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농촌지역 주민들의 OHIP-14와 EQ-5D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HIP-14 and EQ-5D of residents in some rural areas 원문보기

한국치위생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11 no.2, 2011년, pp.197 - 211  

이은경 (마산대학 치위생과) ,  박정희 (마산대학 치위생과) ,  박정란 (백석대학교 치위생학과) ,  박재용 (경북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OHIP-14 and EQ-5D were used, targeting the residents of farming communities to identify the elements that influence oral cavity's health and quality of life due to health and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oral cavity's health in order to increase health of adults' oral cavity and qual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상북도 고령군관내에 있는 4개의 보건소 및 보건진료소를 이용하는 만 40세 이상 일부 농촌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구강 및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성인들의 삶의 질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구강건강증진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자 2010년 7월 17일부터 8월 16일까지 일부 농촌지역 만 40세 이상 주민 600명을 대상으로 개별면접조사와 구강검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구강건강 및 건강관련 삶의 질에 관한 연구들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며, 특히 OHIP-14와 EQ-5D의 도구를 사용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농촌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OHIP-14와 EQ-5D를 이용하여 구강건강 및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성인들의 구강건강 및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강건강의 중요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EQ-5D란 무엇인가? 건강관련 삶의 질(HRQOL)을 측정하는 도구로 흔히 사용하는 것은 EQ-5D로 이는 EuroQol Group에 의해 개발된 다섯 가지 문항의 간결한 도구로 신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 사회적 건강과 관련된 개념들 각각의 수준을 파악함으로써 어떤 차원의 건강이 좋고 나쁜지를 알 수 있게 하며, 조사가 간단하여 환자의 나이와 성별, 건강문제의 종류와 상태에 관계없이 쉽게 사용될 수 있다4).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2005년부터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적용하고 있다.
OHIP-49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한편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을 측정하는 도구로는 Slade와 Spencer5)가 개발한 구강건강영향지수(Oral Health Impact Profile, OHIP-49)로 구강병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향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는 도구로 이전의 여러 연구에서 비교적 높은 신뢰성과 타당성 그리고 민감성이 입증되었으나6,7), 문항수가 많아 설문조사의 순응도가 떨어지고 그로 인해 응답 자료의 신뢰성이 낮아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어 도구의 성격은 최대한 유지하면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축소된 문항으로 구성된 OHIP-14가 개발되었으며8), OHIP-14도 OHIP-49와 같이 높은 신뢰성과 타당성이 입증되었다8-11).
우리나라에서는 언제부터 EQ-5D를 적용하고 있는가? 건강관련 삶의 질(HRQOL)을 측정하는 도구로 흔히 사용하는 것은 EQ-5D로 이는 EuroQol Group에 의해 개발된 다섯 가지 문항의 간결한 도구로 신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 사회적 건강과 관련된 개념들 각각의 수준을 파악함으로써 어떤 차원의 건강이 좋고 나쁜지를 알 수 있게 하며, 조사가 간단하여 환자의 나이와 성별, 건강문제의 종류와 상태에 관계없이 쉽게 사용될 수 있다4).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2005년부터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적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통계청. 2005년 고령자 통계, 2005. 

  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 조사 결과 심층분석 연구: 건강면접 및 보건의식 부문, 2007. 

  3. 송경희. 한국 성인의 건강 및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평가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서울:한양대학교 대학원;2007. 

  4. 김정연.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모형[박사학위논문]. 대전:충남대학교 대학원;2009. 

  5. Slade GD, Spencer AJ.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mmunity Dent Health 1994;11(1):3-11. 

  6. Locker D, Slade G. Oral health and the quality of life among older adults: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J Can Dent Assoc 1993;59(10):830-844. 

  7. Allen PF, McMollan AS, Locker D. An assessment of sensitivity to change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in an clinical trial. Community Dent Oral Epodemiol 2001;29(3):175-182. 

  8. Slade GD. Derivation and validation of a short-form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1997;25(4):284-290. 

  9. de Oliveira BH, Nadanovsky P.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Brazilian version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short form.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5;33(4):307-314. 

  10. Nuttall NM, Slade GD, Sanders AE, Steele JG, Allen PF, Lahti S. An empirically derived population-response model of the short form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6;34(1):18-24. 

  11. Fernandes MJ, Ruta DA, Ogden GR, Pitts NB, Ogston SA. Assessing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general dental practice in Scotland: validation of the OHIP-14.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6;34(1):53-62. 

  12. Richmond S, Chestnutt I, Shennan J, Brown B. The relationship of medical and dental factors to perceived oral and general health. Community Dent Epidemiol 2007;35(2):89-97. 

  13. Locker D, Matear D, Lawrence H. General health status and changes in chewing ability in older Canadians over seven years. J Public Health Dent 2002;62(2):70-77. 

  14.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전략개발연구. 서울: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0. 

  15. Brennan DS, Spencer AJ. Mapping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to generic health state values. BMC Health Serv Res 2006;6:96-106. 

  16. 김혜진. 산업근로자의 구강건강평가 및 삶의 질과의 관련성[석사학위논문]. 대구:계명대학교 대학원;2004. 

  17. 김지화. 구강보건이 전신건강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영남지역 일부 주민들을 대상으로[박사학위논문]. 대구:계명대학교 대학원;2007. 

  18. 배광학. 한국 노인의 삶의 질 관련 구강건강실태 및 구강건강사업모형 개발[박사학위논문]. 서울:서울대학교대학원;2005. 

  19. 류경자. 일부 노인의 구강건강 수준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련성[박사학위논문]. 대전:충남대학교 대학원;2008. 

  20. 이가령. 일부 농촌노인들의 의치만족도와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박사학위논문]. 대구: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2009. 

  21. 배지영. 노인의 구강건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대구:영남대학교 대학원;2009. 

  22. Steele JG, Sanders AE, Slade GD, Allen PF, Lahti S, Nuttall N, et al. How do age and tooth loss affect oral health impacts and quality of life? A study comparing two national sample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4;32(2):107-114. 

  23. Hassel AJ, Koke U, Schmitter M, Rammelsberg P. Factors associated with oral healthrelatedquality of life in institutionalized elderly. Acta Odontol Scand 2006;64(1):9-15. 

  24. John MT, Koepsell TD, Hujoel P, Miglioretti DL, LeResche L, Micheelis W. Demographic factors, denture status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4;32(2):125-132. 

  25. Ng SK, Leung WK.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periodontal statu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6;34(2):114-122. 

  26. 김기욱. 환자의 치위생학적 지식 및 실천정도가 구강건강영향지수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논문]. 대구:계명대학교 대학원;2007. 

  27. 윤미화. 성인의 구강건강과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연관성[석사학위논문]. 서울: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2008. 

  28. 정진아. 노인의 구강건강영향지수와 관련요인[박사학위논문]. 광주:조선대학교 대학원;2007. 

  29. McGath C, Bedi R. Can dental attendance improve quality of life. Br Den J 2001;190(5):262-265. 

  30. Sheiham A. Dental attendance and dental statu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1985;13:304-309. 

  31. Murray JJ. Attendance patterns and oral health. Br Dent J 1996;181:339-342 

  32. Brennan DS, Singh KA, Spencer AJ, Roberts-Thomson K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ealth Qual Life Outcomes 2006;4:83-93. 

  33. Heydecke G, Tedesco LA, Kowalski C, Inglehart MR. Complete dentures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do coping styles matter?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4;32(4):297-306. 

  34. 장문성. 한국노인의 치주건강상태가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2007. 

  35. 최순례, 정성화, 배현숙, 유영아, 최연희, 송근배. 기초생활수급대상 노인의치보철사업 수혜자의 의치 만족도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만족도 조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5;29(4):474-48 

  36. 이명선, 김설희, 양정승, 오정숙, 김동기. 65세 이상 일부 노인의 Oral Health Impact Profile의 타당도 및 신뢰도.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5;29(2):210-221. 

  37. Ikebe K, Matsuda K, Morii K, Wada M, Hazeyama T, Nokubi T, Ettinger RL. Impact of dry mouth and hyposalivation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elderlt Japanes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7;103(2):216-222 

  38. 이명선, 이장재. 김동기. 가중치 유무에 따른 구강 건강영향지수 평가방법의 판별력 비교.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6;30(4):469-479. 

  39. 이동호. 한국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박사학위논문]. 대구: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2009. 

  40. Macintyre S. Gender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common cold symptom. Social science and Medicine 1993;36:15-20. 

  41. Nan Luo, Jeffrey A. Johnson, James W. Shaw, David Feeny, Stephen Joel Coons. Self-reported health status of the general adult U.S. population as assessed by the EQ-5D and health utilities index. Medical Care 2005;43(11):1078-1086. 

  42. 성상석. 한국인에서 EQ-5D를 이용한 건강관련 삶의 질 측정[석사학위논문]. 서울:한양대학교 대학원; 2004 

  43. 윤명숙. 도시.농촌 노인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문제 음주 및 삶의 질 관계 연구, 노인복지연구, 38, 281-310, 2007. 

  44. Campbell A. Subjective measure of wellbeing, America Journal Psychologist, 1976;3(1):117. 

  45. Leao A, Sheiham A. The development of a socio-dental measure of dental impacts on daily living. Community Dent Health 1996;13(1):22-26. 

  46. Steele JG, Sanders AE, Slade GD, Allen PF, Lahti S, Nuttall N, et al. How do age and tooth loss affect oral health impacts and quality of life? A study comparing two national sample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4;32(2):107-114. 

  47. 우석류. 지역사회 노인들의 구강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대구:대구한의 대학교 대학원;2009. 

  48. Allen PF, McMillan AS, Walshaw D, Locker D. A comparison of the validity of generic and disease specific measure in the assessment of oral health reated quality of life.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1999; 227: 344-352. 

  49. I.-C. LEE, T.-Y. SHIEH, Y.-H. YANG. C.-C. TSAI & K.-H. WANG. Individuals' perception of oral healthand its impact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Journal of Oral Rehabilitation, 2007;34:79-8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