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d hypersensitivity and common health indexes including dyspepsia, headache, defecation, leucorrhea, and menstruation in young women. Methods: 40 outpatients who visited Kangnam Kyung-Hee Oriental Hospital from Janua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d hypersensitivity and common health indexes including dyspepsia, headache, defecation, leucorrhea, and menstruation in young women. Methods: 40 outpatients who visited Kangnam Kyung-Hee Oriental Hospital from January, 2010 to November, 2011 were analyzed.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20 patients diagnosed with cold hypersensitivity, while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20 patients who were not. All patients were subjected to Digital Infrared Thermal Imaging(DITI), and those with thermal difference greater than $2^{\circ}C$ between anterior thigh and top of feet were diagnosed with cold hypersensitivity. The subjective characteristics of dyspepsia, headache, defecation, leucorrhea, and menstruation were obtained through inquiry by residents at the hospital. The relationship between cold hypersensitivity, dyspepsia, headache, defecation, leucorrhea, and menstruation was analyzed with Independent T-test using SPSS for Windows (version 17.0). Results: Means of defecation, leucorrhea, dysmenorrhea in cold hypersensitivity group were higher than control group without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Dyspepsia appeared statistically higher in experimental group with significance while headache was the same in both groups. Means of menstrual cycle and menstrual coagulation were higher in non-cold hypersensitivity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Conclusions: Results suggest that dyspepsia is common in cold hypersensitivity and treatment of cold hypersensitivity may relieve accompanying digestive problems.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d hypersensitivity and common health indexes including dyspepsia, headache, defecation, leucorrhea, and menstruation in young women. Methods: 40 outpatients who visited Kangnam Kyung-Hee Oriental Hospital from January, 2010 to November, 2011 were analyzed.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20 patients diagnosed with cold hypersensitivity, while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20 patients who were not. All patients were subjected to Digital Infrared Thermal Imaging(DITI), and those with thermal difference greater than $2^{\circ}C$ between anterior thigh and top of feet were diagnosed with cold hypersensitivity. The subjective characteristics of dyspepsia, headache, defecation, leucorrhea, and menstruation were obtained through inquiry by residents at the hospital. The relationship between cold hypersensitivity, dyspepsia, headache, defecation, leucorrhea, and menstruation was analyzed with Independent T-test using SPSS for Windows (version 17.0). Results: Means of defecation, leucorrhea, dysmenorrhea in cold hypersensitivity group were higher than control group without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Dyspepsia appeared statistically higher in experimental group with significance while headache was the same in both groups. Means of menstrual cycle and menstrual coagulation were higher in non-cold hypersensitivity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Conclusions: Results suggest that dyspepsia is common in cold hypersensitivity and treatment of cold hypersensitivity may relieve accompanying digestive problem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는 체열촬영을 이용하여 족부 냉증과 여성의 건강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들과의 상관성을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부인과적인 과거력이 없는 건강한 젊은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족부 냉증과 소화불량, 대변, 두통, 대하, 월경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였으며 족부 냉증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적외선체 열검사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이번 연구는 비냉증환자군과 냉증환자군 사이의 소화불량, 두통, 대변, 대하, 월경주기, 월경통, 월경괴를 비교하여 냉증 환자들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었지만 몇 가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제안 방법
본 연구는 체열촬영을 이용하여 족부 냉증과 여성의 건강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들과의 상관성을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부인과적인 과거력이 없는 건강한 젊은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족부 냉증과 소화불량, 대변, 두통, 대하, 월경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였으며 족부 냉증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적외선체 열검사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2010년 1월부터 2011년 9월까지 강남 경희한방병원 여성의학센터로 처음 내원한 25-40세 젊은 여성 환자 중 DITI 결과를 기준으로 정상군(대조군)과 냉증군 (실험군)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적외선 체열촬영은 체열촬영의 표준화를 위해 외부로부터 빛과 열이 차단되어 실내기류가 일정하고 온도는 23-25℃ 습도는 40-50%를 유지하도록 한 검사실에서 전신 탈의한 상태로 약 10분간 주위 온도에 적응시킨 후 체열촬영을 시행하였고 촬영기는 T-1000(메쉬, 한국)을 이용하였다.
전대퇴 중심부의 伏兎穴(S32)과 족배부 전면의 太衝穴(LIV3)의 온도차를 측정하였다.
정상군과 실험군은 초진 당시 소화기능, 두통 여부, 대변양상, 대하의 양, 월경주기, 월경통, 월경괴에 대한 문진 기록을 통하여 소화불량, 대변이상, 두통, 월경주기이상이 있을 경우 1, 없을 경우 0으로 수치화 하였고 대하 월경통 월경괴는 정도에 따라 전혀 없을 경우 0, 조금 있을 경우 0.5, 많을 경우 1, 매우 많을 경우 2로 수치화하였다.
. 이처럼 냉증은 젊은 여성에게 흔한 질환으로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반영하는 지표와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문진 시 가장 기본적으로 확인하는 사항 중 소화기능, 두통 여부, 대변양상, 대하의 양, 월경주기, 월경통, 월경주기와 발의 냉증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이 때문에 객관적인 냉증진단을 받은 환자군에서 전반적인 건강지표도 안 좋게 나타날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2010년 1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강남경희한방병원 여성의학센터에 처음 방문한 환자 중 부인과 질환의 과거력이 없는 여성 40명을 대상으로 DITI 상의 진단기 준에 따라 각각 20명의 냉증군과 비냉증군으로 분류하였다. 두 집단 사이에서의 평균연령은 큰 차이가 없었고 비냉증군의 족부냉증 온도차는 0.
2010년 1월부터 2011년 9월까지 강남 경희한방병원 여성의학센터로 처음 내원한 젊은 여성 환자 중 DITI 결과를 기준으로 정상군과 냉증군으로 나누어 소화, 두통, 대변, 대하, 월경을 서로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대상 데이터
정상군은 특이적인 부인과적 질환의 과거력을 가지고 있는 환자는 제외되었고 DITI 상으로 전대퇴중심부의 伏兎穴 (S32)과 족배부의 太衝穴(LIV3) 사이의 온도 차가 2℃ 이하인 환자 20명으로 선정하였다.
냉증군은 수족부와 같은 특정 부위 혹은 전신냉증의 호소와 상관없이 DITI 상으로 전대퇴중심부의 伏兎穴(S32)와 족배부의 太衝穴(LIV3) 사이의 온도 차가 2℃ 이상인 환자 중 문진 상의 병력을 근거로 부인과적 질환을 제외한 20명을 선정하였다.
데이터처리
통계 처리는 SPSS for Windows(Version 17.0)를 이용하였으며 정상군과 냉증군의 수치비교는 Independent-Samples T-test 로 분석하여 p<0.05 수준인 경우 유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성능/효과
정상군의 평균 온도차는 0.86±0.52 ℃이었으며, 냉증군의 평균 온도차는 3.51±0.95 ℃로 양측 집단 간의 평균 온도차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0) (Table 1).
비냉증군의 평균 소화불량 점수는 0.25±0.44이었으며 냉증군의 평균 소화불량 점수는 0.60±0.50로 양측 집단 간의 평균 소화불량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차이가 있었다(p=0.025)(Table 2).
비냉증군의 평균 월경괴 점수는 0.78± 0.68이었으며 냉증군의 평균 월경괴 점수는 0.70±0.44로 양측 집단 간의 평균 월경괴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681)(Table 2).
비냉증군의 평균 두통유무 점수는 0.35±0.49이었으며 냉증군의 평균 두통유무 점수는 0.35±0.49로 양측 집단 간의 평균 두통유무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1.000)(Table 2).
비냉증군의 평균 대변이상 점수는 0.25 ±0.44이었으며 냉증군의 평균 대변이상 점수는 0.35±0.49로 양측 집단 간의 평균 대변이상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03)(Table 2).
냉증환자군은 두통, 대변, 대하, 월경 주기, 월경통, 월경괴에서 비냉증군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냉증군에서 비냉증군에 비해 소화불량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소화불량, 두통, 대변, 대하, 월경주기, 월경통, 월경괴에 관한 자료수집이 미약하였다. 소화불량, 두통, 대변이상, 월경주기이상은 그 유무에 대한 조사만 이루어졌고, 대하, 월경통, 월경괴는 그 정도를 구분하는 것으로 그쳤다.
1. 냉증군의 족부온도차는 정상군과 비교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크게 나타났다.
2. 냉증군과 정상군의 소화불량 점수를 비교했을 때 냉증군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대변 이상, 대하, 월경통은 냉증군이 정상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
3. 냉증군과 정상군을 비교했을 때, 두통 점수는 동일했으며 월경주기 및 월경괴 점수는 정상군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
후속연구
첫째, 실험 대상자의 수가 적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도출해 내는 데에 제약이 있었다.
둘째, 대상자 선정에 있어서 한방부인 과에 내원한 초진 환자들은 냉증이 없더라도 두통, 대변, 대하, 월경의 문제로 내원한 환자들로 일반적인 여성을 대표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생각된다. 냉증을 갖지 않은 비냉증환자군을 한방병원에 내원한 환자들이 아닌 건강한 여성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한다면 냉증환자들의 특성을 더욱 정확하게 분석해 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대상자 선정에 있어서 한방부인 과에 내원한 초진 환자들은 냉증이 없더라도 두통, 대변, 대하, 월경의 문제로 내원한 환자들로 일반적인 여성을 대표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생각된다. 냉증을 갖지 않은 비냉증환자군을 한방병원에 내원한 환자들이 아닌 건강한 여성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한다면 냉증환자들의 특성을 더욱 정확하게 분석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소화불량, 두통, 대변이상, 월경주기이상은 그 유무에 대한 조사만 이루어졌고, 대하, 월경통, 월경괴는 그 정도를 구분하는 것으로 그쳤다. 추후에는 소화, 두통, 대변, 대하, 월경에 대한 더욱 객관적이고 세분화된 설문을 통해 정확한 자료수집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의미 있는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냉증이란?
냉증이란 의학적으로 ‘냉각과민증’이라 하며 ‘신체의 다른 부위는 전혀 냉감을 느끼지 않는 실온에도 불구하고 신체의 특정 부위만이 차가움을 느끼는 경우’로 정의하고 있다1). 현대의학에서는 냉증이 자율신경계통 실조에 의한 혈관운동의 변조로 인한다고 생각하여 전신적 순환 장애로 보고 있으며 이외에도 심신증, 갱년기 장애, 저혈압, 빈혈, 위장장애로 인한 체력저하, 수분대사장애 등을 원인으로 여기고 있다.
현대 의학에서는 냉증의 원인을 무엇이라 보고 있는가?
냉증이란 의학적으로 ‘냉각과민증’이라 하며 ‘신체의 다른 부위는 전혀 냉감을 느끼지 않는 실온에도 불구하고 신체의 특정 부위만이 차가움을 느끼는 경우’로 정의하고 있다1). 현대의학에서는 냉증이 자율신경계통 실조에 의한 혈관운동의 변조로 인한다고 생각하여 전신적 순환 장애로 보고 있으며 이외에도 심신증, 갱년기 장애, 저혈압, 빈혈, 위장장애로 인한 체력저하, 수분대사장애 등을 원인으로 여기고 있다. 이러한 냉증은 동양 인에 다발하는 병증으로 특히 여성이 남성에 비해 3:2 정도로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연령별 혹은 시기별로 보았을 때 20-30대 가임 여성에서 다발하나 사춘기, 갱년기에도 나타나며 특히 산후 여성에게 많이 발생한다고 하였다2).
2010년 1월부터 2011년 9월까지 강남 경희 한방병원 여성의학센터로 처음 내원한 젊은 여성 환자 중 DITI 결과를 기준으로 정상군과 냉증군으로 나누어 소화, 두통, 대변, 대하, 월경을 서로 비교하여 얻은 결론은?
1. 냉증군의 족부온도차는 정상군과 비교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크게 나타났다.
2. 냉증군과 정상군의 소화불량 점수를 비교했을 때 냉증군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대변 이상, 대하, 월경통은 냉증군이 정상 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
3. 냉증군과 정상군을 비교했을 때, 두통 점수는 동일했으며 월경주기 및 월경괴 점수는 정상군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
참고문헌 (31)
이수림, 이경섭, 송병기. 부인 냉증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1996;9(1):55-80.
배경미 등. 부인과 환자의 냉증과의 관계에 대한 조사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2):101-113.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