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지역 노인종합복지관 노인들의 주관적 구강상태와 구강건강영향지수(OHIP-14)와의 관련성
The Impact of Oral Health Impact Profile(OHIP-14) of Subjectively Reported Oral Status in the Elderly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9, 2013년, pp.4349 - 4358  

김은희 (경운대학교 치위생학과) ,  박민경 (경운대학교 치위생학과) ,  구인영 (경운대학교 치위생학과) ,  문선정 (경운대학교 치위생학과) ,  김승현 (경운대학교 경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노인의 주관적 구강상태와 구강건강영향지수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삶의 질 향상 및 구강관리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1년 5월부터 6월까지 조사, 연구대상은 65세이상 노인 231명으로 하였다. OHIP-14의 중위값을 산출하여 중위값(2.08) 보다 높은 그룹을 상위그룹으로, 평균보다 낮은 그룹을 하위그룹으로 나누어 구강보건행태와 주관적인 구강상태를 교차분석으로 측정하였고, 구강건강영향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구강보건행태에 따른 구강건강영향지수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주관적 구강상태에 따른 구강건강영향지수는 현재 구강상태, 저작지장, 치통, 잇몸질환, 구강건조증, 구취 항목이 구강건강영향지수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또한 구강건강영향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회귀분석결과 저작지장, 치통, 구강건조증, 잇몸질환 경험이 높을수록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구강건강 영향지수가 높을수록 주관적 구강상태가 건강하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구강건강증진 예방프로그램 개발과 적극적인 구강관리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subjective oral hygiene status of the elderly and oral health impact profile and to present it as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and oral care. The study subjects were 231 elderly people aged 65 and over. This study measured the o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앞으로 대표성 있는 표본추출을 통하여 체계적인 연구를 통하여 보완해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인의 구강건강영향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 하여 노인구강건강증진을 위한 지속적인 예방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며, 구강질환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적극적인 구강관리 방안을 찾고자 한다.
  •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을 측정하고 평가하는 도구인 OHIP[14-17]는 구강건강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향을 측정한 것으로, Steele 등[18]은 나이가 많아질수록 구강건강영향지수(OHIP)가 높았으며, 구강질환을 많이 보유할수록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고 하였고, 구강건강의 증진으로 인하여 노인의 자신감 회복, 사회적 관계의 활성화, 일할 수 있는 능력의 회복등 노인의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19]. 이러한 구강건강영향지수(OHIP)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있으며, 치주상태와 삶의 질 연구, 보철 전후 삶의 질 연구, 치아상실 및 구강건조증과 삶의 질 관련 연구 등은 있으나, 구강 전반적인 상태에 대한 구강건강 영향지수와의 관련성 및 여러 요인 중 어떤 요인이 가장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연구는 다소 미흡한 실정이라 그것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또한 구강건강은 긍정적으로든 부정적으로든 개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20].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인 구강상태를 알아보고, 구강건강영향지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을 대상으로 주관적으로 느끼는 전반적인 구강상태와 구강건강영향지수와의 관련 성을 알아보고, 구강건강영향지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여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으며, 앞으로 노인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킬 수있는 지속적인 예방프로그램 개발 및 적극적인 구강관리 방안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령화 사회로 인한 문제가 중요한 사회적 현안으로 대두된 이유는? 노인인구의 급격한 증가와 인구의 고령화 현상이 심각해짐에 따라 노인 의료복지 문제, 노인 부양에 대한 부담 급증 등 고령화 사회로 인한 문제가 중요한 사회적 현안으로 대두되었고, 특히 노인의 건강문제와 더불어 구강건강문제에 대한 관심도 증대되고 있다[1,2]. 구강건강은 긍정적이든 또는 부정적이든 간에 개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구강건강을 제외한 건강은 완전한 건강이라고 볼 수 없다[3].
OHIP란?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을 측정하고 평가하는 도구인 OHIP[14-17]는 구강건강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향을 측정한 것으로, Steele 등[18]은 나이가 많아질수록 구강건강영향지수(OHIP)가 높았으며, 구강질환을 많이 보유할수록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고 하였고, 구강건강의 증진으로 인하여 노인의 자신감 회복, 사회적 관계의 활성화, 일할 수 있는 능력의 회복등 노인의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19]. 이러한 구강건강영향지수(OHIP)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있으며, 치주상태와 삶의 질 연구, 보철 전후 삶의 질 연구, 치아상실 및 구강건조증과 삶의 질 관련 연구 등은 있으나, 구강 전반적인 상태에 대한 구강건강 영향지수와의 관련성 및 여러 요인 중 어떤 요인이 가장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연구는 다소 미흡한 실정이라 그것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강상태와 구강건강영향지수와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연구의 결과는? 08) 보다 높은 그룹을 상위그룹으로, 평균보다 낮은 그룹을 하위그룹으로 나누어 구강보건행태와 주관적인 구강상태를 교차분석으로 측정하였고, 구강건강영향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구강보건행태에 따른 구강건강영향지수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주관적 구강상태에 따른 구강건강영향지수는 현재 구강상태, 저작지장, 치통, 잇몸질환, 구강건조증, 구취 항목이 구강건강영향지수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또한 구강건강영향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회귀분석결과 저작지장, 치통, 구강건조증, 잇몸질환 경험이 높을수록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구강건강 영향지수가 높을수록 주관적 구강상태가 건강하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구강건강증진 예방프로그램 개발과 적극적인 구강관리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Young-Soon Won, Ji-Hyun Kim, Soo-Kyung Kim, "Relationship of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to subjective oral symptoms for the elderly in some seoul Area", J Dent Hyg Sci, Vol.9, No.4, pp.375-380, 2009 

  2. Nam-Hee Kim, Soo-II Choi, "Effects of the phys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elderly women 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J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1, No.11, pp.241-252, 2011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1.11.11.241 

  3. Myeong-Sun Lee, Seol-Hee Kim, Jung-Seung Yang, Jung-Sook Oh, Dong-Kie Kim,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in elderly Korean 65+", J Korean Acad Dent Health, Vol.29, No.2, pp.210-221, 2005 

  4. Moon-Sung Jang, Hye-Young Kim, Yun-Soo Sim, In-Cheol Ryu, Soo-Boo Han, Jong-Pyong Jeong, Young Ku, "Association between the self-reported periodont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Koreans",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36, No.3, pp.591-599, 2006 

  5. Pitiphat, W., R. I. Gracia, C. W. Douglass, and K. J. Joshipura, "Validation of self-reported oral health measures", Journal of Public Health Dentistry, Vol.62, No.2, pp.122-128, 2002 DOI: http://dx.doi.org/10.1111/j.1752-7325.2002.tb03432.x 

  6. Atchison, K. A., R. E. Matthias, and T. A. Dolan, "Comparison of oral health ratings by dentists and dentate elders", Journal of Public Health Dentistry, Vol.53, pp.223-230, 1993 DOI: http://dx.doi.org/10.1111/j.1752-7325.1993.tb02708.x 

  7. Matthias, R. E., K. A. Atchison, J. E. Lubben, and S. O. Schweitzer, "Factors affecting self-ratings of oral health", Journal of Public Health Dentistry, Vol.55, pp.197-204, 1995 DOI: http://dx.doi.org/10.1111/j.1752-7325.1995.tb02370.x 

  8. Young-Nam Kim, Ho-Keun Kwon, Won-Gyun Chung, Young-Sik Cho, Youn-Hee Choi, "The association of perceived oral health with oral epidemiological indicators in Korean adul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Dental Health, Vol.29, No.3, pp.250-260, 2005 

  9. Kwon-Suk Ahn, Mi-A Shin,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impact profile among the community elderlies",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11, No.6, pp.923-938, 2011 

  10. Eun-Mi Noh, Jong Uk Back.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and social impact efficacy", J Dent Hyg Sci, Vol.10, No.4, pp.233-239, 2010 

  11. Richmond, S., I. Chestnutt, J. Shennan, and B. Brown, "The relationship of medical and dental factors to perceived oral and general health", Community Dentistry Epidemiology, Vol.35, No.2, pp.89-97, 2007 DOI: http://dx.doi.org/10.1111/j.1600-0528.2007.00296.x 

  12. Ji-Hwa Kim, "The Effect of Oral Health on To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 surveyed against some of Youngnam area residents", Keimyung University, 2007. 

  13. Seol-Hee Kim, Sun-A Lim, Soo-Joung Park, Dong-Kie Kim, "Assessment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using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J Korean Acad Dent Health, Vol.28, No.4, pp.559-569, 2004 

  14. Myeong-Sun Lee, Seol-Hee Kim, Jung-Seung Yang, Jung-Sook Oh, Dong-Kie Kim,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in elderly Korean 65+", J Korean Acad Dent Health, Vol.29, No.2, pp.210-221, 2005 

  15. Myoung-Sun Lee, Sun-A Lim, Jin Kim, "Factors related to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in elderly koreans", Vol.1, p.19-31, Chosun University, 2007 

  16. Locker, D., D. Matear, M. Stephens, H. Lawrence, and B. Payne, "Comparison of the GOHAI and OHIP-14 as measures of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Commun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logy Vol.29, No.5, pp.373-381, 2001 DOI: http://dx.doi.org/10.1034/j.1600-0528.2001.290507.x 

  17. Marzia, S., C. Vittorio, L. Sonia, and R. Cristiana, "Cross-cultural validation of a short form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s", Commun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logy Vol.33, No.2, pp.125-130, 2005 DOI: http://dx.doi.org/10.1111/j.1600-0528.2005.00215.x 

  18. Steele, J. G., A. E. Sanders, G. D. Slade, P. F. Allen, S. Lahti, N. Nuttal, and A. J. Spencer, "How do age and tooth loss affect oral health impacts and quality of life? : a study comparing two national samples", Commun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logy, Vol.32, pp.107-114, 2004 DOI: http://dx.doi.org/10.1111/j.0301-5661.2004.00131.x 

  19. Shtereva, N, "Aging and oral health related to quality of life in geriatric patients", Rejuvenation Research, Vol.9, pp.355-357, 2006 DOI: http://dx.doi.org/10.1089/rej.2006.9.355 

  20. Grath, C. M., and R. Bedi, "Can dental attendance improve quality of life?" Public Dental Health, Vol.190, No.5, pp.262-265, 2001 

  21. Eun-Mi Noh, "The Effect of Oral Health of the Elderly on their Social Efficacy and Personal Relations", Daegu Haany University, 2010 

  22. G. U. Kim, K. J. Min, "The Impact of Oral Health Impact profile(OHIP) Level on Degree of Patients' Knowledge about Dental Hygien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0, No.4, pp.717-721, 2009 DOI: http://dx.doi.org/10.5762/KAIS.2009.10.4.717 

  23. Jung-Ran Park, Hye-Jin Kim, "The effect of need of oral health management to oral health impact profile among elderly over 65 years",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11, No.6, pp.961-971, 2011 

  24. M. H. Park, M. S. Lee, H. S. Lee, "The Effects of oral Health Belief of Elderly on Oral Health Impact Profile in Daegu, Gyeongbuk Reg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Dental Technology, Vol.33, No.4, pp.391-402, 2011 

  25. Sun-Hee Jang, Mi-Hye Choi,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among elderly people in some elderly care facilities by OHIP-14", J Korean Acad Dent Hygiene Education, Vol.11, No.4, pp.475-487, 2011 

  26. Wong MCM, McMillian AS, "Tooth loss, denture wearing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chinese people", Community Dental Health, Vol.22, No.3, pp.156-161, 2005 

  27. J. E. Ha, G. S. Han, N. H. Kim, B. H. Jin, H. D. Kim, D. I. Paik, K. H. Bae, "The improvement of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by the national senile prosthetic restoration program", J Korean Acad Dent Health, Vol.33, No.2, pp.227-234, 2009 

  28. J. H. Park. S. H. Jeong, G. R. Lee, K. B. Song, "The impact of tooth loss on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in Seongju, Korea", J Korean Acad Dent Health, Vol.32, No.1, pp.63-74, 2008 

  29. Nam-Hee Kim, Hyun-Duck Kim, Dong-Hun Han, Bo-Hyong Jin, Dai-Il Paik,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al symptoms and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among the elderly in welfare institutions in Seoul", J Korean Acad Dent Health, Vol.30, No.2, pp.141-150, 2006 

  30. J. D. Cha, K. A. Jang, "The Factors of Oral Health Impact of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3, No.10, pp.4604-4611, 2012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2.13.10.4604 

  31. M. S. Park, S. A. Ryu, "Degree of Dry Mouth and Factors Influencing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Community-Dwelling Elders", J Korean Acad Nurs, Vol.40, No.5, pp.747-755, 2010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0.40.5.747 

  32. M. D. Turner, J. A. Ship, "Dry mouth and its effects on the oral health of elderly people", J of the American Dental Association, No.138, pp.15-20,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