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매생이 가루 첨가 두부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Prepared with Mesangi(Capsosiphon Fulvescens)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4 no.5, 2008년, pp.691 - 698  

정복미 (전남대학교(여수) 영양식품학) ,  신태선 (전남대학교(여수) 영양식품학) ,  김두운 (전남대학교(여수) 영양식품학) ,  정규화 (전남대학교(여수) 생명산업공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매생이 분말을 첨가한 두부를 제조한 후 이화학적, 관능적 품질 특성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매생이 두부의 수율은 대조구(매생이 가루 무첨가 두부)에 비해 높았으며,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수율은 높게 나타났다. 매생이 두부의 무기질함량은 칼륨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마그네슘으로 나타났다. 두부의 pH는 매생이 두부가 대조구에 비해 다소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매생이를 첨가한 두부의 색도는 대조구에 비해 L값(명도)과 a값(적색도)이 유의적으로(p<0.05) 낮게 나타났다. 매생이 두부의 texture 측정에서 두부의 견고성은 대조구에 비해 2% 첨가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견고성은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부착성은 대조구에 비해 4% 매생이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매생이 첨가군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응집성은 2% 첨가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4%, 6% 첨가구는 응집성이 대조구와 2% 첨가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탄성, 검성 및 부서짐성은 2% 첨가구가 다른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두부의 미생물 측정에서 저장 12일까지의 총균수는 매생이 가루가 첨가된 두부가 대조구에 비해 미생물 증식을 지연시키는 결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2%, 6% 첨가군에 비해 4% 첨가군에서 지연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평가 결과에서 전반적으로 4% 첨가구가 좋은 결과를 나타내 매생이 두부 제품으로서의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curds (tofu) prepared with Mesangi (Capsosiphon fulvescens) powder (0, 2, 4, 6%, w/w) were investigated. The yields of the curds containing Mesangi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and the yield increased with increasing quant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매생이는 12월부터 2월 사이가 제철이며 일년 내내 섭취하기는 어려우므로 매생이를 이용한 가공식품의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매생이의 가공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동결건조한 매생이를 분말화 한 후 제조한 매생이 두부의 품질 특성을 측정하여 보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매생이를 첨가하여 제조한 두부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매생이를 첨가하여 제조한 두부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매생이를 첨가한 두부는 대조구에 비해 L값(명도)과 a값(적색도)이 유의적으로(p<0.05)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매생이 가루가 녹색을 띄고 있어 매생이 가루를 두부에 첨가함으로써 대조구에 비해 두부의 색이 어두워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매생이 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p<0.05) 낮게 나타나 색이 진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b값인 황색도는 대조구에 비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이는 Jung JY와 Cho EJ(2002)의 녹차가루를 첨가하여 제조한 두부의 색도에 대한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생이는 지형적으로 어떤 곳에서 자라는가? 반면 해조류 중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는 주로 우리나라 남해안 일대에 서식, 분포하고 있으며 지형적으로 후미지고 물이 잘 통하는 깨끗한 곳에서 자란다(Yang HC 등 2005). 매생이는 특이한 향기와 맛을 함유하며, 단 백질, 무기질, 비타민, 지방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식품이며(Yang HC 등 2005, Jung KJ 등 2005), 특히 매생이국은 남도의 대표적인 음식으로 예부터 숙취해소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두부에 관한 연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그러므로 중국, 일본뿐만 아니라 서양에서도 관심을 가진 세계적인 식품이다. 지금까지 두부에 관한 연구로는 두부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두부제조 시 기능성 물질을 첨가한 연구(Kang NS 등 2007, Park KN 등 2007, Park SJ 등 2007, Han MR 2006, Jeon MK와 Kim MR 2006, Shin YM 등 2005, Im JG 등 2004, Jung JY와 Cho EJ. 2002), 두부제조 시 천연 응고제를 이용한 연구(Lee SJ 등 2006, Shin YM 등 2005), 천연색소를 이용하여 두부에 색소를 흡착시킨 연구(Yoon KS와 Kim SD 1997), 두부 저장 시 저장기간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추출물이나 침지 용액을 이용한 연구(Oh SW 등 2002, Han MR과 Kim MH 2006, Park LY와 Lee SH. 2007) 등이 있다. 영양적으로 우수한 두부는 그러나 비타민이 부족하고 무기질 중요오드 성분이 부족하므로 두부는 해조류와 가장 잘 어울리는 음식중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OAC Intl.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p 777-784 

  2. Baek SH, Kang KH, Choi SN. 1996. Effect of seaweeds added in preparation of tofu. Korean J Food Sci Nutr 9(4):529-535 

  3. Han HA. 2002. A study of flavor on Capsosiphon fulvescens. MS thesis, Yosu National University, Yosu, Korea. pp 1-57 

  4. Han MR, Kim MH. 2006. Effects of alkaline ionic water and grapefruit seed extract added immersion solutions on storage characteristics of mulberry leaf soybean curd.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2):108-113 

  5. Hou HJ, Chang KC, Shin MC. 1997. Yield and textural properties of soft tofu as affected by coagulation method. J Food Sci 62(4):824 

  6. Im JG, Park IG, Kim SD.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added with basil water extrac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0(2):144-150 

  7. Jeon MK, Kim MR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prepared with herbs. Korean J Food Cookery Sci 22(1):30-36 

  8. Jung JY, Cho EJ. 2002. The effect of green tea powder levels on storage characteristics of tofu. Korean J Food Cookery Sci 18(2):129-135 

  9. Jung KJ, Jung CH, Pyeun JH, Choi YJ. 2005. Changes of food components in Mesangi (Capsosiphon fulvecense), Gashiparae (Enteromorpha prolifera), and Cheonggak (Codium fragile) depending on harvest tim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5):687-693 

  10. Kang NS, Kim JH, Kim JK.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curd mixed with freeze dried onion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4(1):47-53 

  11. Kim DH, Im MS, Kim YO. 1996. Effect of seaweed addition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ybean curd.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2):249-254 

  12. Kim DK. 2001. Study on artificial seeding of green algae Capsosiphon fulvescens.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pp 1-48 

  13. Kim GW, Kim GH, Kim JK, An HY, Hu GW, Son JK, Kim OS, Cho SY. 2008. Quality of tofu prepared with deep seawater as coagulant. J Kor Fish Soc 41(2):77-83 

  14. Kim SS, Park MK, Oh NS, Kim DC, Han MS, In MJ. 2003. Studies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helf-life of chlorella soybean curd(tofu).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6(1):12-15 

  15. Kim TY, Kim JM, Yoon IN, Chang CM. 1994.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soybean cheese making from cow's milk added soybean curd. J Korean Soc Food Sci Nutr 23(5): 837-844 

  16. Ku KH, Kim WJ. 1999. Status and prospect of soybean curd(Dubu) industry in Korea. Korea Soybean Digest 16(2):1-10 

  17. Kwon MJ, Nam TJ. 2006. Effect of mesangi (Capsosiphon fulvecens) powder on lipid metabolism in high cholesterol f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5):530-535 

  18. Lee BY, Kim DM, Kim KH. 1990. Studies on the processing aptitude of the Korean soybean cultivars for soybean curd. Korean J Food Sci Technol 22(3):363-368 

  19. Lee SM, Hwang IK. 1997. Texture characteristics of soybean-curds prepared with different coagulants and compositions of soybean curd whey. Korean J Food Cookery Sci 13(1):78-85 

  20. Lee SJ, Chung ES, Park G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coagulated by apricot juice. Korean J Food Cookery Sci 22(6):825-831 

  21. Min YH, Kim JY, Park LY, Lee SH, Park GS. 2007.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cts of tofu prepared with turmeric (Curcuma aromatica Salsb.). Korean J Food Cookery Sci 23(4):502-510 

  22. Mun YJ, Yoo HJ, Lee KE, Kim JH, Pyo HB, Woo WH. 2005. Inhibitory effect on the melanogenesis of Capsosipon fulvescens. Yakhak Hoeji 49(5):375-379 

  23. Oh SW, Lee YC, Hong HD. 2002. Effects on the shelf-life of tofu with ethanol extracts of Rubus coreanus miquel, Therminalia chebula Retz and Rhus javanica. Korean J Food Sci Technol 34(4):746-749 

  24. Park HY, Lim CW, Kim YK, Yoon HD, Lee KJ. 2006. Immunostimulating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 from Capsosiphon fulvescen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4):343-348 

  25. Park JC, Choi JS, Song SH, Choi MR, Kim KY, Choi JW. 1997. Heptoprotective effect of extracts and phenolic compound from marine algae in bromobenzene-treated rats. Korean J Phamacogn 28(4):239-246 

  26. Park KN, Park LY, Kim DG, Park GS, Lee SH. 2007. Effect of turmeric(Curcuma aromatica Salab.) on shelf life of tofu. Korean. J Food Preserv 14(2):136-141 

  27. Park LY, Lee SH. 2007. Effect of immersion in chitosan solutions on shelf life of tofu. J Chitin Chitosan 12(3):128-132 

  28. Park SJ, Park KJ, Jeong SW, Kim SJ, Youn KS. 2007. Effect of pediocin treatment on soybean curd quality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4(2):131-135 

  29. Park YG, Park BD, Choi KS. 1985. Changes in ultrastructure of tissues, characteristics of protein and soybean curd yield with increased soaking time during soybean curd process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14(4):381-386 

  30. Pyun JW, Kim HS, Park CK, Hwang IK. 1991. Effect of coagulant and additives on qualities of soybean curd tofu'. Korea Soybean Digest 8(2):15-23 

  31. Shin YM, Kwon OY, Lee KJ, Kim HY, Kim MR. 2005. Storage characteristics of tofu added with spinach juice. Chungnam Life Sci 18(1):75-82 

  32. Sung CJ. 1998. Nutrients and function of soybean curd. J East Diet Life 8(4):490-495 

  33. Yang HC, Jung KM, Gang KS, Song BJ, Lim HC, Na HS, Mun H, Heo NC. 2005.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seaweed fulvescens (Capsosiphon fulvesce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6):912-917 

  34. Yoon KS, Kim SD. 1997 Preparation of functional and coloring soybean curd using natural products. Korea Soybean Digest 14(2):21-26 

  35. Yoon WB, Kim BY, Hahm YT. 1997. Study up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and optimization of tofu bean products. Agric Chem Biol 40(3):225-2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