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akagi-Sugeno 추론기법과 신경망을 연계한 뉴로-퍼지 홍수예측 모형의 구축 및 적용 (I) : 최적 입력자료 조합의 선정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of Neuro-Fuzzy Real-Time Flood Forecasting Model by Linking Takagi-Sugeno Inference with Neural Network (I) : Selection of Optimal Input Data Combinations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4 no.7, 2011년, pp.523 - 536  

최승용 (국립방재연구소) ,  김병현 (캘리포니아 어바인) ,  한건연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토목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하천에서의 홍수예측을 위해 사용되는 기존의 수문학적 모형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개선한 홍수예측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수문학적 강우-유출 모형에서 사용되는 많은 수문학적 자료 및 매개변수들의 사용 없이 오직 수위 및 강우측정 자료만을 이용하여 홍수를 예측할 수 있는 Takagi-Sugeno 퍼지 추론기법과 신경망을 연계한뉴로-퍼지홍수예측 모형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뉴로-퍼지 홍수예측 모형의 예측정확도는 입력자료로 사용되는 강우와 수위 자료의 시간적 분포 및 자료의 수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홍수예측 모형 구축을 위한 최적 입력 자료 조합 선정을 위해 다양한 강우와 수위의 입력자료 조합을 구성하여 적용하였고, 이를 통해 홍수 예측을 위한 뉴러-퍼지 홍수예측 모형의 최적 입력 자료 조합을 선정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data driven model for the flood forecasting that are improved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hydrological model for flood forecasting in medium and small streams. Neuro-Fuzzy flood forecasting model which linked the Takagi-Sugeno fuzzy inference theory w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홍수예경보를 위해 사용하고 있는 수문학적 강우-유출 모형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위 및 강우자료만으로도 홍수예측이 가능한 Takagi-Sugeno 퍼지 추론 기법과 신경망을 연계한 뉴로-퍼지 홍수예측 모형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 그러나 이러한 자료 지향형 모형을 이용한 홍수예측의 경우 입력자료로 사용되는 강우와 수위 자료의 시간적 분포와 자료의 수를 어떻게 결정하는지에 따라 홍수예측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유역에 대한 홍수예측 모형 구축을 위한 최적 입력 자료 조합 선정을 위해 다양한 강우와 수위의 입력자료 조합을 구성하여 적용하였고, 이를 통해 홍수 예측을 위한 뉴로-퍼지 홍수예측 모형의 최적 입력 자료 조합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실제 유역에 대한 뉴로-퍼지 홍수예측 모형 구축을 위한 최적 입력 자료 조합 선정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섬강 시험 유역의 강우관측소와 수위 관측소의 10분 간격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최적 입력자료 조합에 대한 결과를 분석하여 최적 입력자료 조합을 선정하고 선정된 최적 입력자료 조합을 왕숙천과 갑천 유역에 적용하여 최적 입력자료 조합의 대표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물론 유역의 특성이 상이함으로 인해 섬강 유역에 대한 최적 입력자료 조합 결과가 다른 유역을 대표하지 않을 수도 있으나 유역면적과 유로연장이 비슷한 유역의 경우 강우와 수위만을 이용하여 입·출력 자료간의 관계를 통해 모형을 구축하는 뉴로-퍼지 모형의 특성상 자료 조합에 따른 결과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유추할 수 있었고 또 최적 입력자료 조합이 대표성을 가짐으로 인해 향후 비슷한 유역면적의 다른 유역에 대한 뉴로-퍼지 모형 구축이 용이할 것이라 판단하였다.
  • 예를 들면 현재 시간을 t시간이라 하면, 선행시간 t+1, t+2, t+3 시간의 수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수위 자료는 t, t-1시간의 자료, 강우자료는 t, t-1, t-2 시간의 자료를 사용할 것인지 혹은 수위 자료는 t, t-1, t-2 시간의 자료, 강우자료는 t, t-1 시간의 자료를 사용하거나 혹은 더 많은 자료들을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일은 좀 더 정확한 수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위와 강우자료를 어떻게 구성하는 것이 수위 예측의 정확도가 가장 우수한지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뉴로-퍼지 모형을 이용한 홍수예측의 최적 입력자료의 조합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 Test 2의 결과인 Table 5에서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R01_H012 입력 자료 조합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R01_H012의 입력 자료 조합이 가장 정확한 수위 예측을 하는 것으로 판단하였고 향후 홍수 예측을 위한 최적의 입력 자료로 선정하였다.
  • 현재 퍼지 논리 제어 시스템을 설계하는데 체계적인 방법은 없으며 지금까지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 중에 하나는 전문가의 know-how를 연구하여 주관적인 방법으로 소속 함수와 규칙을 결정하고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는지 여부를 시험해 보는 것이다. 만약 설계한 제어 시스템이 실제 적용에서 만족할만한 결과를 주지 못할 경우 소속 함수와 규칙들은 재조정 되며, 원하는 제어 시스템을 선정하기 위해서 여러 번의 시행착오와 재조정을 거쳐 소속 함수와 규칙이 결정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 사용된 뉴로-퍼지 모형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퍼지 추론 시스템이 2개의 입력 값과 한 개의 출력 값을 갖는다고 가정하면 1차 Takagi-Sugeno 퍼지 모형은 다음과 같은 2개의 규칙을 갖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홍수예측 모형은 어떤 문제를 개선한 것인가?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하천에서의 홍수예측을 위해 사용되는 기존의 수문학적 모형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개선한 홍수예측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수문학적 강우-유출 모형에서 사용되는 많은 수문학적 자료 및 매개변수들의 사용 없이 오직 수위 및 강우측정 자료만을 이용하여 홍수를 예측할 수 있는 Takagi-Sugeno 퍼지 추론기법과 신경망을 연계한뉴로-퍼지홍수예측 모형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하천범람 등 홍수재해에 의한 인명과 재산의 피해가 급증하고 있는 이유는? 최근에 들어 지구환경의 변화에 따른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태풍 및 집중호우로 인한 하천범람 등 홍수재해에 의한 인명과 재산의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한반도 지역에서는 집중호우와 태풍과 같은 이상강우로 인한 홍수피해의 발생이 매년 나타나고 있으며 홍수피해의 빈도와 강도는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홍수예측 모형 구축을 위한 최적 입력 자료 조합 선정을 위해 다양한 강우와 수위의 입력자료 조합을 구성하여 적용한 이유는?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하천에서의 홍수예측을 위해 사용되는 기존의 수문학적 모형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개선한 홍수예측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수문학적 강우-유출 모형에서 사용되는 많은 수문학적 자료 및 매개변수들의 사용 없이 오직 수위 및 강우측정 자료만을 이용하여 홍수를 예측할 수 있는 Takagi-Sugeno 퍼지 추론기법과 신경망을 연계한뉴로-퍼지홍수예측 모형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뉴로-퍼지 홍수예측 모형의 예측정확도는 입력자료로 사용되는 강우와 수위 자료의 시간적 분포 및 자료의 수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홍수예측 모형 구축을 위한 최적 입력 자료 조합 선정을 위해 다양한 강우와 수위의 입력자료 조합을 구성하여 적용하였고, 이를 통해 홍수 예측을 위한 뉴러-퍼지 홍수예측 모형의 최적 입력 자료 조합을 선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강일환(1999). ANFIS 이론을 이용한 상수도 일일 급수량 예측.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pp. 22-43. 

  2. 강일환(2005). 뉴로 퍼지와 뉴로 유전자 알고리즘을이용한 상수도 1일 급수량 예측.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3. 고영준(2001). 하천의 시유출량 예측을 위한 퍼지신경 회로망의 적용.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pp. 1-6, pp. 14-17. 

  4. 남의석(1997). 상수처리시스템의 응집제 주입공정을 위한 지능형 모델링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5. 문병석, 이경훈, 강일환(2000). 상수도 1일 급수량 예측을 위한 ANFIS 적용. 대한상하수도학회지, 대한상하수도학회, 제14권, 제3호, pp. 45-54. 

  6. 신성일(2002). 신경회로망과 뉴로-퍼지를 이용한 홍수량예측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일대학교. 

  7. 심재현(1992). 유수지 배수펌프장의 적정운용을 위한 퍼지제어모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8. 안상진, 전계원, 김진극 (2001). 중소하천의 유출수문곡선 예측을 위한 ANFIS의 적용. 건설기술논문집, 제 20권, 제2호, pp. 95-104. 

  9. 이재응, 최창원(2008). Neuro-Fuzzy 추론기법을 이용한 홍수 예?경보.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1권, 제3호, pp. 341-351. 

  10. 이정규, 이창해(1996). 저류함수의 시변성 매개변수 조정에 퍼지이론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29권, 제4호, pp. 149-159. 

  11. 진영훈(2000). 하천의 유출량 예측을 위한 인공 신경망 이론의 적용.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12. 황순기(1999). 비선형계 시스템의 수요 예측을 위한 뉴 로 퍼지 모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13. Aquil, M., Kita, I., Yano, A., and Nishiyama, S. (2007). A comparative study of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d neuro-fuzzy in continuous modeling of the daily and hourly behavior of runoff. Journal of Hydrology, Vol. 337, No. 1-2, pp. 22-34 

  14. Bae, D.-H., Jung, D.-M., and Kim, G.-S. (2007). Monthly dam inflow forecasting using weather forecasting information and Neuro-Fuzzy technique. Hydrologic Science Journal, Vol. 52, No. 1, pp. 99-113. 

  15. Brown, M., and Harris, C. (1994). Neuro-fuzzy adaptive modeling and control. Prentice Hall, New York. 

  16. Campolo, M., Andreussi, P., and Soldati, A. (1999a). River flood forecasting with a neural network model.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5, pp. 1191-1197. 

  17. Campolo, M., Soldati, A., and Andreussi, P. (1999b). Forecasting river flow rate during low-flow periods using neural network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5, pp. 3547-3552. 

  18. Chang, F.J., and Chen, Y.C. (2001). A counterpropagation fuzzy-neural network modeling approach to real time streamflow prediction. Journal of Hydrology, Vol. 245, pp. 153-164. 

  19. Chang, F.J., Chang, L.C., and Huang, H.L. (2002). Realtime recurrent learning neural network for streamflow forecasting. Hydrological Process, Vol. 16, pp. 2577-2588. 

  20. Coulibaly, P., Anctil, F., Aravena, and R., Bobee, B. (2001).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ing of water table depth fluctuation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7, pp. 885-896. 

  21. Daliakopoulos, I.N., Coulibalya, P., and Tsanis, I.K. (2005). Groundwater level forecasting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Journal of Hydrology, Vol. 309, pp. 229-240. 

  22. Firat, M., Turan, M.E., and Yurdusev, M.A. (2009). Comparative analysis of fuzzy inference systems for water consumption time series prediction. Journal of Hydrology, Vol. 374, pp. 235-241. 

  23. Gautam, D.K., and Holz, K.P. (2001). Rainfall-runoff modeling using adaptive neuro-fuzzy systems, Journal of Hydroinformatics, pp. 3-10. 

  24. Hsu, K., Gupta, H.V., and Sorooshian, S. (1995).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ling of the rainfall-runoff proces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1, pp. 2517-2530. 

  25. Hu, T.S., Lam, K.C., and Ng, S.T. (2001). River flow time series prediction with a range-dependent neural network. Journal of Hydrological Sciences, Vol. 46, pp. 729-745. 

  26. Imrie, C.E., Durucan, S., and Korre, A. (2000). River flow prediction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generalisation beyond the calibration range. Journal of Hydrology, Vol. 233, pp. 138-153. 

  27. Jain, A., Sudheer, K.P., and Srinivasulu, S. (2004). Identification of physical processes inherent in artificial neural network rainfall-runoff models. Hydrologic Process, Vol. 118, pp. 571-581. 

  28. Jang, J.-S. (1992) Self-learning fuzzy controllers based on temporal backpropagation. IEEE Trans Neural Netw, Vol. 3, No. 5, pp. 714-723. 

  29. Kumar, D.N., Raju, K.S., and Sathish, T. (2004). River flow forecasting using recurrent neural networks. Water Resources Management, Vol. 18, pp. 143-161. 

  30. Kurtulus, B., and Razack, M. (2009). Modeling daily discharge responses of a large karstic aquifer using soft computing methods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neuro fuzzy. Journal of Hydrology, Vol. 375, pp. 146-162. 

  31. Luk, K.C., Ball, J.E., and Sharma, A. (2001). An applica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s for rainfall forecasting. Math Computer Model, Vol. 33, pp. 683-693. 

  32. Nasr, A., and Bruen, M. (2008). Development of neuro fuzzy models to account for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in a lumped rainfall runoff model. Journal of Hydrology, Vol. 349, pp. 277-299. 

  33. Nayak, P.C., Sudheer, K.P., Rangan, D.M., and Ramasastri, K.S. (2005). Short-Term Flood Forecasting with a Neurofuzzy Model.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41, No. 4, W04004. 

  34. Ramirez, M.C.P., Velho, H.F.C., and Ferreira, N.J. (2005). Artificial neural network technique for rainfall forecasting applied to the Sao Paulo region. Journal of Hydrology, Vol. 301, pp. 146-162. 

  35. Shamseldin, A.Y. (1997). Application of a neural network technique to rainfall-runoff modelling. Journal of Hydrology, Vol. 199, pp. 272-294. 

  36. Shu, C., and Ouarda, T.B.M.J. (2008). Regional flood frequency analysis at ungauged sites using the adaptive neuro fuzzy inference system. Journal of Hydrology, Vol. 349, pp. 31-43. 

  37. Smith, J., and Eli, R.N. (1995). Neural network models of the rainfall-runoff process.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ASCE, Vol. 121, pp. 499-508. 

  38. Sudheer, K.P., Gosain, A.K., and Ramasastri, K.S. (2002). A data-driven algorithm for construct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rainfall-runoff models. Hydrologic Process, Vol. 16, pp. 1325-1330. 

  39. Tokar, A.S., Johnson, P.A. (1999). Rainfall-runoff modelling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4, pp. 232-239. 

  40. Yarar, M., Onucyildiz, M., and Copty, N.K. (2009). Modelling level change in lakes using neuro fuzzy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s. Journal of Hydrology, Vol. 365, pp. 329-334. 

  41. Yurdusev, M.A., and Firat, M. (2009). Adaptive neuro fuzzy inference system approach for municipal water consumption modeling An application to Izmir, Turkey. Journal of Hydrology, Vol. 365, pp. 225-234. 

  42. Zealand, C., Burn, D.H., and Simonovic, S.P. (1999). Short-term streamflow forecasting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Journal of Hydrology, Vol. 214, pp. 32-4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