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지역 일부 초등학교 고학년의 아침결식에 따른 식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reakfast Skipping and Dietary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Gyeonggi A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4 no.4, 2011년, pp.481 - 488  

이상은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  이홍미 (대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선영 (명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노만수 (노만수 유방갑상선 클리닉) ,  송경희 (명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of breakfast skipping and dietary habits according to breakfast intake frequency. Subjects were 5th and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n=423) in Gyeonggi area.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breakfast intake frequency, 'Having everyday' sho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심신의 건강 유지를 위하여 즉, 건전한 성품과 바람직한 성격을 가진 아동이 되기 위하여 영양의 섭취는 대단히 중요하며, 그러한 올바른 영양 섭취를 위해서는 다양한 식품을 편식하지 않고 골고루 먹는 습관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침식사 섭취빈도에 따른 아침식사 관련 사항, 건강상태 및 스트레스, 영양 및 식행 동의 중요도 인식 관련 사항을 알아보고, 변인간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아침식사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나아가 영양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아침결식 실태 및 아침식사 섭취빈도에 따른 식습관, 체형인식, 영양 및 식습관의 중요도 인식 등을 분석하고, 이들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경기 고양지역에 소재하는 일부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42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들의 영양에 불균형이 초래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현대 우리사회는 국민 소득증대와 생활수준의 변화에 따른 편의주의 식생활 때문에 가공식품의 남용, 매식 · 외식의 증가, 영양과다, 잘못된 식습관의 형성이라는 문제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아동들의 영양에 불균형이 초래되고 있다(Ku & Lee 2000). 식습관이 형성되는 데는 다양하고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며, 특히 사회 변수로서 직업, 가족력, 사회경제 수준, 환경, 본인의 체형에 대한 인식 등이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Kim HA 2004; Lee BS 2004).
식습관이 형성되는데 작용하는 사회 변수는 무엇이 있는가? 현대 우리사회는 국민 소득증대와 생활수준의 변화에 따른 편의주의 식생활 때문에 가공식품의 남용, 매식 · 외식의 증가, 영양과다, 잘못된 식습관의 형성이라는 문제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아동들의 영양에 불균형이 초래되고 있다(Ku & Lee 2000). 식습관이 형성되는 데는 다양하고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며, 특히 사회 변수로서 직업, 가족력, 사회경제 수준, 환경, 본인의 체형에 대한 인식 등이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Kim HA 2004; Lee BS 2004). 여성들의 경제활동 참여가 활발해지면서 여성의 가사 기능의 약화와 불규칙한 식사 시간으로 인해 어린이의 결식 등 식습관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앞으로 여성의 경제활동이 더욱 활발해질수록 이러한 문제점은 점점 더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된다(Oh 등 2010).
학동기의 아동들의 식습관의 형성에서 우려되는 점은 무엇인가? 학동기의 아동들은 자신의 건강과 영양에 관한 일반적인 지식이 부족하며, 건강의 중요성도 잘 인식하고 있지 못하므로 식품 선택에 있어 올바른 판단 없이 기호성에 치중해 편식이 심해질 우려가 크다(Jung 등 2004). 심신의 건강 유지를 위하여 즉, 건전한 성품과 바람직한 성격을 가진 아동이 되기 위하여 영양의 섭취는 대단히 중요하며, 그러한 올바른 영양 섭취를 위해서는 다양한 식품을 편식하지 않고 골고루 먹는 습관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o KS. 2007. Dietary habit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Yeon Mu Eup. MS Thesis, Hannam Uni. Daejeon 

  2. Choe JS, Chun HK, Chung GJ, Nam HJ. 2003. Relations between the dietary habit and academic achievement, subjective health judgement, physical status of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627-635 

  3. Department of Health and Welfar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6.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2005 - Nutrition Survey (I). Department of Health and Welfare 

  4. Han GH, Kim GE, Kim SH. 2006. A study on nutrient intake status and dietary behavior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by body shap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1385-1393 

  5. Hwang GH, Jung LH, Yoo MJ. 2001. The eating behaviors, nutrition intakes and henatological status of the lower grade primary school children in Gwangju. Korean J Food & Nutr 14:293-299 

  6. Jang YA, Kim HY, Oh SY, Han SS, Lee HS, Won HS, Kim SH, Kim WK, Cho SS. 2000. A study for dietary attitude and food behavior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f Korea. J Korean Home Eco Assoc 38:85-97 

  7. Jung SJ, Lee YN, Kwon SJ. 2004. Factors associated with breakfast skipping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Korea. Korean J Comm Nutr 9:3-11 

  8. Kang MH, Choi MK, Kim MH. 2011. Evaluation of energy and nutrient intake as well as dietary behaviors i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students residing in Chungnam according to breakfast eating status. J Korean Diet Assoc 17:18-31 

  9. Keski-Rahkonen A, Kaprio J, Rissanen A, Virkkunen M, Rose RJ. 2003. Breakfast skipping and health-compromising behaviors in adolescents and adults. Eur J Clin Nutr 57:842-853 

  10. Kim EY, Park HH. 2004. A study on eating habi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higher grade. Korean J Food & Nutr 17:393-404 

  11. Kim HA. 2004. Comparison of normal weight vs obese children in terms of family factors, eating habits and sociocognitive factors.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tr 10:300-310 

  12. Kim JH. 2001. Effects of daily life, food behavior and dietary intakes on obesity of Korean elementary students. MS thesis. Ewha Womans Uni. Seoul 

  13. Kim SH. 1999. Children's growth and school performance in relation to breakfast. J Korean Diet Assoc 5:215-224 

  14. Kim YH, Ju HO. 2004. Elementary schoolers' skipping breakfast.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tr 10:488-495 

  15. Kim YS, Yoon JH, Kim HR, Kwon SO. 2007.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chool breakfast program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n J Comm Nutr 12:489-500 

  16.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Korean Pediatrics Society. 2007. Korean national growth charts.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7. Ku PJ, Lee KA. 2000. A survey on dietary habit and nutritional knowledg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s nutritional education. Korean J Diet Culture 15:201-213 

  18. Lee BS. 2004. A comparative study on dietary life and recognition of diet related facto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Diet Assoc 10:364-374 

  19. Lee CK, Ju HO, Kim YH. 2004. The correlation between skipping breakfast of school-aged children and their mothers. J Korean Soc. of School Health 17:13-24 

  20. Oh SH, Hyun WJ, Lee HM, Park HR, Lim HJ, Song KH. 2010. A study on the stress and the dietary habi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by mother's employment status. Korean J Comm Nutr 15:498-506 

  21. Park HA, Rhie SG, Won HR. 2007. Comparative study on dietary behavior, nutrition knowledge and cognition of body image, weight control and nutrition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ence 18:481-491 

  22. Park SK, Kim MH, Choi MK. 2010. A study on dietary habits and nutrient intakes by skipping meal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Incheo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668-679 

  23. Sampson AE, Dixit S, Meyers AF, Houser R, Jr. 1995. The nutritional impact of breakfast consumption on the diets of inner-city African-Americ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J Natl Med Assoc 87:195-202 

  24. Shin EY. 2007. A study on breakfas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North Gyeonggi area. MS thesis, Daejin Uni. Pocheon 

  25. Son HG, Lee YK.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lementary school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o prevent breakfast skipping. Korean J Comm Nutr 15:740-749 

  26. Yang KH, Kim YH. 2004. The factors related to obesity level of upper level elementary students. J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1:133-146 

  27. Yi BS, Yang IS. 2006. An exploratory study for identifying factors related to breakfast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 Nutr 11: 25-38 

  28. Yoo SJ. 2007. The study on adolescence's food involvement and eating attitude.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 Gwangju 

  29. You JS, Kim SM, Chang KJ. 2009. Nutritional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 of the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aejeon area by gender and skipping breakfast. Korean J Nutr 42:256-267 

  30. Yu OK, Cha YS. 2006. A comparative study on dietary life according to the obesity assessment methods of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eonju. Korean J Human Ecology 9:83-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