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탄닌분해효소를 이용한 녹차 농축액의 품질 변화
Changes in the Quality of Green Tea Concentration through Tannase Treatmen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4 no.4, 2011년, pp.720 - 724  

김동호 (서원대학교 보은황토대추사업단) ,  이진 (천안연암대학 외식산업과) ,  강병선 (천안연암대학 친환경원예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녹차 농축액탄닌 가수분해 효소를 이용하여 가수 분해한 후 기존 녹차 농축액과 비교하여 이화학 및 관능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pH, 항산화 능력은 효소분해 전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효소 분해 후 탁도는 유의적으로 더욱 맑아졌다. 녹차 탄닌의 주성분인 카테킨류는 탄닌분해 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갈레이트형 카테킨 성분인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와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CG)는 EGC와 EC 그리고 gallic acid로 효소 분해되어 효소처리 녹차 농축액에서는 EGCG와 ECG가 측정되지 않았다. 떫은맛관능검사는 효소분해 후 유의적으로 떫은맛의 감소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탄닌분해 효소를 이용하여 녹차 추출물을 분해하면 녹차액은 맑아지지만, 기존 녹차 추출물의 문제점인 떫은맛은 감소되어 다양한 식품에 응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fferences in sensory evaluati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between green tea concentrations and tannase-treated green tea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pH did not differ dependent on tannase treatment but antioxidant ability were s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조 공정 및 품질에 단점을 발생시키는 녹차에 존재하는 탄닌을 효소분해법으로 분해시켜서 녹차 추출물의 떫은맛과 탄닌 함량을 감소시켜서 녹차 농축액의 품질 특성 증진과 건강기능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녹차에 존재하는 탄닌의 특징은 무엇인가? 건강 기능성이 알려진 녹차를 소재로 여러 가지 제품이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녹차에 존재하는 탄닌에 의한 떫은맛과 혼탁화 때문에 제품 개발에 어려움이 있다. 탄닌은 polyphenolic compound의 일종으로 식품 가공 시 침전 및 혼탁물을 형성하고 떫은맛을 나타내어 식품가공 시 많은 장애를 일으킨다 (Ravichandran & Parthiban 1998). 또한 탄닌은 단백질과 결합 하는 능력이 강하므로 단백질의 소화를 억제하고 Vit. B 12와 결합을 형성하여 장내 흡수를 저해하며, 소화효소 단백과 결합하여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문제점이 있다(Rodrıguez 등 2008; Gu 등 2003).
차는 어떻게 제조되는가? 차나무(Camellia sinensis)의 잎을 가공하여 제조하는 차는 경험적으로 알려진 여러 가지 질병치료 효과 때문에 건강, 보건성 음료로 정착되고 있으며, 다양한 가공제품을 개발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Bang & Park 2000).
녹차 성분 중 카테킨류에 의한 효능은 무엇이 있는가? 차에는 카테킨, 카페인, 플라보놀 유도체, 안토시안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들 물질들은 여러 가지 약리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특히 카테킨류의 효과에 대한 보고가 많다(Choi SH 2009). 이들 녹차 성분 중 카테킨류에 의한 항산화, 혈압 강화, 암 발생 억제 등 여러 가지 약리적 효능이 계속 밝혀지고 있으며, 차의 여러 가지 기능성이 과학적 으로 규명되어짐에 따라 현대인의 건강 지향적인 욕구와 부합되어 소비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Sung 등 2011; Choi 등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jpai B, Patil S. 1997. Induction of tannin acyl hydrolase (EC 3.1.1.20) activity in some members of fungi imperfecti. Enzyme & Microbial Tech 20:612-614 

  2. Bang BH, Park HH. 2000. Preparation of yogurt added with green tea and mugwort tea and quality characteristics. J Korean Sco Food Sci Nutr 29:854-859 

  3. Battestin V, Macedo GA, De Freitas VAP. 2008. Hydrolysis of epigallocatechin gallate using a tannase from Paecilomyces variotii. Food Chem 108:228-233 

  4. Boadi1 DK, Neufeld RJ. 2001. Encapsulation of tannase for the hydrolysis of tea tannins. Enzyme & Microbial Tech 28:590- 595 

  5. Chandini SK, Rao LR, Gowthaman MK, Haware DJ, Subramanian R. 2011. Enzymatic treatment to improve the quality of black tea extracts. Food Chem 127:1039-1045 

  6. Choi SH. 2009.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catechins, theaflavins and alkaloids in leaves from Korean yabukida tea plant during processing to fermented black tea. Korean J Food Culture 24:308-314 

  7. Choi Y, Lee SM, Hwang IG, Jeong HS, Lee J. 2011.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y of duck egg after pressurized soaking in green tea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1328- 1332 

  8. Chun JU. 2010. Rapid measure of color and catechins contents in processed teas using NIRS. Korean J Plant Res 23: 386- 392 

  9. Chung YH, Shin MK. 2005. A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teas according to degree of fermentation. Korean J Food & Nutr 18:94-101 

  10. Fernandez-Lorente G, Bolivar JM, Rocha-Martin J, Curiel JA, Munoz R, de las Rivas B, Carrascosa AV, Guisan JM. 2011. Synthesis of propyl gallate by transesterification of tannic acid in aqueous media catalysed by immobilised derivatives of tannase from Lactobacillus plantarum. Food Chem 128: 214-217 

  11. Gu LW, Kelm MA, Hammerstone JF, Beecher G, Holden J, Haytowitz D, Prior RL. 2003. Screening of foods containing proanthocyanidins and their structural characterization using LC-MS/MS and thiolytic degradation. J Agri & Food Chem 51:7513-7521 

  12. Macedo JA, Battestin V, Ribeiro ML, Macedo GA. 2011. Increasing the antioxidant power of tea extracts by biotransformation of polyphenols. Food Chem 126:491-497 

  13. Park KR, Lee SG, Nam TG, Kim YJ, Kim YR, Kim DO. 2009. Comparative analysis of catechins and antioxidant capacity in various grades of organic green teas grown in Boseong. Korean J Food Sci Technol 41:82-86 

  14. Ravichandran R, Parthiban R. 1998. Changes in enzyme activities (polyphenol oxidase and phenylalanine ammonia lyase) with type of tea leaf and during black tea manufacture and the effect of enzyme supplementation of dhool on black tea quality. Food Chem 62:277-281 

  15. Rodrıguez H, Rivas B, Gomez-Cordoves C, Munoz R. 2008. Degradation of tannic acid by cell-free extracts of Lactobacillus plantarum. Food Chem 107:664-670 

  16. Singh S, Gupta R. 2004. Apple juice clarification using fungal pectinolytic enzyme and gelatin. Indian J of Biotech 3: 573-574 

  17. Song KJ, Beak DC, Kim YW, Kim YG, Lee MS, Lee SP, Kim CS. 2010. Catechin and caffeine concentration variations in Jeju green tea varieties harvested over a seven-month period. J Food Sci Nutr 15:229-232 

  18. Sung NY, Kweon SY, Park JN, Choi JI, Song BS, Kim, JK, Lee JW, Kim JH. 2011. Effect of Yukwa containing green tea powder on lipid composition and body weight change in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17-182 

  19. Wee JH, Moon JH, Park KH. 1999. Catechin content and composition of domestic tea leaves at different plucking time. Korean J Food Sci Technol 31:20-2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