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새만금 갯벌의 식생 공간변화에 대한 위성관측
The Satellite Observation for Spatial Changes of Vegetation in Saemangum Tidal Flat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3 no.2, 2014년, pp.150 - 156  

정종철 (남서울대학교 GIS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ction of changed vegetation area of Saemangeum tidal flat with comparison of topography and surface sediments during the dyke construction. Sedimentary facies of four seasons of 2001 from inside Saemangeum tidal flat revealed homogeneous layers in the upper part, ho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99년 5월 1일 민관 공동 환경영향평가가 착수되고, 공사가 잠정 중단된 시기인 2000년 11월부터 2001년 12월에 새만금 갯벌 변화의 환경영향평가 요소가 될 수 있는 갯벌의 범위와 갯벌식생을 위성영상을 바탕으로 추출하고, 새만금 연안습지의 식생 분포 변화를 시공간적으로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Landsat 영상을 기반으로 갯벌공간과 갯벌 식생지역을 추출하고 이를 시계열적 변화로 비교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때문에 Fig.
  • 본 연구에서는 갯벌의 시공간적 변화요인 중 갯벌의 공간적 분포와 갯벌 식생이 분포하는 영역에 의한 지표 특성을 제시하여 위성영상기반 갯벌 식생의 공간적 분포를 탐지하였다. 위성영상에 의해 추출 가능한 시공간적 갯벌의 식생분포는 갯벌식생의 분포와 갯벌의 입자 분류에 대한 공간적 차이를 파악하여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갯벌의 식생 변화를 관측하기 용이한 원격탐사기술에 의해 새만금 연구지역을 시공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Lansat 영상을 통해 갯벌의 공간적 변화를 탐측하였다. 또한 위성 원격탐사 기법에 의한 연안 갯벌의 시공간적 변화는 갯벌의 식생 분포와 지표 특성에 따른 변화경향으로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 지역의 전 영역을 동시에 관측할 수 있는 Landsat 위성자료를 활용하여 조수간만의 차이에 따라 나타나는 갯벌의 퇴적 분포와 함께 갯벌에 분포하는 염생식물의 공간적 변이를 파악하였다. 갯벌 식생 분포 연구는 조상대, 조간대, 조하대의 자연성, 생태적 안정성 등을 판단하는데 있어 비교적 용이한 수단이며, 연안습지의 가치를 평가하는 데 있어 효과적인 방법으로 제시되어 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새만금 지역에 방조제 사업을 착공한 날짜는 언제인가? 새만금 지역은 군산과 부안지역에 방조제 33 km를 축조하여 28,300ha의 토지를 매립하는 사업으로 1991년 11월 28일 방조제 사업을 착공하여, 2006년 4월 21일 방조제 물막이 공사가 완료되었다. 그러나 광범위한 갯벌 간척이 이루어진 새만금 간척사업은 방조제 인공 구조물에 의하여 주변의 수리학적 변화를 야기하였고, 주변 갯벌과 해안선에 퇴적과 침식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새만금 연안 갯벌의 환경변화 요인이 되었다(노백호 등, 2006,장 진호, 2008, 이정전 등, 2001).
갯벌 식생 분포 연구는 무엇을 판단하는데 유용한 수단인가?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 지역의 전 영역을 동시에 관측할 수 있는 Landsat 위성자료를 활용하여 조수간만의 차이에 따라 나타나는 갯벌의 퇴적 분포와 함께 갯벌에 분포하는 염생식물의 공간적 변이를 파악하였다. 갯벌 식생 분포 연구는 조상대, 조간대, 조하대의 자연성, 생태적 안정성 등을 판단하는데 있어 비교적 용이한 수단이며, 연안습지의 가치를 평가하는 데 있어 효과적인 방법으로 제시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 갯벌 식생 공간 분포를 위성자료로 분석한 결과는 무엇인가? 첫째 방조제공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갯벌의 공간적 범위와 식생 분포 변화를 위성자료에 의해 추출하고, 분포 밀도를 파악하였다. 둘째 방조제공사가 진행되는 시기에 현장조사가 어려운 지역을 위성영상을 통한 분석으로 조석과 수위에 따른 갯벌의 표면적과 식생의 분포 면적비율을 산출하였다. 셋째 대규모 연안매립이나 방조제 공사 등으로 인한 갯벌의 환경영향평가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위성 자료의 분석기술에 의한 식생 분포 지도 작성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근거로 새만금 방조제 공사와 같은 광역적 연안개발사업에 대한 환경영향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조사 분석에서 위성영상의 시공간 분석에 따른 갯벌의 사후환경영향 과정에 본 연구의 결과가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김계환, 박준모, 서병수, 변무섭, 오현경, 임성구, 2005, 만경강과 동진강(전북) 하천변의 식생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05(1), 48-49. 

  2. 김창환, 이경보 , 김재덕, 조태동, 김문숙, 2005, 전북 동진강 하구역 일대의 염습지 식물상 및 식생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14(9),817-825. 

  3. 노백호 등, 2006, 지속가능한 하구역관리방안(III).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RE-02 

  4. 류주형 등, 2003, 곰소만 조간대 퇴적물의 Landsat ETM+자료특성, 대한원격탐사학회지, 19(2), 117-133. 

  5. 박성우 등, 2003, 위성영상을 이용한 강화도 남단갯벌의 DEM추출, 한국GIS학회, 11(1), 13-22. 

  6. 이정전 외, 2001, 새만금간척사업의 경제적 타당성논쟁: 편익추정을 중심으로, 한국재정학회 재정논총, 15(2). 

  7. 오현경, 김세천, 유주한, 2013, 서천갯벌 습지보호지역의 염생식물상과 식생,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지, 22(5), 409-426. 

  8. 이윤경, 엄진아, 유주형, 원중선, 2007, 강화도 동검도 주변 조간대 내에 서식하는 염생식물의 분광특성 분석,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3(6), 575-581. 

  9. 장진호, 2008, 보호지역 지정을 위한 갯벌의 평가기준 개발과 전남 지역갯벌의 평가. 한국환경과학회지, 17(2), 1391-1402. 

  10. 정종철, 2011, 시화갯벌식생의 시공간적 범위 분석,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3), 349-356. 

  11. 정종철 등, 2006, 다중시기 위성영상을 이용한 시화방조제 내만 식생변화탐지, 한국환경과학회지, 15(4), 373-378. 

  12. 정종철, 2013, 갯벌의 탄소순환 모델 인자 연관분석,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3 추계학술대회. 

  13. Boyd, R., Dalrymple, R.W. and Zaitlin, B.A., 1992. Classification of clastic coastal depositional environments. Sed. Geol., 80, 139-150. 

  14. Diaz R.J, Solan. M, Valente R. M, 2004, A review of approaches for classifying benthic habitats and evaluating habitat quality.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73, 165-181. 

  15. Diefenderfer H.L., et al., 2009, Multiscale analysis of restoration priorities for marine shoreline planning. Environmental Management 44, 712-731. 

  16. Woo H.J. et al., 2006, Changes of Sedimentary Environments in the Saemangeum Tidal Flat on the West Coast of Korea, Ocean and Polar Research, 28(4), 361-368. 

  17. Zhen Xu et al., 2013, Research of topography changes by artificial structures and scattering mechanism in Yoobu-Do intertidal flat using remote sensing data, KSRS, 29(1), 57-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