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65세 이상 노인의 구강건강관리요구도가 구강건강영향지수(OHIP-14)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eed of oral health management to oral health impact profile among elderly over 65 years 원문보기

한국치위생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11 no.6, 2011년, pp.961 - 971  

박정란 (백석대학교 치위생학과) ,  김혜진 (백석대학교 치위생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need of oral health education and prevention? for over 65 years elderly. Methods : 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eed of oral health management and oral health impact profile among elderly over 65 years. 200 elderly participated in the study, li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은 노인들의 객관적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관련성을 연구하여 노인들의 구강건강상태와 주관적 구강건강 수준은 상호간의 관련성이 높다는 것을 조사연구한 바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주관적인 구강건강관리 요구도에 따른 구강건강영향지수(OHIP-14)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선행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므로, 구강건강요구도 정도에 따른 구강건강영향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노인구강건강의 중요성을 더욱 구체화하고자 실시하였다.
  • 우리나라에서는 노인인구의 구강에 대한 실태조사는 권 등10), 김11), 윤12) 등에 의해 보고된 바 있으나 구강건강에 필요한 구강관리 요구도를 파악하거나 이것을 바탕으로 삶의 질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의 구강건강관리 요구도를 파악하고 구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노인의 예방처치 및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이를 구강보건사업으로 확대 발전시켜 나갈 근거를 마련하고자 실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국민의 평균수명 추이는 어떠한가? 전 세계적으로 인구의 고령화 현상이 추세이나 특히 우리나라의 고령화 현상은 그 어느 나라보다 매우 급속하게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우리나라 국민의 평균수명은 2002년에 77.0세 이던 것이 2010년 79.0세, 2020년에는 81.0세로 계속 그 연령이 증가될 전망에 있다1). 그러나 평균수명과는 다르게 건강수명(Health adjust life expectancy)은 남자 75.
우리나라 국민의 건강수명은 얼마인가? 0세로 계속 그 연령이 증가될 전망에 있다1). 그러나 평균수명과는 다르게 건강수명(Health adjust life expectancy)은 남자 75.1세, 여자 81.9세로 조사된 바 노인들은 10년 이상의 기간을 질병이나 사고로 인해 건강하게 지내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2).
노인의 구강건강영향지수의 점수가 높게 나타난 이유는 무엇으로 생각할 수 있는가? 노인의 평균 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배우자 유무나 경제적인 자립도, 일상생활이 가능한 건강상태 등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이는 만성적인 전신질환11) 및 구강질환16)이나 틀니 착용 등17)으로 높은 비용을 발생시키고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구강건강영향지수의 점수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대다수의 노인은 보철물이나 틀니를 착용하고 치주질환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통계청. 2010년 고령자 통계. 대전:통계청;2010. 

  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 조사결과 심층분석 연구. 서울: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7. 

  3. 배윤호. 도시 재택노인의 저작능력과 전신건강상태와의 관련성[석사학위논문]. 대구:영남대학교 대학원;2001. 

  4. Richmond S, Chestnutt I, shennan J, Brown B. The relationship of medical and dental factors to perceived oral and general health. Community Dent Epidemiol 2007;35(2):89-97. 

  5. 최정수, 정세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전략개벌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0. 

  6. Allen PF, McMollan AS, Locker D. An assessment of sensitivity to change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in an clinical trial, Community Dent Oral Epodemiol 2001;29(3):175-182. 

  7. 송정희. 한국 성인의 건강 및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평가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서울:한양대학교 대학원;2007. 

  8. 안권숙. 노인의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관련성[박사학위논문]. 대전:충남대학교 대학원;2011 

  9. 김혜진. OHIP의 구성개념 타당성 검증 및 삶의 질과의 관련성.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2007;7(4):441-453. 

  10. 권호근, 김백일, 최충호, 최연희. 무료양로원 거주기초생활수급대상 노인의 구강건강상태.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2;26(4):555-566. 

  11. 김기록. 한국 노인구강 건강 실태조사[석사학위논문]. 서울:연세대학교 대학원;2001. 

  12. 윤정아. 생활보호대상 노인들의 구강건강 실태조사[석사학위논문]. 서울:연세대학교 대학;2001. 

  13. 정경희. 고령화시대의 노인복지. 노인복지포럼 1999;29:17-29. 

  14. 통계청. 통계정보 서비스(KOSIS). 통계DB검색. 연령별 추계인구(1960-2050). http://kosis.go.kr. October 16, 2011. 

  15. 손미아. 사회계급과 건강행위가 유병률에 미치는 영향. 예방의학회지 2002;35(1):57-64. 

  16. Steele JG, Sanders AE, Slade GD, et al. How do age and tooth loss affect oral health impacts and quality of life. A study comparing two national sample.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4;32:107-114. 

  17. 김혜진, 정현자. OHIP_14를 이용한 보철물 장착자의 구강건강평가에 대한 연구.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2008;8(4):153-163. 

  18. 김혜영, 황수정. 대전 동구 일부 노인의 흡연, 경제적 상태와 노인구강건강의 연관성.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11;35(1):67-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