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리쟁이 분획물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Rumex Crispus L. Fraction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3T3-L1 Cell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5 no.1, 2013년, pp.90 - 96  

박성진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 전공) ,  최준혁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 전공) ,  정연섭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 전공) ,  유미희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 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리쟁이 추출물 및 분획물의 3T3-L1 전지방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소리쟁이의 hexane, ethyl acetate 분획물에 의해 지방세포의 lipid droplet의 형성이 유의적으로 억제되었으며, 소리쟁이 에탄올 추출물과 모든 분획물 10 ${\mu}g/mL$의 농도에서 중성지질(triglyceride)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또한 지방세포의 분화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인 $PPAR{\gamma}$, $C/EBP{\alpha}$의 단백질 발현은 10 ${\mu}g/mL$의 ethyl acetate, butanol 분획물에 의해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따라서 소리쟁이 추출물과 분획물 중 가장 활성이 우수한 ethyl acetate 분획물을 이용하여 지방분화에 관여하는 전사 인자인 $PPAR{\gamma}$, $C/EBP{\alpha}$, 그리고 SREBP1c 및 지질의 합성, 수송, 저장에 관여하는 ACS, FAS, FATP1, FABP4, Perilipin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ethyl acetate 분획물은 유의적으로 모든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시켰다. 따라서 소리쟁이의 ethyl acetate 분획물은 지방세포의 분화에 관여하는 전사인자 및 유전자들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항비만 효과가 있는 천연물 소재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obesity effect of ethanol xtract and their fractions from Rumex Crispus L. on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to adipocytes was investigated by suppress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lipid accumulation with Oil red O assay, western blot and real-time PCR analysis. Ethyl ac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전구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과정에서 소리쟁이 추출물 및 분획물의 분화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소리쟁이의 극성, 비극성 성분을 70% ethanol (Et), hexane(H), chloroform(Ch), ethyl acetate(Ea), butanol (Bu), water(W) 순으로 순차 분획하였다. 각 추출물 및 분획물을 이용하여 3T3-L1 세포에서 Oil red O 염색 및 triglyceride 함량을 측정하였고, 분화 관련 전사인자 및 각종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현재까지 이용가치가 떨어지는 소리쟁이를 비만억제 천연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 마련에 도움이 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 따라서 소리쟁이 추출물 및 분획물이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의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단백질 수준에서 확인하였다. Preadipocyte에서 분화 유도와 동시에 소리쟁이 분획물을 10 µg/mL의 농도로 처리하고 FBS와 Insulin 배지로 갈아 줄 때마다 시료를 같이 처리하여 분화 종료 후 단백질 발현을 조사한 결과는 Fig.
  •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전구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과정에서 소리쟁이 추출물 및 분획물의 분화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소리쟁이의 극성, 비극성 성분을 70% ethanol (Et), hexane(H), chloroform(Ch), ethyl acetate(Ea), butanol (Bu), water(W) 순으로 순차 분획하였다. 각 추출물 및 분획물을 이용하여 3T3-L1 세포에서 Oil red O 염색 및 triglyceride 함량을 측정하였고, 분화 관련 전사인자 및 각종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현재까지 이용가치가 떨어지는 소리쟁이를 비만억제 천연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 마련에 도움이 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민간에서 소리쟁이는 어떤 질환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는가? 소리쟁이는 부위별로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본초강목에서는 곪은 부위나 부스럼에 붙이면 효능이 좋으며, 맛이 달고 성질은 미끄러우며 차고 독이 없다고 기록되어 있다. 민간에서는 변비, 소화불량, 장출혈 등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 소리쟁이의 유용성 분으로는 emodin, nepodin 등과 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 등 다양한 항산화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18-21).
소리쟁이는 무엇인가? 소리쟁이(Rumex crispus L.)는 마디풀과(Polygonaceae)에 속하는 다년초 식물로서 우리나라 전국 각지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들이나 개울가 등의 습한 곳에서 잘 자란다. 소리쟁이는 부위별로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본초강목에서는 곪은 부위나 부스럼에 붙이면 효능이 좋으며, 맛이 달고 성질은 미끄러우며 차고 독이 없다고 기록되어 있다.
인슐린은 무엇인가? 지방세포의 분화는 지방 조직세포에 특징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들의 조절부위에 작용하는 transcription factor들이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과정에서 발현된다. 인슐린은 지방 세포의 분화를 유도하는 호르몬으로 지방세포 대사 조절에 관여하는 주요 외부인자이다(11,12). 지방세포는 분화 동안 C/EBP family, PPAR-γ, ADD1/SREBP1 등의 전사인자들의 전사 발현이 증가하고 이들 전사인자들은 상호 전사를 유도하여 지방세포를 분화하여 지방축적, 지방합성, 지방수송에 관여하는 인자들을 작용시켜 에너지 생산 및 비만에 이르게 한다(13,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mith PD, O'Halloran P, Hahn DL, Grasmick M, Radant L. Screening forobesity: Clinical tools in evolution, a WREN study. Wisc. Med. J. 109: 274-278 (2010) 

  2. Pi-Sunyer X. The medical risks of obesity. Postgrad. Med. 121: 21-33 (2009) 

  3. Despres JP, Lemieux I. Abdominal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Nature 444: 881-887 (2006) 

  4. Hotamisligil GS. Inflammation and metabolic disorders. Nature 444: 860-867 (2006) 

  5. Attie AD, Scherer PE. Adipocyte metabolism and obesity. J. Lipid Res. 50: 395-399 (2009) 

  6. Rosen ED, MacDougald OA. Adipocyte differentiation from the inside out. Nat. Rev. Mol. Cell Bio. 7: 885-896 (2006) 

  7. Flier JS, Maratos-Flier E. Obesity and the hypothalamus: novel peptides for new pathways. Cell 92: 437-440 (1998) 

  8. Gregoire FM, Smas CM, Sul HS. Under stand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Physiol. Rev. 78: 783-809 (1998) 

  9. Liu F, Kim J, Li Y, Liu X, Li J, Chen X. An extract of Lagerstroemia speciosa L. has insulin-like uptake-stimulatory and adipocyte differentiation-inhibitory activities in 3T3-L1 cells. J. Nutr. 131: 2242-2247 (2001) 

  10. Gesta S, Tseng YH, Kahn CR. Developmental origin of fat: Tracking obesity to its source. Cell 131: 242-256 (2007) 

  11. Rosen ED, Walkey CJ, Puigserver P, Spiegelman BM.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adipogenesis. Gene. Dev. 14: 1293-1307 (2000) 

  12. Ko BS, Lee MY, Kim HK, Chun JM, Choi SB, Jun DW, Jang JS, Park SM. Effect of Cinnamomum camphora leaf fractions on insulin ac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336-1343 (2005) 

  13. Kim JB, Park JY. Molecular insights into fat cell differentiation and functional roles of adipocytokines. J. Korean Soc. Endo. 17: 1-9 (2002) 

  14. Horton JD, Goldstein JL, Brown MS. SREBPs: Transcriptional mediators of lipid homeostasis. Cold Spring Harb. Sym. 67: 491- 498 (2002) 

  15. Zhi J, Moore R, Kanitra L, Mulligan TE. Effects of orlistat, a lipase inhibitor, on the pharmacokinetics of three highly lipophilic drugs (amiodarone, fluoxetine, and simvastatin) in healthy volunteers. J. Clin. Pharmacol. 43: 428-435 (2003) 

  16. Ahmad FA, Mahmud S. Acute pancreatitis following orlistat therapy: Report of two cases. J. Pancreas 11: c61-c63 (2010) 

  17. Karamadoukis L, Shivashankar GH, Ludeman L, Williams AJ. An unusual complication of treatment with orlistat. Clin. Nephrol. 71: 430-432 (2009) 

  18. Jeong GT, Lee KM, Park DH. Study of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Rumex crispus extract. Korean Chem. Eng. Res. 44: 81-86 (2006) 

  19. Chang SW, Kim IH, Han TJ. Antraquinone productivities by the cultures of adventitious roots and hairy roots from culed dock (Rumex crispus). Korean J. Plant Tissue Culture 26: 7-14 (1999) 

  20. Hwang SW, Ha TJ, Lee JR, Nam SH, Park KH, Yang MS. Isolation of antraquinone derivatives from the root of Rumex crispus L.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274-278 (2004) 

  21. Lee SS, Kim DH, Yim DS, Lee SK. Antiinflammatory, analgesic, and hepatoprotective effect of semen of Rumex crispus. Korean J. Pharmacogn. 38: 334-338 (2007) 

  22. Green LM, Reade JL, Ware CF.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 viability: Application to the quantitation of cytotoxic and growth inhibitory lymphokines. J. Immunol. Methodsi. 70: 257-268 (1984) 

  23. Steel RGD, Torrie JH.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Satistics. McGraw Hill, New York, USA. pp.000-000 (1990) 

  24. Cornelius P, MacDougald OA, Lane MD: Regulation of adipocyte development. Annu. Rev. Nutr. 14: 99-129 (1994) 

  25. Hauser S, Adelmant G, Sarraf P, Wright HM, Mueller E, Spiegelman BM. Degradation of the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is linked to ligand-dependent activation. J. Biol. Chem. 275: 18527-18533 (2000) 

  26. Ohshima T, Koga H, Shimotohno K. Transcriptional activity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is modulated by SUMO-1 modification. J. Biol. Chem. 279: 29551-29557 (2004) 

  27. Darlington GJ, Ross SE, MacDougald OA. The role of C/EBP genes in adipocyte differentiation. J. Biol. Chem. 273: 30057- 30060 (1998) 

  28. Kim HJ, Hwang EY, Im NK, Park SK, Lee IS. Antioxidant activities of Rumex crispus extracts and effect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asoned pork.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445-451 (2010) 

  29. Rejman J. Kozubek A. Inhibitory effect of natural phenolic lipids upon NAD-dependent dehydrogenases and on triglyceride accumulation in 3T3-L1 cells in culture. J. Agr. Food Chem. 52: 246- 250 (2004) 

  30. Jeon T, Hwang SG, Hirai S, Matsui T, Yano H, Kawada T, Lim BO, Park DK. Red yeast rice extracts suppress adipogenesis by down-regulating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and gene expression in 3T3-L1 cells. Life Sci. 75: 3195-3203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