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꾸지뽕나무 부위별 추출물의 생리활성 탐색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Cudrania tricuspidat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7, 2011년, pp.942 - 948  

이혜진 (한국식품연구원) ,  도정룡 (한국식품연구원) ,  권중호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현구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꾸지뽕나무를 잎, 줄기, 열매로 부위별 추출조건에 따른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알아보고자 전자공여작용, 총 폴리페놀 함량, SOD 유사활성, tyrosinase 저해 효과, 아질산염 소거작용AC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의 경우 추출용매에 따라 70% 에탄올>70% 메탄올>물 추출물순으로 활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줄기의 70% 에탄올 추출물이 90.20%로 가장 높았다(p<0.05). 이는 비교물질인 Lascorbate의 활성보다 높은 수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결과 모든 추출조건에서 잎 추출물이 가장 많은 폴리페놀을 함유하고 있었다(p<0.05). 또한 추출용매에 따라 70% 메탄올 추출물들이 폴리페놀을 많이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SOD 유사활성은 잎의 물 추출물이 64.54%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p<0.05). Tyrosinase 저해효과에서는 열매 추출물이 가장 높은 저해능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모든 추출물이 산성조건에서 소거능이 높게 나타났고, 추출조건과 상관없이 잎 추출물의 소거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ACE 저해 활성은 열매 물 추출물에서 85.14%의 활성을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다. 꾸지뽕 나무의 부위 및 용매에 따라 각각 활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활성이 다소 뛰어난 잎의 경우, 일상에서도 쉽게 구할 수 있어 일반인들이 식용으로 이용하기 용이하므로 차와 음료 등의 건강 음료개발을 통해 소비를 활성화할 수 있다. 그 외 줄기, 열매 등도 잎과 함께 이를 이용한 환, 캡슐 등의 다양한 기능성식품으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the leaf, stem, and fruit of Cudrania tricuspidata were investigated. The electron-donating ability (EDA) of the 70% (v/v) ethanolic extract of stem was 90.20%; this was the highest value of all the extracts tested and higher than the L-ascorbate solu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활성이 다소 뛰어난 잎의 경우, 일상에서도 쉽게 구할 수 있어 일반인들이 식용으로 이용하기 용이하므로 차와 음료 등의 건강 음료개발을 통해 소비를 활성화할 수 있다. 그 외 줄기, 열매 등도 잎과 함께 이를 이용한 환, 캡슐 등의 다양한 기능성식품으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또한, 현대사회에서 각종 질병 치료 및 예방 등 건강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를 부합하기 위한 다양한 약과 기능성식품의 개발이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다양한 생리활성 실험을 통해 꾸지뽕나무의 기능성을 입증하고, 기능성 제품 개발의 기초자료로 이용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꾸지뽕나무를 잎, 줄기, 열매로 다양한 부위로 나누어 추출용매를 다양화하여 추출한 추출물에 대하여 전자공여작용, 총 폴리페놀 함량, SOD 유사활성, tyrosinase 저해효과, 아질산염 소거능, ACE 저해 활성 측정을 통해 생리활성을 탐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꾸지뽕나무란?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는 뽕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소교목 또는 관목으로 굿가시나무라고도 한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며 주로 산기슭의 양지쪽에 서식한다.
꾸지뽕나무는 한방에서 어떤 질병의 치료에 사용되었는가? 나무의 껍질과 뿌리는 약용이나 종이의 원료로 이용된다. 한방에서는 주로 잎을 습진, 유행성 이하선염, 폐결핵, 타박상, 만성요통, 급성관절염 등의 치료에 사용하고 있으며, 민간에서도 열매와 수피를 악창, 강장, 중풍, 이뇨, 진해 등의 치료에 이용하였다(1). 동의보감에서는 자양, 강장 효능, 음위, 불면증, 시력감퇴에 효과가 크고, 뿌리와 줄기껍질은 여성 질환에 좋다고 기록되어 있을 정도로 약리적 목적으로 꾸준히 사용되어 왔다(2).
꾸지뽕나무에 관한 연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러한 꾸지뽕나무에 관한 연구도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6,8-p-hydroxybezenyltaxifolin, 6-p-hydroxybezenyltaxifolin, 8-p-hydroxybezenyltaxifolin(3), kaempferol, kaempferol 7-0-β-D-glucopyranoside, kaempferide 7-0-β-Dglucopyranoside, naringenin 7-0-β-D-glucopyranoside(4) 등의 다양한 성분 연구가 보고되어 있고, 항암활성 연구(5), 항균활성 연구(6-8), 항당뇨 효과(9), 지질 산화억제작용(10) 및 세포독성(11) 등 다양한 효능 연구를 통해 꾸지뽕나무의우수성이 밝혀져 왔다. 그러나 이 식물의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가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Kangjoshineuihakwon. 1985. Jungyakdesajon. 2nd ed. Sohakkyan, Shanghai, China. p 2383. 

  2. Choi SR, You DH, Kim JY, Park CB, Kim DH, Ryu J. 2009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s from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according to harvesting parts and time.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7: 115-120. 

  3. Fujimoto T, Nomura T. 1985. Components of root bark of Cudrania tricuspidata 3. Isolation and structure studies on the flavonoids. Planta Med 51: 190-196. 

  4. Park IC, Young HS, Choi JS. 1992. Constituents of Cudrania tricuspidata in Korea. Yakhak Hoeji 36: 40-45. 

  5. Lee IK, Kim CJ, Song KS, Kim HM, Koshino H, Uramoto M, Yoo ID. 1996. Cytotoxic benzyl dihydroflavonols from Cudrania tricuspidata. Phytochemistry 41: 213-216. 

  6. Kim SH, Kim NJ, Choi JS, Park JC. 1993. Determination of flavonoid by HPLC and biological activities from the leaves of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J Korean Soc Food Nutr 22: 68-72. 

  7. Lee BW, Kang NS, Park KH. 2004. Isolation of antibacterial prenylated flavonoids from Cudrania tricuspidata.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270-273. 

  8. Choi SR, You DH, Kim JY, Park CB, Kim DH, Ryu J, Choi DG, Park HM. 2009. Antimicrobial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according to the parts harvested and time.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7: 335-340. 

  9. Park WY, Ro JS, Lee KS. 2001. Hypoglycemic effect of Cudrania tricuspidata root bark. Kor J Pharmacogn 32: 248-252. 

  10. Cha JY, Kim HJ, Cho YS. 2000. Effect of water soluble extract from leaves of Morus alba and Cudrania tricuspidata on the lipid peroxidation in tissues of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531-536. 

  11. Kang DG, Hur TY, Lee GM, Oh HC, Kwon TO, Sohn EJ, Lee HS. 2002. Effects of Cudrania tricuspidata water extract on blood pressure and renal functions in NO-dependent hypertension. Life Sci 70: 2599-2609. 

  12.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8-1200. 

  13.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a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9. 

  14. Marklund S, Marklund G. 1975. Involvement of superoxide amino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8-474. 

  15. Gray JI, Dugan Jr LR. 1975. Inhibition of N-nit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 J Food Sci 40: 981-984. 

  16. Wong TC, Luh BS, Whitaker JR. 1971.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phenol oxidase of clingstone peach. Plant Physiol 48: 19-23. 

  17. Cushman DW, Chung HS. 1971. Spectrophotometric assay and properties of th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of rabbit lung. Biochem Pharmacol 20: 1637-1648. 

  18. Kim HJ, Cha JY, Choi ML, Cho YS. 2000. Antioxidative activities by water-soluble extracts of Morus alba and Cudrania tricuspidata.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3: 148-152. 

  19. Sa JH, Jin YS, Shin IC, Shim TH, Wang MH. 2004. Photoprotective effect and antioxidative activity from different organs of Morus bombycis Koidzumi. Kor J Pharmacogn 35: 207-214. 

  20. Cha JY, Kim HJ, Chung CH. Cho YS. 1999.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contents of polyphenolic compound of Cudrania tricuspid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310-1315. 

  21. Kang MH, Choi CS, Kim ZS, Chung HK, Min KS, Park CG, Park HW. 2002.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prepared from leaves, seed, branch and aerial part of Crotalaria sessiflora L.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098-1102. 

  22. Seo SJ, Kim NW. 2010. Physiological activities of leaf and root extracts from Liriope platyphylla. Korean J Food Preserv 17: 123-130. 

  23. Lee HJ, Do JR, Kwon JH, Kim HK. 2010. Antioxidant effects of Viscum album L. extracts by extraction condi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4-19. 

  24. Ju MJ, Kwon JH, Kim HK. 2009. Physiological activities of mulberry leaf and fruit extracts with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Preserv 16: 442-448. 

  25. Song HS, Kim DP, Jung YH, Lee MK. 2007. Antioxidant activities of red hamcho (Salicornia herbacea L.) against lipid peroxidation and the formation of radicals. Korean J Food Nutr 20: 150-157. 

  26. Jung SW, Lee NK, Kim SJ, Han DS. 1995. Screening of tyrosinase inhibitor from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891-896. 

  27. Jung SW, Lee NK, Kim SJ, Han DS. 1995. Screening of tyrosinase inhibitor from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891-896. 

  28. Park YS, Jang HG. 2003. Lactic acid fermenta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6: 367-375. 

  29. Ye EJ, Kim SJ, Nam HS, Park EM, Bea MJ. 2010. Physiological evaluation of Korean mountain ginseng and Korean mountain ginseng leaf tea. Korean J Food Culture 25: 350-356. 

  30. Kytopoulos SA. 1987. Ascorbic acid and formation of N-nitroso compounds; possible role of ascorbic acid in cancer prevention. Am J Clin Nutr 45: 1344-1350. 

  31. Na GM, Han HS, Ye SH, Kim HK. 2004. Physiological activity of medicinal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1: 388-393. 

  32. Manjusri D, Richard LS. 1975. Pulmonary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J Biol Chem 250: 6762-676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