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불소 바니쉬 도포 후 초기 치근 우식 발현에 대한 정량원소분석
Elemental analysis of the fluoride varnish effects on root caries initiation 원문보기

大韓齒科保存學會誌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perative Dentistry, v.36 no.4, 2011년, pp.290 - 299  

박세은 (서울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보존학교실) ,  이기욱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김혜영 (고려대학교 보건대학) ,  손호현 (서울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보존학교실) ,  장주혜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 목적: 우식 저 위험군에서 저 농도 불소 바니쉬가 초기 치근 우식 예방 및 치료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 재료 및 방법: 건전한 하악 소구치 10개를 준비하여 치관부를 제거하고 협설, 근원심 방향으로 치아 장축에 평행하게 절단 후 백악-법랑질 경계부 4 mm 하방에서 절단하여 40개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각각의 치근 표면에 형성된 4 mm ${\times}$ 1 mm 크기의 창에 Fluor Protector (1,000 ppm 불소 함유)를 도포하였다. 한 치아에서 나온 4 개의 시편을 다음과 같은 4개 실험군에 각각 배정하였다. A군: pH cycling 없이 불소 바니쉬 도포; B군: pH cycling시행 후 불소 바니쉬 도포; C군: 불소 바니쉬 도포 후 pH cycling시행; D군: pH cycling을 시행한 뒤 불소 바니쉬 도포 후 pH cycling 재 시행. 시편을 정중부에서 절단하고 단면 부위를 연마한 뒤 전자현미경으로 표면을 관찰하였다. X선 분광분석을 통하여 Ca과 P의 중량 비를 측정하고 공 초점 레이저 현미경으로 바니쉬가 도포된 치근 면을 관찰하였다. 결과: 치근 표면에는 평균 12.3 (2.6) ${\mu}m$ (single cycling) 과 19.6 (3.8) ${\mu}m$ (double cycling) 깊이의 우식이 형성되었다. 표층의 칼슘 함량은 정상 치근에 비해 유의할만한 차이가 없었으나(p > 0.05), 표층 하 탈회 영역의 칼슘 함량은 유의할만하게 감소하였다(p < 0.05). 불소 바니쉬의 적용은 건전한 치근이나 초기 우식이 있는 치근에 적용했을 경우 모두에서 유의할만한 차이를 가져오지 않았다(p > 0.05). 바니쉬의 치근 상아질 투과 깊이는 표면 15 ${\mu}m$ 이내에 한정되었다. 결론: 표층이 건전한 20 ${\mu}m$ 이내의 초기 치근 우식 병소의 양상과 산 공격에 대한 변화를 관찰한 결과, 저 농도의 불소 바니쉬를 단기간 적용하는 것은 치근의 탈회 반응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usage of fluoride varnish for a moderate to low caries-risk group has not been well validated.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reventive and therapeutic efficacies of fluoride varnish on the initiated root caries. Materials and Methods: Ten premolars were sectioned into quarters,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CLSM presents the cross-sectional image of the varnish impregnated root surface (×800). (a) Differential interference contrast image shows the varnish applied root surface without a fluorescent profile. (b) Laser fluorescence image shows the varnish layer as a band of red fluorescence.
  • (a) Differential interference contrast image shows the varnish applied root surface without a fluorescent profile. (b) Laser fluorescence image shows the varnish layer as a band of red fluorescence. In the upper middle, free remnant of varnish was detached from the dentin and the superficially infiltrated varnish remained in the surface.
  • A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CLSM, Zeiss LSM-Pascal, Carl Zeiss, Go¨ttingen, Germany) was used to determine the depth of varnish penetration into root tissue. We hypothesized that low concentration fluoride varnish applied to the root surface would influence the early profile of subsurface demineralization under a mild acid challeng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Heijnsbroek M, Paraskevas S, Van der Weijden GA. Fluoride interventions for root caries: a review. Oral Health Prev Dent 2007;5:145-152. 

  2. Hoppenbrouwers PM, Driessens FC, Borggreven JM. The mineral solubility of human tooth roots. Arch Oral Biol 1987;32:319-322. 

  3. Beltran-Aguilar ED, Goldstein JW, Lockwood SA. Fluoride varnishes. A review of their clinical use, cariostatic mechanism, efficacy and safety. J Am Dent Assoc 2000;131:589-596. 

  4. Strohmenger L, Brambilla E. The use of fluoride varnishes in the prevention of dental caries: a short review. Oral Dis 2001;7:71-80. 

  5. Petersson LG, Twetman S, Dahlgren H, Norlund A, Holm AK, Nordenram G, Lagerlof F, Soder B, Kallestal C, Mejare I, Axelsson S, Lingstrom P. Professional fluoride varnish treatment for caries control: a systematic review of clinical trials. Acta Odontol Scand 2004;62:170-176. 

  6. Weintraub JA. Fluoride varnish for caries prevention: comparisons with other preventive agents and recommendations for a community-based protocol. Spec Care Dentist 2003;23:180-186. 

  7. Damen JJ, Buijs MJ, ten Cate JM. Fluoride-dependent formation of mineralized layers in bovine dentin during demineralization in vitro. Caries Res 1998;32:435-440. 

  8. Herkstroter FM, Witjes M, Arends J. Demineralization of human dentine compared with enamel in a pH-cycling apparatus with a constant composition during de- and remineralization periods. Caries Res 1991;25:317-322. 

  9. Ettinger RL, Olson RJ, Wefel JS, Asmussen C. In vitro evaluation of topical fluorides for overdenture abutments. J Prosthet Dent 1997;78:309-314. 

  10. Hong L, Watkins CA, Ettinger RL, Wefel JS. Effect of topical fluoride and fluoride varnish on in vitro root surface lesions. Am J Dent 2005;18:182-187. 

  11. Ole Fejerskov EK, Edwina Kidd, Benten Yvad, and Vibeke Baelum. Dental caries: the disease and its clinical management. 2nd ed. Oxford, UK: Wiley-Blackwell; 2008. 

  12. Arnold WH, Cerman M, Neuhaus K, Gaengler P. Volumetric assessment and quantitative element analysis of the effect of fluoridated milk on enamel demineralization. Arch Oral Biol 2003;48:467-473. 

  13. Rehder Neto FC, Maeda FA, Turssi CP, Serra MC. Potential agents to control enamel caries-like lesions. J Dent 2009;37:786-790. 

  14. Hara AT, Queiroz CS, Freitas PM, Giannini M, Serra MC, Cury JA. Fluoride release and secondary caries inhibition by adhesive systems on root dentine. Eur J Oral Sci 2005;113:245-250. 

  15. Kawasaki K, Ruben J, Tsuda H, Huysmans MC, Takagi O. Relationship between mineral distributions in dentine lesions and subsequent remineralization in vitro. Caries Res 2000;34:395-403. 

  16. Rex T, Kharbanda OP, Petocz P, Darendeliler MA. Physical properties of root cementum: Part 4.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mineral composition of human premolar cementum.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5;127:177-185. 

  17. Lee C, Darling CL, Fried D. Polarization-sensitive optical coherence tomographic imaging of artificial demineralization on exposed surfaces of tooth roots. Dent Mater 2009;25:721-728. 

  18. Arends J, Christoffersen J. Nature and role of loosely bound fluoride in dental caries. J Dent Res 1990;69 Spec No:601-5;discussion 634-636. 

  19. Wefel JS. Root caries histopathology and chemistry. Am J Dent 1994; 7:261-265. 

  20. Smith PW, Preston KP, Higham SM. Development of an in situ root caries model. A. In vitro investigations. J Dent 2005;33:253-267. 

  21. Arends J, Duschner H, Ruben JL. Penetration of varnishes into demineralized root dentine in vitro. Caries Res 1997;31:201-205. 

  22. Monticelli F, Osorio R, Tay FR, Sadek FT, Ferrari M, Toledano M. Resistance to thermo-mechanical stress of different coupling agents used as intermediate layer in resin-fiber post bonds. Am J Dent 2007;20:416-420. 

  23. Scholtanus JD, Schuthof J, Arends J. Influence of fluoridating varnishes on dentine in vitro. Caries Res 1986;20:65-7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