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화 갯벌식생범위의 시-공간적 변이 분석
The Analysis of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n the Vegetation Area of the Siwha Tidat Flat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0 no.3, 2011년, pp.349 - 356  

정종철 (남서울대학교 GIS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is aim to analyze of changing landscape and according to phenological cycle from image information of coastal environment obtained by multi-media were analyzed by camera and satellite image. The digital camera and satellite image were used for tidal flat vegetation monitoring during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장조사기법에 의해서 시화방조제 내만의 갯벌 식생을 구분하는 것은 광범위한 공간 영역의 변화 경향을 구분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에 의한 시계열 분석연구를 적용하기 위해 위성사진에 의해 광범위한 영역의 시-공간적인 변화를 관측하였다. 그림 8은 1996년부터 2003년까지 21개 Landsat 영상을 이용하여 연구 지역의 식생지역을 식생지수(NDVI)와 위색영상 (Landsat 4, 3, 2밴드 합성)에 의해 식생지역을 구분하고 SAM(Spectral Angle Mapper) 분류기법에 의해 분석된 결과를 식생이 점유하는 비율로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매립과 방조제 공사에 의한 연안지형의 변화특성, 이용형태 등의 측면에서 보편적으로 분포하는 자연해안지형과 인공지형이 연안환경변화에 미치는 인자를 해석하는 것으로 사진자료를 분석하였다(조동오, 2001). 조석은 해안 지역에 변화탐지를 수행할 때 중요한 요소가 된다.
  • 본 연구에서는 방조제와 연안 매립과 같은 인간의 간섭과 개발행위에 의한 연안지형과 경관변화의 환경요인을 통해 갯벌식생의 변화를 사진영상 정보를 통해 해석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특히 사진자료에 의한 갯벌식생의 공간적 변화와 지형경관의 변화에 따른 갯벌 지표식생의 변화를 장기간의 조사를 통한 사진자료와 위성영상(Landsat, KOMPSAT)을 바탕으로 해석하여 사진 정보에 의한 지형 및 경관의 해석에 필요한 요소를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시화방조제가 완공된 이후 간석지의 광역적인 분포 범위를 구분하는 것과 식생 단위의 분포가 공간적으로 구분되는 것을 위성영상에 의해 분석된 결과를 10년간의 현장조사 자료를 제시하여 검증하고 공간적 분포를 확인하였다. 다양한 매체에 의해 촬영된 사진 정보를 이용하여 광역적 범위의 공간해상력과 시계열적인 범위의 변화를 공간적으로 구분하여 생태정보의 해석을 통한 연안 환경변화의 요소를 탐지하고 이를 환경영향평가의 요소 인자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00년부터 3월, 5월, 8월, 9월, 10월 일정 주기를 가지고 현장조사를 실시하였고, 위성자료는 시화방조제 공사완료시점과 2010년까지의 자료를 해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안생태계의 식생, 토양, 물 성분의 특성과 갯벌식생의 생물계절주기를 분석하기 위해 연구지역의 인간에 의한 개발과 관련된 공간적 범위도 평가하였다. 그림 2와 같이 해안지형의 공간적 변화를 위성사진 자료를 통해 시계열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따른 지형적 변화와 식생환경의 변화를 현장조사 자료에 의해 위성사진 자료와 분류 정확도를 검증하고 식생지역 공간을 비교 분석하였다.
  • 이상적으로 변화탐지를 위한 다중 시기의 영상조건에서 조석 조건은 동일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 영상의 획득이 어려운 기상학적 제한과 시간해상력 등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또한 해안지역의 변화 탐지 연구를 위해 현장조사기법의 식생조사기법을 위한 사진자료의 활용 연구를 병행하였다. 이때 식생의 공간적 분포 변화와 식생 종의 공간변화의 정확한 변화량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평균조면(Mean Low Tide : MLT)에서 수집된 영상들을 사용하여 오차를 최소화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유용한 식생의 변화정보를 최대한 얻기 위해 생물계절 주기를 이용하여 필요한 현장 사진자료가 수집되도록 조사 시기를 정하였고, 구름 10 % 미만인 시화지역 Landsat(116-34)과 IKONOS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00년부터 3월, 5월, 8월, 9월, 10월 일정 주기를 가지고 현장조사를 실시하였고, 위성자료는 시화방조제 공사완료시점과 2010년까지의 자료를 해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 생육하는 염생식물은 몇 종이 보고되었는가? 5 이하인 곳을 의미한다(Clark, et al, 1980). 우리나라에 생육하는 염생식물은 총 16과 40여종이 보고 되었으며, 특히 서남해안 갯벌의 상부 지역에 그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염습지에서 염생식물 군락을 형성하는 식물 종들은 그 생육의 특징에 알맞은 입지 조건에서 자생한다.
염생식물에 대한 일반적인 정의는 무엇인가? 염생식물에 대한 정의는 학자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염분 생육지에 생육하는 육상 고등 식물을 광의의 염생식물로 지칭하며 염분 생육지란 포장용수로 토양이온을 추출하였을 때 NaCl의 농도가 최소 100 meq(milliequivalent)이며 pH가 8.5 이하인 곳을 의미한다(Clark, et al, 1980). 우리나라에 생육하는 염생식물은 총 16과 40여종이 보고 되었으며, 특히 서남해안 갯벌의 상부 지역에 그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본 연구에서 연구지역의 조사 범위는 어떤 기준으로 선정하였는가? 염생식물의 분포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생육환경인자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연구지역의 조사 범위를 다음의 기준에 의해 선정하였다. 첫째, 갯벌의 면적과 노출시간이 일정 규모 이상이어야 한다. 만조선으로부터 해양 방향으로 경사가 가파른 지역 에서는 다년생의 단자엽성 식물들만 생육할 수 있 고 일년생의 쌍자엽식물은 적정의 면적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둘째, 해수에 침수되는 시간이 1일 최소 8시간 이내이어야 하는데 시화내만 간석지의 경우 24시간 노출 빈도가 높은 지역을 선정하였 다. 이것은 식물이 호흡과 광합성을 원활히 할 수있는 지역이라는 것을 의미하며, 염생식물이 분포 하는 지역은 대부분 이에 해당하는 곳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안산시, 2001, 시화호 간척시 생태계 조사연구, 한국해양연구원. 

  2. 엄기철, 2006, 지속가능한 국토연안축의 통합적 관리 방안, 국토논단, 국토연구원. 

  3. 이원갑, 1999, 연안통합관리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연구원. 

  4. 조동오, 2001, 연안통합관리론, 해양환경.안전협회. 

  5. 정종철 외, 2006, 다중시기 위성영상을 이용한 시화 방조제 내만 식생변화탐지, 한국환경과학회지 15(4), 373-378. 

  6. 정종철, 2007, 다중분광영상에 의한 방조제 내만식생의 구분기술개발, 위성자료공공활용연구 보고서, 공공기술연구회. 

  7. 정종철 외, 2010, 다매체 사진정보에 의한 연안환경 평가, 한국사진지리학회, 20(2), 41-49. 

  8.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2, 자연경관관리정책에 관한 연구. 

  9.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8, 국토연안생태네트워크 구축과 계획적 관리방안(I). 

  10.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999, 경기만 권역 연안통합 관리계획안. 

  11. Clark, J., Banta, J. and Zim J., 1980, Coastal environmental management : Guidelines for conservation of resources and protection against storm hazard, The Conservation Found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