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중에너지 X선 흡수계측법을 이용한 폐경 전 여성의 골감소증 관련요인
The Examination of Pre-Menopause Women's Bone Mineral Density and Its Related Factors by Using the Dual-Energy X-Ray Absorptionmetry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5 no.1, 2011년, pp.27 - 35  

여진동 (서라벌대학 방사선과) ,  전병규 (대구보건대학 방사선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중에너지 X-ray 골밀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폐경 전 여성들을 대상으로 골밀도에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폐경기 이후에 증가하는 골다공증의 예방에 기여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골감소증은 20.2%였으며, 골밀도 수치를 예측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인자는 연령 이었다. 연령이 높을수록 유의하게 낮은 골밀도를 보였다. 운동에 있어서는 운동을 안하는 것보다 운동을 하는 것이 골밀도에 더 좋은 영향을 미치며, 적정한 운동을 하는 것이 골밀도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활에 따른 골밀도는 채식 위주의 식사보다는 육식위주의 식사를 선호하는 경우 골밀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생리주기가 짧을수록 골밀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골밀도와 관련요인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연령이 증가할 유의하게 골밀도가 낮게 나타나 연령이 골다공증의 위험요인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that affect the bone mineral density of pre-menopause women by using the dual energy x-ray absorptionmetry, ultimately contributing to preventing women's osteoporosis that tends to be aggravated since menopause. Out of the subjects, 20.2% were suffer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중에너지 X-ray 골밀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폐경 전 여성들을 대상으로 골밀도에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폐경기 이후에 증가하는 골다공증의 예방에 기여하고자 수행하였다.
  • 2%)로 나타났는데, 이는 임[11]의 농촌지역 50세 이상 여성을 대상으로 종골의 골밀도를 측정한 결과 골감소증이 34%, 골다공증이 12%임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평균연령이 낮고, 연구대상자가 폐경 전 상태인 점을 감안하면 중년 여성들의 골 건강문제가 있음을 시사한다.
  • 이에 이 연구는 폐경 전 여성의 골감소 발생 양상을 파악하고 그 관련 요인을 분석하여 골감소증 예방을 위한 보건교육자료의 개발과 교육에 활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나이에 따른 골량은 어떠한가? 뼈도 다른 기관과 마찬가지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노화현상이 가속된다. 골량은 성장기부터 지속적인 생성이 이루어 남녀 모두에서 30대에 최대 골량이 형성되고 견고해지지만, 40대를 고비로 골밀도가 감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50대를 넘어서면 골밀도의 감소가 현저하게 나타난다[5].
골다공증으로 골량이 감소하여 발생하는 문제점은? 골다공증이란 가장 흔한 뼈의 대사성 질환으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뼈의 화학적 조성에는 변함이 없이 단위용적내의 골량이 감소하는 질환이다. 이로 인하여 경미한 충격에도 골절이 동반되는데, 특히 고령의 환자에 있어서 심각한 문제점을 초래 한다[1].
골다공증이란? 골다공증이란 가장 흔한 뼈의 대사성 질환으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뼈의 화학적 조성에는 변함이 없이 단위용적내의 골량이 감소하는 질환이다. 이로 인하여 경미한 충격에도 골절이 동반되는데, 특히 고령의 환자에 있어서 심각한 문제점을 초래 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장준섭, 골조소증의 발생기전과 치료, 최신의학, Vol.31, No.1, pp.11-14, 1988. 

  2. 정화재, 골조소증,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2, No.1, pp.113-121, 1990. 

  3. 임승길, 골다공증의 치료, 대한내과학회지, Vol.58, No.6, pp.698-702. 1998. 

  4. 문명상, 최영길, 장준섭, 나수균, 김광원, 골다공증, 대한골대사학회, Vol.2, No.1, pp.12-13, 1991. 

  5. Dikenson RP, Hutton WC, Scott JRR, The mechanical propertics of bone in osteoporosis. J. Bone and Joint Surg, Vol.63, No.B, pp.233- 243, 1981. 

  6. Cooper C, Atkinson EJ, Incidence of clincally diagnosed vertebral fracture, a population based study in Rochester, Minnesota, Vol.7, No.2, pp.221-227, 1992. 

  7. Alekel L, Clasey JL, Contributions of exerecise body composion, and age to bone mineral density in premenopusal women. Med Sci Sports Exerc, Vol. 27, No.11, pp. 1477-1485, 1995. 

  8. Aloial JF, Vaswani AN, Yeh JK, Ross P, Ellis K, Cohn SH, Determinants of bone mass in postmenopausal women. Arch Intern Med, Vol.14, No.1, pp.1700, 1983. 

  9. 장숙랑, 최영호, 최분기, 강성현, 정진 영, 최용준, 김동현, 춘천지역 폐경 후 여성 골다공증 유병율과 관련요인, 예방의학회지, Vol.39, No.5, pp.389- 396, 2006. 

  10. Genant HK, Cooper C, Poor G, et al, Interim report and recommendations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Task-Force for Osteoporosis. Osteroporos Int, Vol.10, pp.259-264, 1999. 

  11. 임수, 신찬수, 김기수, 김수연 ,농촌지 역 50세 이상 남녀인구에서의 요골 과 종골의 골밀도 인자, 대한내분비학회지, Vol.18, No.2, pp.193-205, 2003. 

  12. 안명환, 박동구, 이동철 서재성, 김세동, 안종철, 연령증가에 따른 골밀도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탐 색적 연구,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 28, No.7, pp.2369-2379, 1993. 

  13. May H, Murphy S, Khaw KT, Alcohol consump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in older men. Gerontolgy, Vol.41, No.3, pp.152-158, 1995. 

  14. 오한진, 갱년기 골다공증의 치료, 가정의학회지, Vol.21, No.1, pp.20-27, 2000. 

  15. Heaney RP, Gallagher JC, Jhohston CC, Neer R, Parfitt AM Whedon GD, Calcium nutrition and bone health in the elderly. Am J Clin Nutr, Vol.36, pp.986-990, 1982. 

  16. 배성욱, 폐경 전 후 여성이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경산대학교 보건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17. Massey LK, Whiting SJ, Caffeine, urinary, calcium, calcium metabolism and bone. Journal of nutrition, Vol.123, No.9, pp.1611-1614, 1993. 

  18. 박미혜, 폐경기 여성에서 골다공증 위 험인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994. 

  19. 우선옥, 배상수, 김동현, 여성골다공증 의 위험요인에 관한 환자 대조군 연구, 예방의학회지, Vol.28, No.3, pp. 606-622, 1988. 

  20. 이종석, 백지선, 구은주, 배철영, 신동 학, 폐경여성의 골다공증에 관한 조사, 가정의학회지, Vol.15, No.2, pp.113-120, 19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