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주파 처리에 따른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의 생리적 스트레스의 생화학적 분석
Biochemical Analysis of Physiological Stress Induced by High Frequency Sound Treatment in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원문보기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51 no.3, 2012년, pp.255 - 263  

김용균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자원과학과) ,  손예림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자원과학과) ,  서삼열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자원과학과) ,  박복리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자원과학과) ,  박정아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자원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주파 처리는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의 생리변화를 유발시켜 섭식행동, 발육 및 면역반응의 변화를 초래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고주파의 영향을 파밤나방의 생화학적 변화를 통해 분석했다. 고주파(5,000 Hz, 95 dB) 처리는 중장 상피세포의 단백질 합성과 분비를 억제시켰다. 또한 이 고주파 처리는 중장의 인지질분해(phospholipase $A_2$) 소화효소의 활성을 현격하게 억제시켰다. 고주파 처리는 세 종류의 열충격단백질과 지질운송단백질(apolipophorin III)의 유전자 발현을 변동시켰고 이러한 변화는 중장 조직에서 뚜렷했다. 혈림프 혈장에 존재하는 지질 및 유리당의 함량이 고주파 처리에 의해 현격하게 증가했다. 이러한 결과는 고주파 처리가 파밤나방의 체내 생화학적 변화를 유발시켜 생리적 교란을 유도하는 스트레스로 작용한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igh frequency sounds disrupt physiological processes, such as feeding behavior, development and immune responses of Spodoptera exigua. We analyzed high frequency sounds with respect to biochemical changes in S. exigua. High frequency sound (5,000 Hz, 95 dB) suppressed protein synthesis and secre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분석된 이들 곤충에서 고주파(특히, 5,000 Hz)는 발육 생리, 섭식 행동 및 산란 생리과정에 저해를 주었다. 본 연구는 특별히 발육 생리 저해에 관심을 두고 스트레스 음파가 이러한 생리적 저해에 미치는 영향이 생체 생화학적 변화에서 나타나는 지 여부를 조사했다.
  • , 2011). 본 연구에서는 파밤나방에서 밝혀진 3 가지 hsp 유전자들을 대상으로 음파 처리에 따른 발현을 분석하였다. hsp74 유전자를 제외하고 hsp70과 hsp83은 음파 처리에 따라 발현량이 억제되었다.
  • 이러한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스트레스 음파가 보여주는 생리적 교란 현상이 체내 생화학적 변화에 기인되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증명하려 수행되었다. 스트레스 음파에 대해 먼저 섭식 행동에 저하를 주는 원인을 찾고자 소화관의 단백질 합성 및 분비 능력을 이차원 전기영동으로 분석했다.

가설 설정

  • , 2011). 이러한 현상을 본 연구에서 분석한 스트레스 인자인 고주파 음파에 적용하여 생화학적 변화를 유도하는 가설을 세웠다(Fig. 5). 스트레스 음파가 없을 때에는 먹이에 존재하는 지질이 중장세포에서 분비되는 PLA2에 의해 분해되고, 이때 유리되는 lysophospholipid ('LP')는 다시 담즙으로 작용하여 다른 지질의 소화를 돕게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곤충이 발산하는 소리에는 무엇이 있는가? 소리는 일부 곤충들이 사용하는 통신 수단이다. 곤충이 발산하는 소리는 크게 충돌음, 마찰음 그리고 진동음을 나눌 수 있다. 충돌음은 곤충의 몸 부위를 다른 부위에 부딪치면서 나오는 소리를 일컫는다.
충돌음은 무엇인가? 곤충이 발산하는 소리는 크게 충돌음, 마찰음 그리고 진동음을 나눌 수 있다. 충돌음은 곤충의 몸 부위를 다른 부위에 부딪치면서 나오는 소리를 일컫는다. 예를 들어 여치류(Meconema thalassinum)가 풀잎 위에 앉아서 뒷다리로 잎 표면을 일정한 속도로 두드리면서 나오는 낮은 주파수의 음파가 주변의 같은 종에게 통신 신호로 이용되는 경우(Sismondo, 1980)로서 충돌음 통신으로 볼 수 있다.
스트레스 음파가 파밤나방에게 미친 영향은 무엇인가? 이들 곤충류는 모두 5,000 Hz의 주파수 소리에 생리적 반응이 교란되는 현상을 보였다. 파밤나방의 경우 유충의 섭식 활동이 둔화되고, 이에 따라 발육이 지연되며 면역 활동이 낮아지는 현상을 보였다(Park et al., 2011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damo, S.A., J.L. Roberts, R.H. Easy and N.W. Ross. 2008. Competition between immune function and lipid transport for the protein apolipophorin III leads to stress-induced immunosuppression in crickets. J. Exp. Biol. 211: 531-538. 

  2. Applebaum, S.W. 1985. Biochemistry of digestion. pp. 279-311. In Comprehensive insect physiology, biochemistry and pharmacology, vol. 4, eds. by G.A. Kerkut and L.I. Gilbert. Pergamon Press, Oxford, UK. 

  3. Arrese, E.L., L.E. Canavoso, Z.E. Jouni, J.E. Pennington, K. Tsuchida and M.A. Wells. 2001. Lipid storage and mobilization in insects: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Insect Biochem. Mol. Biol. 31: 7-17. 

  4. Baker, J.E. and S.M. Woo. 2005. Purification, partial characterization, and postembryonic levels of amylases from Sitophilus oryzae and Sitophilus granarius. Arch. Insect Biochem. Physiol. 2: 415-428. 

  5. Bradford, M.M. 1976.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fic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 dye binding. Anal. Biochem. 71: 248-254. 

  6. Dennis, E.A. 1994. Diversity of group types, regulation and function of phospholipase $A_{2}$ . J. Biochem. 269: 13057-13060. 

  7. Feder, M.E. and G.E. Hofmann. 1999. Heat-shock proteins, molecular chaperones, and the stress response: evolutionary and ecological physiology. Annu. Rev. Physiol. 61: 243-282. 

  8. Gade, G., K.H. Hoffmann and J.H. Spring. 1997. Hormonal regulation in insects: facts, gaps and future direction. Physiol. Rev. 77: 963-1032. 

  9. Goh, H.G., S.G. Lee, B P. Lee, G.M. Choi and J.H. Kim. 1990. Simple mass-rearing of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Kor. J. Appl. Entomol. 29: 180-183. 

  10. Halwani, A.E. and G.B. Dunphy. 1999. Apolipophorin-III in Galleria mellonella potentiates hemolymph lytic activity. Dev. Comp. Immunol. 23: 563-570. 

  11. Halwani, A.E., D.F. Niven and G.B. Dunphy. 2000. Apolipophorin- III and the interactions of lipoteichoic acid with the immediate immune responses of Galleria mellonella. J. Invertebr. Pathol. 76: 233-241. 

  12. Hartl, F.U. and M. Hayar-Hartl. 2002. Molecular chaperones in the cytosol: from nascent chain to folded protein. Science 295: 1852-1858. 

  13. Haskell, P.T. 1957. Stridulation and associated behaviour in certain Orthoptera. I. Analysis of the stridulation of, and behaviour between males. Anim. Behav. 5: 139-148. 

  14. Jang, Y. 2011. Insect communication: concepts, channels and contexts. Kor. J. Appl. Entomol. 50: 383-393. 

  15. Khasar, S.G., P.G. Green and J.D. Leine. 2005. Repeated sound stress enhances inflammatory pain in the rat. Pain 116: 79-86. 

  16. Kim, J. and Y. Kim. 2011. Three metabolites from an entomopathogenic bacterium, Xenorhabdus nematophila, inhibit larval development of Spodoptera exigua (Lepidoptera: Noctuidae) by inhibiting a digestive enzyme, phospholipase $A_{2}$ . Insect Sci. 18: 282-288. 

  17. McIver, S.B. 1985. Mechanoreception. pp. 71-132. In Comprehensive insect physiology, biochemistry and pharmacology, vol. 6, eds. by G.A. Kerkut and L.I. Gilbert. Pergamon Press, Oxford, UK. 

  18. Park, J., J. Seok, S.V. Prasad and Y. Kim. 2011a. Sound stress alters physiological processes in digestion and immunity and enhances insecticidal susceptibility of Spodoptera exigua. Kor. J. Appl. Entomol. 50: 39-46. 

  19. Park, J., S.V. Prasad and Y. Kim. 2011b. Effects of sound stress on physiological processes of the American leafminer, Liriomyza trifolii, and proteomic analysis. Kor. J. Appl. Entomol. 50: 131-139. 

  20. Radvanyi, F., L. Jordan, F. Russo-Marie and C. Bon. 1989. A sensitive and continuous fluorometric assay for phospholipase $A_{2}$ using pyrene-labeled phospholipids in the presence of serum albumin. Anal. Biochem. 177: 103-109. 

  21. SAS Institute, Inc. 1989. SAS/STAT User's Guide, Release 6.03, Ed. Cary, NC, USA. 

  22. Seok, J., T. Kang and Y. Kim. 2010. Sound stress induces developmental alterations and enhances insecticide susceptibility in the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Kor. J. Pestic. Sci. 14: 415-420. 

  23. Sismondo, E. 1980.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drumming of Meconema thalassinum. J. Insect Physiol. 26: 209-212. 

  24. Shrestha, S., Y. Park, D. Stanley and Y. Kim. 2010. Genes encoding phospholipase $A_{2}$ mediate insect nodulation reactions to bacterial challenge. J. Insect Physiol. 56: 324-332. 

  25. Son, Y., J. Hwang and Y. Kim. 2012. Functional study of the gene encoding apolipophorin III in development and immune responses in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J. Asia Pac. Entomol. 15: 106-112. 

  26. Stanley, D.W. 2006. Prostaglandins and other eicosanoids in insects: biological significance. Annu. Rev. Entomol. 51: 25-44. 

  27. Stephen, R.O. and J.C. Hartley. 1995. Sound production in crickets. J. Exp. Biol. 198: 2139-2152. 

  28. Tera, W.R. 1990. Evolution of digestive systems in insects. Annu. Rev. Entomol. 35: 181-200. 

  29. Velki, M., D. Kodrik, J. Vecera, B.K. Hackenberger and R. Socha. 2011. Oxidative stress elicited by insecticides: a role for the adipokinetic hormone. Gen. Comp. Endocrinol. 172: 77-84. 

  30. Walter, S. and J. Buchner. 2002. Molecular chaperons-cellular machines for protein folding. Angew. Chem. Int. Ed. 41: 1098-1113. 

  31. Weers, P.M.M. and R.O. Ryan. 2006. Apolipophorin III: role model apolipophorin. Insect Biochem. Mol. Biol. 36: 231-240. 

  32. Xu, Q., Q. Zou, H. Zheng, F. Zhang, B. Tang and S. Wang. 2011. Three heat shock proteins from Spodoptera exigua: Gene cloning, characterization and comparative stress response during heat and cold shocks. Comp. Biochem. Physiol. B 159: 92-102. 

  33. Young, D. and H.C. Bennet-Clark. 1995. The role of the tymbal in cicada sound production. J. Exp. Biol. 198: 1001-10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