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조물 배면에 사질토 되메움시 유발되는 수평토압에 관한연구
A Study on the Lateral Earthpressure at Behind Structure for Backfill by Sand 원문보기

한국토목섬유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v.10 no.4, 2011년, pp.11 - 18  

이상덕 (아주대학교 건설교통공학과) ,  강세구 (아주대학교 건설교통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모형실험을 통하여 구조물 배면의 좁은 공간을 사질토로 되메움 할 때, 되메움 지반의 공간크기와 형태 및 지오그리드의 포설 유/무에 따른 수평토압의 크기와 분포형태를 측정하였다. 8개의 층으로 구성된 벽체를 설치하고 좁은 되메움 지반을 벽체 하단으로부터 이격거리 10cm, 20cm, 30cm, 절취면의 각도는 $90^{\circ}$, $75^{\circ}$, $60^{\circ}$로 모사하고, 되메움 지반내 지오그리드의 설치 유/무의 조건으로 수평토압을 측정했다. 측정결과 좁은 지반에서 되메움에 의한 수평토압은 아칭형태를 보였고 사면 파괴체 안에 모형지오그리드를 포설할 경우라도 수평토압이 감소된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와 유사한 현장의 벽체에 미치는 토압을 산정할 때 되메움 공간의 형상과 크기, 지오그리드 설치 등을 고려한 토압산정식이 적용되여야 할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reinforcing effect of geogrids in the narrow backfill by sand was experimentally studied. In the model tests, the size of space and the slope of the cut off slope were varied out. The resultant and the distribution of lateral earth pressure were measured. Width of backfill space 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모래 지반에서 실시한 좁은 되메움 구간의 수평 토압을 측정하여 전체적인 토압 분포가 아칭형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좁은지반에 설치된 짧은 보강재의 지반 보강효과를 확인 하였다. 향후 절토부 보강토옹벽 현장 시공시 계측을 통한 추가적인 연구를 수행하면 좁은 지반에 되메움시 전면벽체에 작용하는 토압 및 보강재의 역할을 명확하게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가설 설정

  • 그림 2에서 지표면 아래로 깊이 h에 위치하는 두께 dh의 미소요소를 가정한다. 이 요소에 작용하는 힘의 연직 평형 방정식을 취하면 수직력의 적분항은 식 (1)과 같다.
  • 이 요소에 작용하는 힘의 연직 평형 방정식을 취하면 수직력의 적분항은 식 (1)과 같다. 단, 이 요소에 작용하는 연직응력은 폭 B에 걸쳐 균등하게 분포한다고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강토 옹벽의 토압을 산정하는 이론은 무엇이 있는가? 보강토 옹벽의 토압을 산정하는 이론은 일반적으로 Rankine 및 Coulomb토압이 이용되고 있으며, 실제거동을 모사할 수 있는 이론으로는 Silo 이론이 적용될 수 있다.
토압계수는 어디에 사용되는가? 사일로와 같은 좁은 공간의 토압적용에 사용되는 토압계수 K는 Janssen(1895)이 실험을 통해 처음으로 소개하였다. Marston and Anderson(1913)은 Rankine(1857)의 주동토압계수인 K0 = σ1/σ3를 사용하였다.
관 매설을 위한 트렌치나 사일로와 같은 좁은 공간을 되메움할 경우 아칭에 의한 어떤 현상이 발생하는가? 원지반에 좁은 도랑을 굴착하여 암거를 설치한 후 되메움한 지반은 원지반에 비하여 느슨하므로 되메움한 흙이 자중으로 압축하여 안정될때 원지반 벽면과 되메움 지반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여 암거에 작용하는 토압은 자중에 의한 토압보다 작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아칭에 의한 것으로 관 매설을 위한 트렌치나 사일로와 같은 좁은 공간을 되메움할 경우에 발생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문창열 (1999), "비대칭 좁은 공간에서의 되메움 토압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제15권, 제4호, pp.261. 

  2. 이상덕, 문창열, 김은섭, 이종규 (1997), "되메움 지반에 의한 수평토압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17권, 제3-3호, pp.285-292. 

  3. 유찬호 (2010), 절성토 보강토 옹벽의 작용토압 분석과 전면블럭 두께 산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pp.33-49. 

  4. 변요셉, 류웅렬, 이동호, 천병식 (2010), "절토사면에서 보강토 옹벽의 적용성 연구",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제11권, 제2호, pp.53-60. 

  5. Jaky J. (1944), "The coefficient of earth pressure at rest", J. SOC Hungarian Architects and Engrs., Vol.78, No.22, pp.355-358. 

  6. Janssen, H. A (1895), "Versuche fiber Getreide Druck in Silozellen", Proceeding of Institute of Civil Engineers, London, England, Vol.39, No.3, pp.1045-1049. 

  7. Krynine, D. P. (1945), "Stability and stiffness of cellular cofferdams", Transactions, ASCE, Vol.110, pp.1175-1178. 

  8. Marston, A. and Anderson, A. O. (1913), "The Theory of Loads on Pipes in Ditches and Tests of coment and Clay Drain Tile and Sewer Pipe", Iowa Engineering Experiment Station Bulletin, Iowa stage collage, No.31, pp.181. 

  9. Rankine, W. J. M. (1857), "On the stability of loose earth",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Vol.147, No.2, pp.9-27. 

  10. Richard L. H. (1985), "The arching in soil arching", Journal of Geotechnical Engineering Division, ASCE, Vol.111, No.GT3, pp.302-3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