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관적인 구취인식도와 구강환경에 따른 구취성분과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halitosis components following by subjective cognition of halitosis and oral state 원문보기

한국치위생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11 no.2, 2011년, pp.263 - 275  

신경희 (신구대학 치위생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analysis of Halitosis components following by subjective cognition of halitosis and Oral State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halitosis prevention and establish a device to efficiently eliminate halitosis and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halitosis. 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기지역 치과를 방문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구취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알아봄으로써 구취예방 및 효율적인 구취제거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주관적으로 느끼는 개인의 구취에 대한 인식정도를 Visual Analogue Scale (VAS) 평가와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고 구취에 영향을 미치는 구강내 환경 요인들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구취성분 측정과 우식경험영구치지수 (DMFT)와 치주건강 지수인 지역사회치주요양필요지수(CPITN), 치은지수인 Gingival index와 설태 양 등을 검사하여 구취성분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이러하듯 구취발생의 요인과 과정은 복합적이고 복잡하기에 어느 한두 가지 요인으로 그 실체와 원인을 규명하기에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성인들을 대상으로 주관적 구취자각도와 각 구강 상태들과 구취 가스 성분들을 조사하고 비교 분석하여 인자들 상호간의 작용을 분석해 봄으로써 구취발생 요인을 보다 정확하고 합리적으로 분석해 보려고 시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구취 자각도와 객관적 검사를 통하여 구강내 환경 변인과 구취와의 관계를 조사하고 향후 임상에서의 적절한 구취조절 진료방향을 결정하는데 이론적, 임상적 자료로 활용하고자 치과를 방문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주관적으로 느끼는 개인의 구취에 대한 인식정도를 Visual Analogue Scale(VAS) 평가와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고 구취에 영향을 미치는 구강내 환경 요인들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구취성분 측정과 우식경험영구치지수(DMFT)와 치주건강 지수인 지역사회 치주지수(CPITN), 치은지수인(Gingival index)와 설태 양 등을 검사하여 구취성분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병리적 구취의 종류는 무엇이 있는가? 먼저 생리적 구취는 말 그대로 우리가 일상생활 가운데 생리적으로 종종 느끼는 입냄새를 말한다. 병리적 구취는 구강내 구취와 구강외 구취의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주로 황화수소(hydrogen sulfide)와 메틸메르캅탄(methyl mercaptan)이 주요 원인물질이다.
황화수소는 어떤 냄새를 일으키는가? 주로 황화수소(hydrogen sulfide)와 메틸메르캅탄(methyl mercaptan)이 주요 원인물질이다. 황화수소(hydrogen sulfide)는 특유의 계란이나 우유 썩는 냄새를 일으키고, 메틸메르캅탄(methyl mercaptan)은 김치냄새나 양파 썩는 냄새를 유발한다. 국소적 구강내 구취의 발생은 먼저 음식물 찌꺼기, 타액, 떨어져 나온 입안의 상피세포, 혈액 등이 입속에 남아 있게 되면 입안에 있는 많은 세균에 의해 부패되어 냄새가 발생할 수 있다1) .
병리적 구취의 주요 원인 물질은 무엇인가? 병리적 구취는 구강내 구취와 구강외 구취의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주로 황화수소(hydrogen sulfide)와 메틸메르캅탄(methyl mercaptan)이 주요 원인물질이다. 황화수소(hydrogen sulfide)는 특유의 계란이나 우유 썩는 냄새를 일으키고, 메틸메르캅탄(methyl mercaptan)은 김치냄새나 양파 썩는 냄새를 유발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김종배, 백대일, 문혁수 외 14인. 임상예방치학. 4판. 서울:고문사;2005:10-48. 

  2. Rosenberg M. 구취 진단 및 연구방법. 2판. 서울:신흥인터내셔날;1998:209-212. 

  3. 홍정표. 구취. 대한내과의사협회지 2000;73(3):29-31. 

  4. Rosenberg M. First international workshop on oral malodor. J Dent Res 1994;73(3):86-91. 

  5. Rosenberg M, Kozlovsky A, Wind Y, et. al. Self-assessment of oral malodor 1 year following initial consultation. Quintessence Int 1999;30(5):324-7. 

  6. H. Miyazaki,D. Yoshimatsu, et. al. Biochemical tongue cleaning for disabled elderly people, Effects of protease extracted from a plant on reduction of both tongue coating and VSCs, The 7th Conference of International Society for Breath Odor Research, International Society for Breath Odor Research, Chicago, USA(2007) 

  7. 함동선 외. 간이 정신진단검사를 이용한 구취환자들의 인성평가에 대한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98;23(4):361-5. 

  8. Tonzetich J. Production and origin of oral malodor: a review of mechanisms and methods of analysis. J Periodonto 1997;48(3):13-20. 

  9. 권진희, 장문택, 류성훈. 구취와 치주질환의 상관성 연구. 대한치주과학회지 2002;30(1):3-21. 

  10. Amano A, Yoshida Y, Oho T, et. al. Monitoring ammonia to assess halitosi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2;94(6):2-6. 

  11. 허혜영. 성인에서 구취실태와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천안:단국대학교 대학원;2003. 

  12. Figueiredo LC, Rosetti EP. The relationship of oral malodor in patients with or without periodontal disease. J Periodontol 2002;73(11):38-42. 

  13. Tonzetich J. Direct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of sulphur compounds in mouth air in man. Arch oral Biol 1971;16(1):87-97. 

  14. 정호용. Cliical Study on the Oral Malodor related to the Saliva and Tongue plaque. J Clinical Preventive Dentistry 2005;1(1):54-63. 

  15. Miyazak, H, Sakuo S, Katoh Y, et. al. Correlation between volatile sulfer compounds certain oral health measurement in the general population. J Periodontal 1995;66:679-684. 

  16. Kostelc JG, Zelson PR, Preti G. Quantitative differences in volatiles from healthy mouths and mouths with periodontitis. Clin Chem 1981;27(6):2-5. 

  17. 지윤정. Correlation Coefficiency between the Oral Malodor and the Critical Periodontal Index. J Clinical Preventive Dentistry 2006;2(1):42-52. 

  18. 김기석. 구취의 원인질환. DI저널 월간 의약정보 1992;18(10):38-41. 

  19. 이영옥. 농촌지역 주민들의 구취실태와 유발요인.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07;32(2):157-17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