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 음파 처리에 따른 아메리카잎굴파리(Liriomyza trifolii)의 생리 변화와 프로테오믹 분석
Effects of Sound Stress on Physiological Processes of the American Leafminer, Liriomyza trifolii, and Proteomic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50 no.2, 2011년, pp.131 - 139  

박정아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자원과학과) ,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자원과학과) ,  김용균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자원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음파 처리에 따른 아메리카잎굴파리(Liriomyza trifolii)의 생리 변화를 발육 시기별로 분석하였다. 유충의 섭식량은 섭식을 통해 형성된 잎 내부 갱도의 길이로 분석했다. 이때 5,000 Hz (95 dB)의 음파 처리는 섭식 행동을 크게 둔화시켰다. 이러한 스트레스 음파는 또한 용발육에 영향을 주어 315 - 5,000 Hz 음파 범위에서 발육 지연 효과를 나타냈고, 1,000 - 5,000 Hz 음파 범위에서 우화를 억제하였다. 스트레스 음파는 암컷의 산란 행동을 억제시켰으나 성충의 주광성 행동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스트레스 음파(5,000 Hz, 95 dB)를 받은 용은 이차원 전기영동 분석 결과 단백질 발현 양상에서 무처리구와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특정 단백질에 대한 MALDI-TOF 분석 결과는 trafficking protein particle complex I, triosephosphate isomerase, hypothetical protein TcasGA2_TC013388, polycystin-2, paraneoplastic neuronal antigen MA1 및 tropomyosin I (isoform M)의 단백질들이 무처리구에서 발견되고, 음파 처리구에서는 소멸되었다. 반면에 DOCK9, cytoskeletal keratin II 및 $F_0F_1$-ATP synthase beta subunit은 스트레스 음파 처리에 따라 새롭게 나타나는 단백질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스트레스 음파는 아메리카잎굴파리의 살충제에 대한 감수성을 크게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는 아메리카잎굴파리의 생리 과정을 교란하는 스트레스 음파가 작용한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이러한 스트레스 음파를 이용하여 아메리카잎굴파리에 대한 새로운 물리적 해충 방제 기술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dverse effects of sound treatment on physiological processes of the American leafminer, Liriomyza trifolii, during several developmental stages. Larval feeding activity was analyzed by measuring feeding tunnel length. It was significantly suppressed by sound treatment (5...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7). 본 연구는 스트레스 음파를 이용한 아메리카잎굴파리의 생존력 억제를 밝히고자 이들의 생리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소리 자극에 대해 아메리카잎굴파리가 반응할 수 있다는 근거로서 일반적으로 이러한 세로파 자극원에 대해서 반응할 수 있는 센털형 및 뿔 모양 감각기가 촉각에 존재한다는 것이 보고되었다(Shin et al.
  • 스트레스 음파에 대한 생리적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가장 음파에 민감한 시기인 용기간에 스트레스 음파를 처리하고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현상을 프로테오믹 기술로 분석하였다. 이차원전기영동에서 나타난 단백질의 총수는 음파처리구에서 적게 나타났다.
  • 따라서 다양한 주파수의 음파를 아메리카잎굴파리에 처리하고 초래되는 생리적 변화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이해충의 유충섭식, 용 발달 및 성충 산란 행동을 대상으로 그 교란효과를 추적했다. 또한 음파에 따른 체내 생리적 변화를 분자수준에서 규명하기 위해 이차원 전기영동을 통해 단백질 발현패턴 양식을 비교하였다.

가설 설정

  • (A) Dose-response without sound treatment. (B) Effect of soundtreatment on the insecticide susceptibility at 15.62 ppm. Eachtreatment used 10 larvae and was replicated three time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메리카잎굴파리의 원산지는? 아메리카잎굴파리(Liriomyza trifolii)는 미국 플로리다 지역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으며, 1970 년대 이후로 전 세계에 퍼져나가 우리나라 작물에 까지 피해를 주게 되었다(Parrella, 1987; Han et al., 1996).
아메리카잎굴파리의 최대 성충 포획량을 나타내는 기간은? 시설재배지를 중심으로 발생하는 아메리카잎굴파리는 비교적 고온에 잘 적응하는 해충으로 7-8 월에 최대 성충 포획량을 보이며, 겨울철에도 온실 내에서 세대를 형성하게 된다(Park et al.,2000, 2001).
아메리카잎굴파리는 유충일 때 식물체에 어떻게 피해를 주는가? , 1996). 이 해충의 피해는 유충이 엽육 조직에 터널을형성하면서 식해하는 것과 성충의 흡즙흔에 의한 잎 피해를 포함한다(Parrella and Keil, 1984). 이러한 작물체 잎에 대한 아메리카잎굴파리의 피해는 광합성 저하를 유발하고, 작물체의 상품성을 떨어뜨리는 경제적 손실을 낳게 된다(Trumbl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radford, M.M. 1976.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fic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 dye binding. Anal. Biochem. 71: 248-254. 

  2. Cai, Y., Y. Maeda, A. Cedzich, V.E. Torres, G. Wu, T. Hayashi, T. Mochizuki, J.H. Park, R. Witzgall and S. Somlo. 1999.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cystin-2, the PKD2 gene product. J. Biol. Chem. 274: 28557-28565. 

  3. Chandler, L.D. and F.E. Gilstrap. 1986. Within-plant larva distribution of Liriomyza trifolii Burgess (Diptera: Agromyzidae) on Bell peppers. Environ. Entomol. 15: 96-99. 

  4. Chen, H.C. and S.R. D'Mello. 2010. Induction of neuronal cell death by paraneoplastic Ma1 antigen. J. Neurosci. Res. 88: 3508-3519. 

  5. Furguson, J.S. 2004. Development and stability of insecticide resistance in the leafminer Liriomyza trifolii (Diptera: Agromyzidae) to cyromazine, abamectin, and spinosad. J. Econ. Entomol. 97: 112-119. 

  6. Han, M.J., S.H. Lee, J.Y. Choi, S.B. Ahn and M.H. Lee. 1996. Newly introduced insect pest, american serpentine leafminer, Liriomyza trifolii (Burgess) (Diptera: Agromyzidae) in Korea. Kor. J. Appl. Entomol. 35: 309-314. 

  7. Hoffmeister, H., A.R. Gallagher, A. Rascle and R. Witzgall. 2010. The human polycystin-2 protein represents an integral membrane protein with six membrane-spanning domains and intracellular N- and C-termini. Biochem. J. 433: 285-294. 

  8. Kamimura, M. and M. Kiuchi. 2002. Applying fenoxycarb at the penultimate instar triggers an additional ecdysteroid surge and induces perfect extra larval molting in the silkworm. Gen. Comp. Endocrinol. 128: 231-237. 

  9. Kim, J.H., Y.W. Byoun, G.S. Lee and H.Y. Kim. 2007. Evaluation of biological control of Liriomyza trifolii (Burgess) (Diptera: Agromyzidae) using Diglyphus isaea (Walker) (Hymenoptera: Eulophidae) in three seasonal culture types of tomato greenhouse. Kor. J. Appl. Entomol. 46: 71-78. 

  10. Kim, Y., D. Kim and J. Lee. 2000. Disturbance of adult eclosion by fenoxycarb, a juvenile hormone mimic, in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J. Asia Pac. Entomol. 3: 103-111. 

  11. Ku, N.O., D.M. Toivola, P. Strand and M.B. Omary. 2010. Cytoskeletal keratin glycosylation protects epithelial tissue from injury. Nat. Cell Biol. 12: 876-885. 

  12. Lim, J.R., H.C. Moon, S.U. Choi, J.H. Kim, K.K. Lee, B.R. Ko, J.S. Choi, Y.K. Jeon and C.Y. Hwang. 2007. Economic injury levels of Liriomyza trifolii Burgess (Diptera: Agromyzidae) infesting eggplant in greenhouse. Kor. J. Appl. Entomol. 46: 409-414. 

  13. Liu, X., Y. Wang, H. Zhu, Q. Zhang, X. Xing, B. Wu, L. Song and L. Fan. 2010. Interaction of sedlin with PAM14. J. Cell Biochem. 109: 1129-1133. 

  14. Montpetit, B. and E. Conibear. 2009. Identification of the novel TRAPP associated protein Tca17. Traffic. 10: 713-723. 

  15. Moon, H.C., J.S. Choi and C.Y. Hwang. 2002. Ovi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Hemiptarsenus zilahisebessi (Hymenoptera: Eulophidae), ectoparasitoid of Liriomyza trifolii (Diptera: Agromyzidae). Kor. J. Appl. Entomol. 41: 21-25. 

  16. Park, J.D., Y.S. Ku, D.S. Choi and S.S. Kim. 2001. Damaged aspects, seasonal fluctuations, and attractivity of various colors on Liriomyza trifolii Burgess (Diptera: Agromyzidae) in Gerbera. Kor. J. Appl. Entomol. 40: 97-103. 

  17. Park, J.D., H.B. Lee, S.G. Kim, D.I. Kim, I.J. Park, S.C. Kim and K.C. Kim. 2000. Population dynamics and injuries by Liriomyza trifolii (Burgess) in chrysanthemum field. Kor. J. Appl. Entomol. 39: 141-147. 

  18. Parrella, M.P. 1987. Biology of Liriomyza. Annu. Rev. Entomol. 32: 201-224. 

  19. Parrella, M.P. and C.B. Keil. 1984. Insect pest management: the lesson of Liriomyza. Annu. Rev. Entomol. 32: 201-224. 

  20. SAS Institute. 1989. SAS/STAT User's Guide, Release 6.03, Ed. Cary, NC, USA. 

  21. Shin, H.J., M.J. Seo and Y.N. Youn. 2006. Ultrastructure of antennal sensilla on american leafminer, Liriomyza trifolii (Diptera: Agromyzidae). Kor. J. Appl. Entomol. 45: 119-129. 

  22. Singh, V.B., K.C. Corley, T.H. Phan and M.C. Boadle-Biber. 1990. Increases in the activity of tryptophan hydroxylase from rat cortex and midbrain in response to acute or repeated sound stress are blocked by adrenalectomy and restored by dexamethasone treatment. Brain Res. 516: 66-76. 

  23. Trumble, J.T. 1990. Vegetable insect control with minimal use of insecticides. Hortscience 25: 159-163. 

  24. Trumble, J.T., I.P. Ting and L. Bates. 1985. Analysis of physiological growth and yield response of celery to Liriomyza trifolii. Entomol. Exp. Appl. 38: 15-21. 

  25. Wei, J., L. Zou, R. Kuang and L. He. 2000. Influence of leaf tissue structure on host feeding selection by pea leafminer Liriomyza huidobrensis (Diptera: Agromyzidae). Zool. Studies 39: 295-300. 

  26. Yang, J., Z. Zhang, S.M. Roe, C.J. Marshall and D. Barford. 2009. Activation of Rho GTPases by DOCK exchange factors is mediated by a nucleotide sensor. Science 325: 1398-14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