Nezu, A. M., Nezu, C. M., & Blissett, S. E.(1988). Sense of humor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 between stressful events and psychological distress : A prospective analysi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3), 520-525. 

  37. Pryor-Brown, L., & Cowen, E. L. (1989). Stressful life events, support, an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8(3), 214-220. 

  38. Southam, M. (2005), Humor development : An important cognitive and social skill in the growing child.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y in Pediatries, 25(1/2), 105-117. 

  39. Tangney, J. P., Baumeister, R. F., & Boone, A. L. (2004). High self-control predicts good adjustment, less pathology, better grades, and interpersonal success. Journal of Personality, 72(2), 271-32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