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두부산물의 지방세포분화 유도유전자의 발현저해 및 전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Suppressive Effects of By-Product Extracts from Soybean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Expression of Obesity-Related Genes in 3T3-L1 Adipocyte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1 no.3 = no.131, 2011년, pp.358 - 367  

최미선 (안동대학교 생물학과) ,  김지인 (안동대학교 생물학과) ,  정진부 (안동대학교 생약자원학과) ,  이수복 (안동대학교 생물학과) ,  정재남 (안동대학교 생물학과) ,  정형진 (안동대학교 생약자원학과) ,  서을원 (안동대학교 생물학과) ,  김택윤 ((주)하회마을 종합식품, 품질관리팀) ,  권오준 (경북지역산업평가단) ,  임재환 (안동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두는 여러 종류의 파이토케미컬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에 의한 항산화, 항염증, 항비만 효능 등이 있음이 잘 알려져 있다. 대두 부산물 성분의 비만억제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Oil-Red O 염색법과 정량 PCR을 통하여 지방세포분화억제 및 지방생성억제 효능을 분석하였다. 분화유도물질인 isobutylmethylanthine (IBMX), dexamathasone 및 insulin 처리에 따른 지방세포 분화유도와 함께 대두부산물-침지수, 순물, 두유-의 처리는 세포손상 없이 지방세포분화 연관 유전자-PPAR${\gamma}$, Fabp4, Scd1, adipsin, apolipoprotein (APOE), adiponectin (ADIPOQ)-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효능을 보였다. 또한 대두에서 잘 알려진 isoflavone -daidzein과 genistein- 분석을 통하여 대두 부산물에 포함된 두 종류의 isoflavone의 함량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대두부산물에는 지방세포분화유도 유전자의 발현억제를 통한 전지방세포의 분화 및 지방세포의 지방생성을 억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두부생산 시 발생하는 대두부산물은 지방세포분화 억제 효능을 바탕으로 이를 이용하는 건강기능 식품제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ybean is known to contain various phytochemicals that are related to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obesity effects in mice and humans. The anti-obesity effect of by-product extracts from soybean on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to adipocytes was investigated by suppress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체내 지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천연대체물들의 효과와 기능성 식품들이 보고되었고[2,3,8], 각종 식품생산 후에 폐기되는 부산물의 기능성 소재의 탐색과 활용방법 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두부 제조 시에 부산물로 발생되는 대두부산물을 활용한 지방세포 생성분화억제효과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기전 연구는 아직 보고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두부의 제조공정 시 발생하는 대두부산물인 두유, 순물, 침지수 추출물에 의한 지방세 포생성분화억제 및 지방생성억제 효능을 확인하고 분화 조절 및 지방생성에 관련된 조절 유전자들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 따라서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분화 유도 및 대두부산물의 처리에 따른 지방세포형성의 최종 전사인자인 PPARγ의 발현을 확인 하였다.

가설 설정

  • (A) Suppressive effects on 3T3-L1 differentiation were determined with Oil-Red O assay after treatment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by-products from soybean. (B) Effects of genistein and daidzein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Stained oil droplets with Oil-Red O was dissolved with isopropanol and quantified by spectrophotometric analysis at 520 nm (p<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두부의 주 원료인 대두에는 유용한 생리활성물질로 isoflavone가 있는데 이것에는 무엇이 잘 알려져 있는가? 두부의 주 원료인 대두에는 유용한 생리활성물질들이 존재함이 밝혀졌으며, 이 중에서도 isoflavone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두 내 isoflavone은 daidzein과 genistein이 잘 알려져 있으며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항산화 작용, estrogen 유사작용 등의 효과가 보고되었다[4,9,20,27]. 특히 호르몬과 관련된 유방암의 경우 genistein은 암세포성장 억제 효과를 포함한 뛰어난 항암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in vivo, in vitro 실험 등을 통해 보고된 바 있다[1,31,34].
지방세포 형성과정은 무엇에 의해 조절되는가? 비만은 지방세포의 과다한 증식과 에너지 축적의 결과로서 불균형적인 에너지 대사를 유발하며 대사성 및 심혈관, 뇌혈관 질환, 암과 같은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되고 있다[14,32]. 지방세포 형성과정은 초기 전사인자인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s (C/EBPs)와 후기 전사인자 peroxidas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γ (PPARγ)에 의해 조절된다. 3T3-L1 pre-adipocytes cell (전지방세포)은 세포분화유도물 질과 호르몬의 신호에 의해 지방세포로의 분화가 시작되며 분화 초기에 C/EBPs의 발현이 증가되고 후기 지방세포 형성 과정의 핵심적인 기능을 하는 PPARγ의 발현이 증가됨으로써 지방세포형성 분화조절이 이루어진다[16,29].
대두에 포함된 무슨 단백질이 피부암이 유발된 동물에서 종양의 생성을 억제하는 항암효과를 보였는가? 특히 호르몬과 관련된 유방암의 경우 genistein은 암세포성장 억제 효과를 포함한 뛰어난 항암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in vivo, in vitro 실험 등을 통해 보고된 바 있다[1,31,34]. 대두에 포함된 단백질인 lunasin역시 피부암이 유발된 동물에서 종양의 생성을 억제하는 항암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5]. 대두 추출물과 함께 두부 순물과 그 고형분에 포함된 단백질과 아미노산 조성에 대한 연구보고에서 glutamic acid, aspartic acid의 높은 함량이 밝혀졌으며, 대두를 열수에 침지한 액인 침지수에는 대두의 올리고당과 대두 단백질 등이 함유되어있는 것으로 분석된 바 있다[10,17,2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dlercreutz, H., Y. Mousavi, J. Clark, K. Hockerstedt, E. Hamalainen, K. Wahala, T. Makela, and T. Hase. 1992. Dietary phytoestrogens and cancer: in vitro and in vivo studies. J. Steroid Biochem. Mol. Biol. 41, 331-337. 

  2. Ahn, I. S., K. Y. Pack, and M. S. Do. 2007. Weight control mechanisms and antiobesity functional ag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503-513. 

  3. Anne, W. H. and B. H. Joyce. 2001. Differential effects of flavonoids on 3T3-L1 adipogenesis and lipolysis. Am. J. Physiol. Cell Physiol. 280, C807-C813. 

  4. Bae, E. A., T. W. Kwon, and G. S. Moon. 1997. Isoflavone contents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soybean, soybean curd and their by-produ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371-375.5. 

  5. Barnes, S., H. Kim, T. G. Peterson, and J. Xu. 1998. Isoflavones and cancer-the estrogen paradox. Korean Soybean Digest 15, 81-93. 

  6. Bondet. V., W. Brand-Williams, and C. Berset. 1997. Kinetics and mechanisms of antioxidant activity using the DPPH free radical method. Food Sci. Technol. 30, 609-615. 

  7. Brun, R. P. and B. M. Spiegelman. 1997. PPAR gamma and the molecular control of adipogenesis. J. Endocrinol. 155, 217-218. 

  8. Chin, H. S., K. J. Pack, S. H. Pack, and J. K. Kim. 2009. The effects of herbal extract mixture on anti-obes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32-38. 

  9. Choi, J. S., T. W. Kwon, and J. S. Kim. 1996. Isoflavone contents in some varieties of soybean. Foods Biotechnol. 5, 167-167. 

  10. Choi, Y. B., K. S. Kim, and H. S. Sohn. 1995. Recovery of soy-oligosaccharides using calcium oxide. J. Food Sci. 27, 225-229. 

  11. Cook, K. S., D. L. Groves, H. Y. Min, and B. M. Spiegelman. 1985. A developmentally regulated mRNA from 3T3 adipocytes encodes a novel serine protease homologue. Proc. Natl. Acad. Sci. USA 82, 6480-6484. 

  12. Dnizot, F. D. and L. Rita. 1986.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 growth and survival: Modification to the tetrazolium dye procedure giving improved sensitivity and reliability. J. Immunol. Methods 22, 271-277. 

  13. Flier, J. S. and E. Maratos-Flier. 1998. Obesity and the hypothalamus: novel peptides for new pathways. Cell 92, 437-440. 

  14. Fruhbeck, G., J. Gomez-Ambrosi, F. J. Muruzabal, and M. A. Burrell. 2001. The adipocyte: a model for integration of endocrine and metabolic signaling in energy metabolism regulation. J. Physiol. Endocrinol. Metab. 280, E827-E847. 

  15. Galvez, A. F. and B. O. de Lumen. 1999. A soybean cDNA encoding a chromatin-binding peptide inhibits mitosis of mammalian cells. Nat. Biotechnol. 17, 495-500. 

  16. Gregoire, F. M., C. M. Smas, and H. S. Sul. 1998. Understand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Physiol. Rev. 78, 783-809. 

  17. Hackler, L. R. and B. R. Stillings. 1967. Amino acid compostion of heat-processed soymilk and its correlation with nutritive value. Cereal. Chem. 44, 70-77. 

  18. Harold, E. S., E. A. Darrell, I. F. Evan, and A. M. John. 2007. A review of the interaction among dietary antioxidants and reactive oxygen species. J. Nutr. Biochem. 18, 567-579. 

  19. Hwang, J., J. Wang, P. Morazzoni, H. N. Hodis, and A. Sevanian. 2003. The phytoestrogen equol increases nitric oxide availability by inhibiting superoxide production : an antioxidant mechanism for cell-mediated LDL modificarion. Free Radic. Biol. Med. 34, 1271-1282. 

  20. Kaufman, P. B., J. A. Duke, H. Brielmann, J. Boik, and J. E. Hoyt. 1997. A comparative survey of leguminous plants as sources of the isoflavones, genistein and daidzein: implications for human nutrition and health. J. Altern. Complement Med. 3, 7-12. 

  21. Kim, K. S., H. K. Chun, and H. S. Sohn. 1994. Purification of oligosaccharides from soybean using activated charcoal. Korean J. Food Sci. Technol. 3, 156-156. 

  22. Kim, Y. J., B. H. Kim, S. Y. Lee, M. S. Kim, C. S. Pack, M. S. Rhee, K. H. Lee, and D. S. Kim. 2006. Screening of medicinal plants for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ingredients with anti-obesity.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 221-226. 

  23. Lau, D. C., B. Dhillon, H. Yan, P. E. Szmitko, and S. Verma. 2005. Adipokines: molecular links between obesity and atheroslcerosis. Am. J. Physiol. Heart Circ. Physiol. 288, 2031-2041. 

  24. Lee, C. H., P. Olson, and R. M. Evans. 2003. Minireview: lipid metabolism, metabolic diseases, a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s. Endocrinology 144, 2201-2207. 

  25. MacDougald, O. A. and M. D. Lane. 1995.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dur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Annu. Rev. Biochem. 64, 345-373. 

  26. Mohamed-Ali, V., J. H. Pinkney, and S. W. Coppack. 1998. Adipose tissue as an endocrine and paracrine organ.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2, 1145-1158. 

  27. Potter, S. M. 1995.Overview of proposed mechanisms for the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soy. J. Nutr. 125, 606S-611S. 

  28. Ramirez-Zacarias, J. L., F. Castro-Munozledo, and W. Kuri-Harcuch. 1992. Quantitation of adipose conversion and triglycerides by staining intracytoplasmic lipids with Oil red O. Histochemistry 97, 493-497. 

  29. Rosen, E. D. and O. A. MacDougald. 2006. Adipocyte differentiation from the inside out. Nat. Rev. Mol. Cell Biol. 7, 885-896. 

  30. Rosen, E. D., C. J. Walkey, P. Puigserver, and B. M. Spiegelman. 2000.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adipogenesis. Genes Dev. 14, 1293-1307. 

  31. Sharma, O. P., H. Adlercreutz, J. D. Strandberg, B. R. Zirkin, D. S. Coffey, and L. L. Exing. 1992. Soy of dietary source plays a preventive role against the pathogenesis of prostatitis in rats. J. Steroid Biochem. Mol. Biol. 43, 557-564. 

  32. Spiegelman, B. M. and J. S. Flier. 2001. Obesity and the regulation of energy balance. Cell 104, 531-543. 

  33. Steppan, C. M., S. T. Bailey, S. Bhat, E. J. Brown, R. R. Banerjee, C. M. Wright, H. R. Patel, R. S. Ahima, and M. A. Lazar. 2001. The hormone resistin links obesity to diabetes. Nature 409, 307-312. 

  34. Wei, H., L. Wei, F. Frenkel, R. Bowen, and S. Barnes. 1993. Inhibition of tumor promoter-induced hydrogen peroxide formation in vitro and in vivo by genistein. Nutr. Cancer 20, 1-20. 

  35. Weiss, L. G., R. Hoffmann, E. Schreiber, H. Andres, E. Fuchs, and H. J. Kolb. 1986. Fatty-acid biosynthesis in man, a pathway of minor importance. Purification, optimal assay conditions, and organ distribution of fatty-acid synthesis. Biol. Chem. Hoppe Seyler. 367, 905-9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