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화적 손상에 대한 꾸지뽕나무 잎, 열매 및 줄기 추출물의 간세포 보호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 of Curdrania tricuspidata Extracts against Oxidative Damag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1, 2012년, pp.7 - 13  

김옥경 (경희대학교 의학영양학과) ,  호진녕 (경희대학교 의학영양학과) ,  남다은 (경희대학교 의학영양학과) ,  전우진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황권택 (남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강정은 ((주)바람마지) ,  채옥순 ((주)바람마지) ,  이정민 (경희대학교 의학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간 손상 개선 소재 개발을 위하여 꾸지뽕나무 각 부위별(잎, 줄기, 열매), 용매별(80% 에탄올, 10% 에탄올, 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간세포 보호효과를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꾸지뽕 잎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부위별로는 잎>줄기>열매 순이었고, 추출용매별로는 80% 에탄올>10% 에탄올>물 추출물 순으로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능ABTS 라디칼 소거능 또한 잎80%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았으며, HepG2 세포에서 $H_2O_2$로 유도된 산화적 손상에 대해서는 꾸지뽕 잎 80% 에탄올 추출물만 유의적으로 높은 세포보호활성을 나타내었으며, HepG2/2E1 세포에서 알코올로 유도된 산화적 손상에 대한 각 부위별, 용매별 추출물의 간세포보호효과 또한 꾸지뽕잎 80%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부위별로는 잎>줄기>열매 순이었고, 추출 용매별로는 꾸지뽕 잎의 경우 80% 에탄올>10% 에탄올>물 순이었으며, 줄기와 열매의 경우는 용매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H_2O_2$와 알코올로 유도된 간 손상으로부터 간세포 보호활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간 손상으로부터 간세포 보호효과를 갖는 기능성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of extracts from the leaves, stems, and fruit of Cudrania tricuspidata (CT) against $H_2O_2$ or ethanol-induced oxidative damage.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was the highest in the 80% ethanol extracts from the 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2O2와 알코올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한 간세포에서 꾸지뽕나무의 각 부위별, 용매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세포 보호효과를 측정함으로써 산화적스트레스에 의한 간 손상 개선 소재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꾸지뽕나무 추출물의 간세포 보호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HepG2 세포에 활성산소의 일종인 H2O2를 400 μM 농도로 처리하여 산화적 손상을 일으킨 후 산화적손상에 대한 세포독성을 XTT assay로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간 손상 개선 소재개발을 위하여 꾸지뽕나무 각 부위별(잎, 줄기, 열매), 용매별(80% 에탄올, 10% 에탄올, 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간세포 보호효과를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꾸지뽕 잎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부위별로는 잎>줄기>열매 순이었고, 추출용매별로는 80% 에탄올>10% 에탄올>물 추출물 순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은 체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 기관인가? 간은 인체에서 가장 큰 기관으로 유해한 약물, 독성물질, 화학물질 등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과량의 독성 물질, 만성적인 알코올 섭취 및 감염에 의한 산화적스트레스(oxidative stress)는 간질환의 주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1-4).
꾸지뽕나무의 뿌리, 수피, 근피는 무엇으로 사용되는가? 꾸지뽕나무(Curdrania tricuspidata Bureau)는 뽕나무과(Molaceae)에 속하는 낙엽활엽 소교목으로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지에 자생하는 식물이며, 줄기에는 가시가 있고 10월경 붉은 열매를 맺는 특징이 있다(13, 14). 뿌리는 황색을 띄어 염료로 사용되며, 수피는 제지에, 근피는 약용으로 사용된다(13). 또한 꾸지뽕나무 잎은 습진, 폐결핵, 타박상, 급성 관절염 등의 치료에 사용되며 줄기는 주로 부인병 치료에, 열매는 청열과 양혈을 다스리는데 이용되고 있다(13, 15).
분류학상 꾸지뽕나무란? 꾸지뽕나무(Curdrania tricuspidata Bureau)는 뽕나무과(Molaceae)에 속하는 낙엽활엽 소교목으로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지에 자생하는 식물이며, 줄기에는 가시가 있고 10월경 붉은 열매를 맺는 특징이 있다(13, 14). 뿌리는 황색을 띄어 염료로 사용되며, 수피는 제지에, 근피는 약용으로 사용된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ederbaum AI, Lu Y, Wu D. 2009. Role of oxidative stress in alcohol-induced liver injury. Arch Toxicol 83: 519-548. 

  2. Caro AA, Cederbaum AI. 2004. Oxidative stress, toxicology, and pharmacology of CYP2E1. Ann Rev Pharmacol Toxicol 44: 27-42. 

  3. An CS, Jin HL, Jeon YH, Bak JP, Kim JD, Yoon JH, Lim BO. 2010. Immunoregulatory effects of water extracts of Inonotus obliquus i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liver damage animal model.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8: 1-8. 

  4. Nieva MM, San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5. Papa S, Skulachev VP. 1997. Reactive oxygen species, mitochondria, apoptosis and aging. Mol Cell Biochem 174: 305-319. 

  6. Cho SH, Choi YJ, Rho CW, Choi CY, Kim DS, Cho SH. 2008. Reactive oxygen species and cytotoxicity of bamboo (Phyllostachys pubescens) sap. Korean J Food Preserv 15: 105-110. 

  7. Reddy BS, Reddy RK, Reddy BP, Ramakrishna S, Diwan PV. 2008. Potential in vitro antioxidant and protective effects of Soymida febrifuga on ethanol induced oxidative damage in HepG2 cells. Food Chem Toxicol 46: 3429-3442. 

  8. Wallace DC. 1992. Mitochondria genetics: a paradigm for aging and degenerative diseases? Science 256: 628-632. 

  9. Mari M, Cederbaum AI. 2001. Induction of catalase, alpha, and microsomal glutathione S-transferase in CYP2E1 overexpressing HepG2 cells and protection against shortterm oxidative stress. Hepatology 33: 652-661. 

  10. You Y, Jung KY, Lee YH, Jun W, Lee BY. 2009. Hepatoprotective effects of Hovenia dulcis fruit on ethanol-induced liver damage in vitro and in viv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54-159. 

  11. Cederbaum AI. 2006. CYP2E1--biochemical and toxicological aspects and role in alcohol-induced liver injury. Mt Sinai J Med 73: 657-672. 

  12. Lu Y, Cederbaum AI. 2008. CYP2E1 and oxidative liver injury by alcohol. Free Radic Biol Med 44: 723-738. 

  13. Kim JY, Chung JH, Hwang I, Kwan YS, Chai JK, Lee KH, Han TH, Moon JH. 2009. Quantification of quercetin and kaempferol contents in different parts of Cudrania tricuspidata and their processed foods. Kor J Hort Sci Technol 27: 489-496. 

  14. Choi SR, You DH, Kim JY, Park CB, Kim DH, Ryu J. 2009.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Curdrania tricuspidata Bureau according to harvesting parts and time. Korean J Med Crop Sci 17: 115-120. 

  15. Joo HY, Lim KT. 2009. Protective effect of glycoprotein isolated from Cudrania tricuspidata on liver in $CCl_4$ -treated A/J m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93-99. 

  16. Kim HJ, Cha JY, Choi MR, Cho YS. 2000.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orus alba and Cudrania tricuspidata.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3: 148-152. 

  17. Park JC, Choi JS, Choi JW. 1995. Effects of the fractions from the leaves, fruits, stems and roots of Cudrania tricuspidata and flavonoids on lipid peroxidation. Kor J Pharmacogn 26: 377-384. 

  18. Singleton VL, Orthofer R, Lamuela-Raventos RM. 1999. Analysis of total phenols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and antioxidants by means of Folin-Ciocalteau reagent. Methods Enzymol 299: 152-178. 

  19.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0.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 Med 26: 1231-1237. 

  21. Lim YM, Kim BR, Hong KY. 2008. Antioxidant effect of Crataegi Fructus extract on the oxidative stress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 cultured human skin fibroblasts. Kor J Ori Physiol Pathol 22: 115-119. 

  22. Lee JS, Han GC, Han GP, Nobuyuki K. 2007.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of Cudrania tricuspidat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696-702. 

  23. Sanchez-Moreno C. 2002. Methods used to evaluate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foods and biological systems. Food Sci Technol Int 8: 121-137. 

  24. Kang YH, Park YK, Oh SR, Moon KD. 1995.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978-984. 

  25. Chon IJ. 2003. Anti-oxidant compounds of Cudrania tricuspidata leaves. Master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26. Lee YM, Bae JH, Jung HY, Kim JH, Park DS. 2011. Antioxidant activity in water and methanol extracts from Korean edible wild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29-36. 

  27. Loft S, Astrup A, Buemann B, Poulsen HE. 1994. Oxidative DNA damage correlates with oxygen consumption in humans. FASEB J 8: 534-537. 

  28. Lee SS, Buters JT, Pineau T, Fernandez-Salguero P. 1996. Role of CYP2E1 in the hepatotoxicity of acetaminophen. J Biol Chem 271: 12063-12067. 

  29. Lee YH, Lee J, Im EJ, Jun W, Cho HY. 2009. Modulation of ethanol-induced P450 enzyme activities and antioxidants in mice by Hordeum vulgare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347-1352. 

  30. Kahraman A, Cakar H, Koken T. 2011. The protective effect of quercetin on long-term alcohol consumption-induced oxidative stress. Mol Biol Rep (Epub).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