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색고구마 품종별 안토시아닌 색소의 분해에 대한 속도론적 연구
Degradation Kinetics of Anthocyanin Pigment Solutions from Purple-fleshed Sweet Potato Cultivar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4 no.4, 2011년, pp.559 - 566  

박정섭 (전라북도 농식품사관학교) ,  배재오 (전북대학교 대학원 식품공학과) ,  정봉우 (전북대학교 대학원 생물공정공학과) ,  정문웅 (우석대학교 외식산업조리학과) ,  최동성 (우석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에서 재배되는 목포 62호, 보라미, 자미, 신자미, 아야무라사키의 자색고구마 품종에 대해 안토시아닌 함량 및 pH에 따른 적색도, pH와 가열온도에 따른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안토시아닌 함량은 각 3.9, 3.8, 4.7, 4.1, 4.2 mg/g dry weight로 자미가 가장 높았으며, pH에 따른 a 값은 pH 3 에서 20.2, 59.3, 41.4, 37.7, 26.9로 보라미가 가장 높았다. pH에 따른 품종별 안토시아닌 색소의 반감기는 pH 3에서 22.2, 28.3, 26.3, 23.4, 22.7일로 보라미가 가장 안정하였다. 그리고 온도에 따른 품종별 안토시아닌 색소의 반감기는 온도가 낮을수록 증가하여 안정하였으며, 특히 자미는 $20^{\circ}C$에서 401일로 매우 높은 안정성을 나타냈다. 또한 가열온도에 따른 활성화에너지는 54.67, 60.93, 71.73, 59.35, 62.28 kJ/mol로 자미가 가장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pH and temperature on degradation of anthocyanin in purple-fleshed sweet potato cultivars(Mokpo No.62, Borami, Jami, Sinjami and Ayamurasaki) were determined at pH ranges of 1 to 5 and temperature ranges of 20 to $80^{\circ}C$. The anthocyanin contents of five sweet pota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계속해서 자색고구마 품종이 개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품종간의 색도, pH, 온도, 안토시아닌 함량 등에 관한 비교 자료가 부족하여, 자색고구마의 산업적 이용에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색고구마의 천연 식용색소로서의 이용률을 증대시키기 위해 국내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는 목포 62호, 보라미, 자미, 신자미와 일본의 대표적 자색고구마 품종인 아야무라사키에 대한 안토시아닌 함량, 온도와 pH에 대한 분해 속도론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연구로 밝혀진 안토시아닌 색소의 안전성 향상 방안은 무엇인가? 또한 과일이나 그 추출액 중에는 polyphenol oxidase와 peroxidase가 증가하는데, 이는 안토시아닌의 분해와 조직의 browning을 가속화 시키며(Michal OS 2009), 장내에서는 미생물의 α-D-galactosidase와 β-D-glucosidase에 의해서도 안토시아닌이 쉽게 분해(Keppler 등 2005)되는 것으로 보아 안토시아닌으로부터 glucose가 분해될 경우 쉽게 분해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최근 다양한 연구를 통하여 불안정한 안토시아닌 색소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pH를 낮추거나(Hendry BS 1992), 금속염을 첨가하는 방법(Timberlake & Bridle 1982), 단백질, 탄닌, 플라보노이드, 알칼로이드 등을 첨가하는 copigmentation에 의한 방법(Markakis P 1974; Mazza & Brouillard 1987) 등의 연구가 보고되었다.
자색고구마 품종 목포 62호, 보라미, 자미, 신자미, 아야무라사키의 자색고구마에 대한 안토시아닌 함량은 어떠한가? 국내에서 재배되는 목포 62호, 보라미, 자미, 신자미, 아야무라사키의 자색고구마 품종에 대해 안토시아닌 함량 및 pH에 따른 적색도, pH와 가열온도에 따른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안토시아닌 함량은 각 3.9, 3.8, 4.7, 4.1, 4.2 mg/g dry weight로 자미가 가장 높았으며, pH에 따른 a 값은 pH 3 에서 20.2, 59.3, 41.4, 37.7, 26.9로 보라미가 가장 높았다. pH에 따른 품종별 안토시아닌 색소의 반감기는 pH 3에서 22.
천연색소 이용은 어떻게 변화했는가? 최근 소비자들의 합성색소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사용규제의 강화에 따른 새로운 천연 식용색소의 개발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Newsome RL 1986; Hendry BS 1992; Francis FJ 1989; Mazza & Miniati 1993). 특히 식품에 이용되는 천연색소는 합성색소에 비해 발색 및 안정성, 가격경쟁력 등에서 뒤떨어져 이용률이 낮았으나, 최근 천연색소의 안정성을 위한 다양한 연구(Rhim JW 2002; Janna 등 2007)와 기능성(Suda 등 2008; Wu 등 2008), 약리작용 등(Kong 등 2003; Suda 등 1999)이 보고됨에 따라 소비자의 인식이 변화되고 있어 천연색소의 이용은 계속해서 확대되고 있다. 대표적 천연색소로 betanin, cochineal, carotenoid, 갈색의 캐러멜 및 카카오 색소, 치자나무 색소, 파프리카 색소, 자색고구마 색소 등이 주로 이용(Askar A 1993; Giusti & Ronald 2003)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skar A. 1993. Natural colors for the food industry-an overview. Fruit Process 3:400-403 

  2. Cartwright RA. 1983. Historical and modern epidemiological studies on populations exposed to N-substituted aryl compounds. Environ Health Perspect 49:13-19 

  3. Cemeroglu B, Velioglu S, Isik S. 1994. Degradation kinetics of anthocyanins in sour cherry juice and concentrate. J Food Sci 59:1216-1218 

  4. Cevallos-Casals BA, Cisneros-Zevallos L. 2003. Stoichiometric and kinetic studies of phenolic antioxidants from Andean purple corn and red-fleshed sweetpotato. J Agric Food Chem 51:3313-3319 

  5. Francis FJ. 1989. Food colorants: Anthocyanins. Crit Rev Food Sci Nutr 20:273-314 

  6. Garzon GA, Wrolstad RE. 2002. Comparison of the stability of pelargonidin-based anthocyanins in strawberry juice and concentrate. J Food Sci 67:1288-99 

  7. Giusti MM, Ronald WE. 2003. Acylated anthocyanins from edible sources and their applications in food systems. Biochemical Engineering Journal 14:217-225 

  8. Hendry BS. 1996. Natural food colors. In Natural Food Colorants. Hendry GAF, Houghton JD (Eds.), Blackie and Son Ltd., Glasgow, pp.39-78 

  9. Jackman RL, Yada RY, Tung MA, Speers RA. 1987. Anthocyain as food colorants-a review. J Food Biochem 11:201-247 

  10. Janna OA, Khairul AK, Maziah M. 2007. Anthocyanin stability studies in Tibouchina semidecandra L. Food Chem 101: 1640-1646 

  11. Kano M, Takayanagi T, Harada K, Makino K, Ishikawa F. 2005. Antioxidative activity of anthocyanins from purple sweet potato, Ipomorea batatas cultivar Ayamurasaki. Biosci Biotechnol Biochem 69:979-988 

  12. Keppler K, Humpf HU. 2005. Metabolism of anthocyanins and their phenolic degradation products by the intestinal microflora. Bioorg Med Chem 13:5195-5205 

  13. Kirca A, Cemeroglu B. 2003. Degradation kinetics of anthocyanins in blood orange juice and concentrate. Food Chem 81:583- 587 

  14. Kong JM, Chia LS, Goh NK, Chia TF, Brouillard R. 2003. Analysi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anthocyanins. Phytochem 64:923-933 

  15. Markakis P. 1974. Anthocyanins and their stability in foods. CRC Crit Rev Food Technol 4:437-456 

  16. Markakis P. 1982. Stability of anthocyanins in foods. In Anthocyanins as Food Colors, Markakis P(Ed.), Academic Press, New York, pp.163-180 

  17. Mazza G, Brouillard R. 1987. Recent developments in the stabilization of anthocyanins in food products. Food Chem 25:207-225 

  18. Mazza G, Miniati E. 1993. Anthocyanins in Fruits, Vegetables and Grains. CRC Press, Boca Raton, Florida, pp.1-23 

  19. Michal OS. 2009. Does anthocyanin degradation play a significant role in determining pigment concentration in plants?. Plant Sci 177:310-316 

  20. Newsome RL. 1986. Food colors. Food Technol 40:49-56 

  21. Patras A, Brunton NP, Colm O'Donnell, Tiwari BK. 2010. Effect of thermal processing on anthocyanin stability in foods; mechanisms and kinetics of degradation. Trends Food Sci Tech 21:3-11 

  22. Reyes LF, Cisneros-Zevallos L. 2007. Degradation kinetics and colour of anthocyanins in aqueous extracts of purple- and red-flesh potatoes(Solanum tuberosum L.). Food Chem 100: 885-894 

  23. Rhim JW, Lee JW. 2002. Degradation kinetics of anthocyanins in purple-fleshed sweet potato pigment concentrates and a Japanese plum juice based beve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238-243 

  24. Rhim JW. 2002. Kinetics of thermal degradation of anthocyanin pigment solutions driven from red flower cabbage. Food Sci Biotechnol 11:361-364 

  25. Steed LE, Truong VD. 2008. Anthocyanin content, anthioxidant activity, and selected physical properties of flowable purplefleshed sweet potato purees. J Food Sci 73:215-221 

  26. Suda I, Ishikawa F, Hatakeyama M, Miyawaki M, Kudo T, Hirano K, Ito A, Yamakawa O, Horiuchi S. 2008. Intake of purple sweet potato beverage affects on serum hepatic biomarker levels of healthy adult men with borderline hepatitis. Eur J Clin Nutr 62:60-67 

  27. Suda Y, Nakabayashi J, Matsuo I, Aizawa S. 1999. Functional equivalency between Otx2 and Otx1 in development of the rostral head. Development 126:743-757 

  28. Timberlake CF, Bridle P. 1982. Distribution of anthocyanins in food plants. In Anthocyanins as Food Colors. Markakis P(Ed.), Academic Press, New York, pp.125-162. 

  29. Truong VD, Deighton N, Thompson RT, Mcfeeters RF, Dean LO, Pecota KV, Yencho GC. 2010. Characterization of anthocyanins and anthocyanidins in purple-fleshed sweetpotatoes by HPLC-DAD/ESI-MS/MS. J Agric Food Chem 58:404-410 

  30. Wu DM, Lu J, Zheng YL, Zhou Z, Shan Q, Ma DF. 2008. Purple sweet potato color repairs D-galactose-induced spatial learning and memory impairment by regulation the expression of synaptic proteins. Neurobiol Learn Mem 90:19-27. 

  31. Yoshimoto M. 2001. New trends of processing and use of sweet potato in Japan. Farming Jpn 35:22-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