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양고추 착즙액을 첨가한 두부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Soybean Curd) Added with Cheongyang Hot Pepper (Capsicum Annuum L.) Juic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7, 2011년, pp.999 - 1005  

황인국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황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김하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이준수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헌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유선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청양고추즙을 두유량의 5%, 10%, 15%(v/v)가 되도록 첨가하여 제조한 두부의 품질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제조된 두부의 수분 함량은 청양고추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무첨가 두부에 비해 높았으며, 조단백,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은 청양고추즙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두부의 수율은 5% 청양고추즙 첨가 두부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청양고추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탁도 및 총산도는 증가하였으며, pH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두부의 색도는 청양고추즙을 첨가하였을 때 L값과 a값은 감소하고 b값은 증가하였다. 청양고추즙 첨가 두부의 견고성, 부착성, 탄력성, 검성, 씹힘성은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양고추즙 첨가 두부의 capsaicin, dihydrocapsaicin,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첨가량에 비례하여 각각 1.62~5.21, 0.35~1.33, 31.08~42.94 mg/100 g 및 4.14~6.26, 10.50~14.91 AEAC로 증가하였다. 두부의 관능검사 결과 점수는 청양고추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5% 첨가 두부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다소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두부 제조 시 청양고추즙의 첨가는 두부의 품질 특성은 유지하면서 관능적 특성 및 기능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적정 첨가량은 5% 이내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soybean curd) prepared with added Cheongyang hot pepper juice (CPJ). The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lipid, and crude ash contents of the control tofu were 82.98%, 10.26%, 4.86%, and 0.41%, respectively. The moisture c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양성분 및 생리적 효능이 우수한 고추의 이용 분야 확대와 소비자의 기호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청양고추 착즙액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두부의 품질 특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두부란? 두부는 콩을 이용한 대표적인 콩 가공식품으로 수용성 단백질(glycinin)을 추출하여 염이나 산으로 응고시킨 gel상의 식품으로 일반두부, 연두부, 순두부, 유부 등의 형태로 제조되고 있다. 두부의 품질은 대두의 종류, 두유의 농도, 가열 온도와 시간, 응고제의 종류와 양, 응고시간, 성형압력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4-6), 이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있다.
콩의 효능은 무엇인가? )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남아시아에서 널리 재배되었으며, 곡류를 주식으로 하고 동물성 단백질의 섭취가 부족한 동양 문화권에서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으로 오래전부터 소비되어 왔다(1). 콩에는 단백질(35~40%), 지방(15~20%), 탄수화물(35%) 등의 영양성분 이외에 mineral, oligosaccharide, dietary fiber, isoflavone, phytate, saponin, lecithin, phenolic acids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골다공증 예방,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혈압강하, 항산화, 항암, 항비만, 고지혈증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면서 서양에서도 soy foods에 대한 관심과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1-3).
청양고추즙 첨가량별로 제조한 두부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황색도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05) 증가하였다. 황색도(yellowness)를 나타내는 b값은 무첨가 두부가 17.72에서 청양고추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25.26~32.59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색은 식품의 기호성, 신선도, 성숙도, 품질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서 색도는 시각적 기호도의 척도로 이용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Kim JS. 1996. Current research trends on bioactive function of soybean. Korea Soybean Digest 13: 17-24. 

  2. Myung JE, Hwang IY. 2008. Func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oybean extract. Korea Soybean Digest 25: 23-29. 

  3. Shon DH. 1997. Nutritional and bioactive components of soymilk and cow's milk (a review). Korea Soybean Digest 14: 66-76. 

  4. Kim JY, Kim JH, Kim JK, Moon JD. 2000. Quality attributes of whole soybean flour tofu affected by coagulant and theirs concentration. Korean J Food Sci Thechnol 32: 402-409. 

  5. Lee BY, Kim DM, Kim KH. 1990. Studies on the processing aptitude of the Korean soybean cultivars for soybean curd.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363-368. 

  6. Chang CI, Lee JK, Ku KH, Kim WJ. 1990. Comparison of soybean varieties for yield. 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soybean cur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439-444. 

  7. Han MR, Kim MH.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orage improvement studies of Rubus coreanus added soybean curd. Food Engineering Progress 11: 167-174. 

  8. Kang NS, Kim JH, Kim JK.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curd mixed with freeze dried onion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4: 47-53. 

  9. Baik YK, Kim SH, Park I.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gwort-tofu with various sal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307-1311. 

  10. Woo KS, Ko JY, Seo MC, Song SB, Oh BG, Lee JS, Kang JR, Nam MH. 2009.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tofu (soybean curd) added sorghum (Sorghum bicolor L. Moench)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746-1752. 

  11. Choi GH, Kim KC, Lee KH. 2010. Quality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soft tofu supplemented with red ginseng extract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414-420. 

  12. Chung DO. 2010. Characteristics of tofu (soybean curd) quality mixed with Enteromorpha intenstinalis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745-749. 

  13. Cho YS, Cho MC, Suh HD. 2000. Current status and projects of national hot pepper industry in Korea. J Korean Capsicum Res Coop 6: 1-27. 

  14. Jeong EJ, Bang BH, Kim KP. 2005. The characteristics of Kimchi by the degree of hotness of powdered red pepper. Korean J Food & Nutr 18: 88-93. 

  15. Howard LR, Smith RT, Wagner AB, Villalon B, Burns EE, 1994. Provitamin A and ascorbic acid content of fresh pepper cultivars (Capsicum annuum L.) and processed jalapenos. J Food Sci 59: 362-365. 

  16. Kim S, Kim KS, Park JB. 2006. Changes of various chemical components by the difference of the degree of ripening and harvesting factors in two single-harvested peppers (Capsicum annuum L.).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615-620. 

  17. Materska M, Piacente S, Stochmal A, Pizza C, Olezek W, Peruka I. 2003. Isolation and structure elucidation of flavonoid and phenolic acid glycosides from pericarp of hot pepper fruit Capsicum annuum L. Phytochemistry 63: 893-898. 

  18. Choi SK, Kim SH, Choi EH, Shin KE, Lee JH, Lee MS. 2010.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Gochujang sauce by degree of hat taste. The Korean J of Culinary Research 16: 268-277. 

  19.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8-35. 

  20. Jung M, Hwang Y, Kim HY, Jeong HS, Park J, Park D, Lee J. 2010. Analyses of capsaicinoids and ascorbic acid in pepper (Capsicum annum L.) breeding lin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705-1709. 

  21. Hwang IG, Kim HY, Joung EM, Woo KS, Jeong JH, Yu KW, Lee J, Jeong HS. 2010. Changes in ginsenosid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with heating temperature and pressure. Food Sci Biotechnol 19: 941-949. 

  22. Kim KC, Hwang IG, Kim HY, Song HL, Kim HS, Jang KI, Lee J, Jeong H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and mineral, oxalate and phytate contents of tofu manufactured by recommended soybean cultivars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986-991. 

  23. Choi YO, Chung HS, Yoon KS. 2000. Effects of various concentration of natural materials on the manufacturing of soybean curd. Korean J Pastharvest Sci Technol 7: 256-261. 

  24. Kim MH, Shin MK, Hong GJ, Kim KS, Lee KA. 2010. Quality assessment of soybean curd supplemented with saltwort (Salicornia herbacea L.).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406-412. 

  25. Park BH, Cho HS, Jeon ER, Kim SD, Koh KM.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curd prepared with Lotus leaf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4: 315-320. 

  26. Kim JS, Choi SY.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curd with Omija extract. Korean J Food & Nutr 21: 43-50. 

  27. Park BH, Koh KM, Jeon ER.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prepared with Lycii fructus powder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586-595. 

  28. An SH, Lee SH, Park G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prepar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commercial Chungkukjang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258-265. 

  29. Kong S, Lee 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GABA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noodle prepared with germinated brown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274-280. 

  30. Kim DH, Lim MS, Kim YO. 1996. Effect of seaweeds addition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ybean curd. J Korean Soc Food Nutr 25: 249-254. 

  31. Chiang GH. 1986. HPLC analysis of capsaicins and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capsaicins and piperine by HPLC-ECD and UV. J Food Sci 51: 499-505. 

  32. Kim S, Park JH, Wang IK. 2002. Quality attributes of various varieties of Korean red pepper powders (Capsicum annuum L.) and color stability during sunlight exposure. J Food Sci 67: 2957-2961. 

  33. Yoon J, Jun JJ, Lim SC, Lee KH, Kim HT, Jeong HS, Lee J. 2010. Changes in selected components and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peppers depending on cultiv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731-736. 

  34. Ku KH, Kim NY, Park JB, Park WS. 2001. Characteristics of color and pungency in the red pepper for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231-237. 

  35. Rice-Evans CA, Miller NJ, Paganga G. 1997.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Trends in Plant Sci 2: 152-15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