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현장 작업복의 소재 기능성 향상에 따른 생리반응
The Physiological Responses of Material-improved Working Clothes for Construction Site Worker 원문보기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13 no.5, 2011년, pp.752 - 758  

김성숙 (경북대학교 의류학과) ,  김희은 (경북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experiments to develop working clothes and evaluated, including the current and material-improved working clothes in relation to physiological functionality measurement.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subjects after wearing working clothes in an climate chamber, and the thermo-physio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소재가 다른 두 작업복의 착의실험을 통하여 직장온, 피부온, 심박수, 혈압, 의복내기후, 산소섭취량 등의 생리 반응을 파악하여 이 결과를 보다 쾌적한 작업복 개발에 기여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 작업복의 소재적 특성만 달라지게 되더라도 열적 스트레스 해소 등과 같이 작업자의 긍정적인 체온조절 생리반응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궁극적으로 작업복의 생리적 쾌적성이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한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소재가 다른 두 작업복의 착의실험을 통하여 직장온, 피부온, 심박수, 혈압, 의복내기후, 산소섭취량 등의 생리 반응을 파악하여 이 결과를 보다 쾌적한 작업복 개발에 기여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 작업복의 소재적 특성만 달라지게 되더라도 열적 스트레스 해소 등과 같이 작업자의 긍정적인 체온조절 생리반응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궁극적으로 작업복의 생리적 쾌적성이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한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소재의 작업복과 소재 기능성을 향상시킨 두 작업복의 착의실험을 통하여 직장온, 피부온, 심박수, 혈압, 의복내 기후, 산소섭취량 등의 생리반응을 파악함으로써이 결과가 보다 쾌적한 작업복 개발에 기여하도록 하는 것에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작업자가 적절하지 않은 작업복을 착용하고 작업을 하는 경우 어떤 불쾌감을 느낄 수 있는가? 작업자가 적절하지 않은 작업복을 착용하고 작업을 한다면 근육활동은 작업복으로 인해 평소보다 증가되고, 작업조건 속도 정확성의 범위는 감소되며, 심부온, 피부온, 심박수, 혈압과 산소소비량 같은 생리적인 반응도 다르게 된다. 작업자는 작업복으로 인해 열적 불쾌감, 습윤감, 마찰감, 국부압박감 등과 같은 불쾌감을 느낄 수도 있게 된다. 이러한 결과는 결국 생산능률의 감소, 작업자의 생리적 부담의 증가, 쾌적감 감소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Adams et al.
작업복을 쾌적하게 하기 위한 기능적 요소는 어떻게 나뉘어지는가? 작업복을 쾌적하게 하기 위한 기능적 요소는 작업복 특성, 작업 동작 특성, 작업자 특성, 환경조건으로 나누어진다(Rosenblad, 1985). 그 중 작업복 소재의 무게, 통기성, 공기투과성, 절연성 등의 특성은 작업복 착용자의 열적 균형 조절에 영향을 미치며, 마찰력, 신축성, 부피감, 유연성, 디자인, 사이즈 등의 특성은 작업복의 형태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작업복을 쾌적하게 하기 위한 기능적 요소 중 작업복 착용자의 열적 균형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무엇인가? 작업복을 쾌적하게 하기 위한 기능적 요소는 작업복 특성, 작업 동작 특성, 작업자 특성, 환경조건으로 나누어진다(Rosenblad, 1985). 그 중 작업복 소재의 무게, 통기성, 공기투과성, 절연성 등의 특성은 작업복 착용자의 열적 균형 조절에 영향을 미치며, 마찰력, 신축성, 부피감, 유연성, 디자인, 사이즈 등의 특성은 작업복의 형태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 작업 동작의 특성과 신체적 조건, 성별, 연령 등의 작업자 특성도 작업복 디자인, 피트성과 연결되어 발한, 불쾌감 같은 생리적 기능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김태규. (2002). 스포츠웨어 소재에 따른 운동강도별 인체생리반응에 관한 연구. 효성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백일영. (2002). 운동생리학과 운동처방-이론과 실험. 서울: (주)대한미디어. 

  3. 윤성혜. (2002). 기능성 소재 사용에 따른 서열환경에서의 인체생리 반응.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정희자. (1999). 스포츠 웨어의 재질에 따른 인체생리반응과 쾌적감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中橋美智子 & 吉田敬一. (1998). 新しい衣服衛生. 東京: 南江堂. 

  6. Adams P. S., Slocum A. C. & Keyserling W. M. (1994). A Model for Protective Clothing Effects on Perform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Clothing Science and Technology, 6(4), 6-14. 

  7. Brengelmann G. L. (1983). Circulatory adjustments to exercise and heat stress. Anniversary Revolution of Physiology, 54(1), 191-212. 

  8. Cheuvront S. N., & Sawka M. N. (2001). Physical Exercise and Exhaustion from Heat Strain. Journal of Korean Society Living Environment System, 8(2), 134-145. 

  9. Nielsen R. (1991). Work clot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7, 77-85. 

  10. Rosenblad W. E. (1985). User-oriented product development applied to functional clothing design. Applied Ergonomics, 16(4), 279-287. 

  11. Schneizer A. M., Hoschke B. N., & Goldsmid H. J. (1992). Heat transfer through moist fabrics. Textile Research Journal, 62(2), 61-66. 

  12. Ueda, H., Inoue, Y., Matsudaira, M., Araki, T., & Havenith, G. (2006). Regional microclimate humidity of clothing during light work as a result of the interaction between local sweat production and venti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lothing Science and Technology, 18(4), 225-234. 

  13. Yamamoto Y., Hughson R., & Peterson J. (1991) Autonomic control of heart rate during exercise studied by heart variability special analysis.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71, 1136-11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