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2.30대 여성의 체중조절행위가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ody Weight Control Behaviors on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Young Adult Women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9 no.1, 2013년, pp.57 - 65  

정재원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이숙정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s of body weight control behaviors on bone mineral density (BMD) in Korean women aged 20 to 39 years. Methods: A secondary analysis of the 5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as conducted. Asian-Pacific criteria of BMI (Body Mass In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2 ‧ 30대 성인여성의 골밀도와 체중조절행위와의 관련성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최근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20세부터 39세의 우리나라 성인여성의 체질량 지수 분포와 체중조절행위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여성들의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전국 규모의 자료분석을 통해 편의표집을 통한 소규모 자료들의 제한점을 보완하고 대표성 있는 결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 2 ‧ 30대 여성의 체중조절행위가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서술적 상관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2 ‧ 30대 여성의 체중조절행위가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또한, 대부분의 관련 자료들이 소규모이거나 편의추출이었기 때문에 그 제한점을 감안할 때 대표성 있는 가용 자료를 활용하는 것은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민을 대상으로 조사된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본 연구주제의 대상인 20~39세인 여성들의 신체적 특성 및 체중조절행위를 파악하고 이들이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최근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20세부터 39세의 우리나라 성인여성의 체질량 지수 분포와 체중조절행위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여성들의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전국 규모의 자료분석을 통해 편의표집을 통한 소규모 자료들의 제한점을 보완하고 대표성 있는 결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젊은 시절에 골 건강관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 2012). 신체 성숙기에 골형성이 불충분하게 된 여성들은 폐경기 이후에 가속화되는 골소실 현상이 더욱 가중되어 골다공증 발생의 위험이 높기 때문에(Eisman, Clapham, & Kehoe, 2004),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젊은 시절에 골 건강관리가 필요하다.
골다공증은 건강에 어떻게 위협을 초래하는가? 골다공증은 임상적으로 별다른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있다가, 우연한 사고 등으로 인해 골절을 일으키고 그와 관련된 합병증으로 중노년의 건강에 위협을 초래한다(Kim et al., 2012).
식이섭취와 골밀도의 상관관계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 2004). 한편 Hong, Pak과 Sohn (2012)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골밀도가 정상인 여자대학생들이 좋은 식이습관(세끼 식사, 아침식사, 규칙적 식사 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난 반면 골다공증군 여성들은 과식, 외식 및 인스턴트 음식 섭취를 즐기며 1일 평균 섭취열량은 가장 높았으나, 영양소 비율로는 단백질과 지방, 칼슘섭취는 낮고 당질 섭취는 높은 불량한 식이양상을 보였다. 또한, 여대생들은 골다공증에 대한 지식수준은 높았으나 실제 건강행위 실천율은 낮아서 우유 섭취율은 권장량(2~3잔/일)의 28%, 뼈째 먹는 생선 섭취는 권장량(2~3회/주)의 32%, 규칙적 운동 이행은 30%만이 실천하는 것으로 나타나(Min & Oh, 2011) 골다공증 위험요인에 대한 인식과 자각이 부족한 결과의 단면을 보여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hn, H. S., Kim, S. H., & Lee, S. S. (2005).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adolescent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lifestyle, and other environmental factors. Korean Journal of Nutrition, 38, 242-250. 

  2. Ahn, S. H., Kim, H. L., So, H. Y., & Song, R. Y. (2009). Factors influencing fear of falling in postmenopausal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5, 344-352. http://dx.doi.org/10.4069/kjwhn.2009.15.4.344 

  3. Barrera, G., Bunout, D., Gattas, V., de la Maza, M. P., Leiva, L., & Hirsch, S. (2004). A high body mass index protects against femoral neck osteoporosis in healthy elderly subjects. Nutrition, 20, 769-771. http://dx.doi.org/10.1016/j.nut.2004.05.014 

  4. Cho, D. S., & Lee, J. Y. (2008). Bone mineral density and factors affecting in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4, 297-305. http://dx.doi.org/10.4069/kjwhn.2008.14.4.297 

  5. Cho, S. J., & Kim, C. K. (1997). The effect of female students' obese level and weight control behavior and attitudes on stres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14, 1-16. 

  6. Choi, H. S., Oh, H. J., Choi, W. H., Kim, J. G., Kim, K. M., Kim, K. J., et al. (2011). Vitamin D insufficiency in Korea-A greater threat to younger generati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96, 643-651. http://dx.doi.org/10.1210/jc.2010-2133 

  7. Eisman, J., Clapham, S., & Kehoe, L. (2004). Osteoporosis prevalence and levels of treatment in primary care: The Australian bonecare study. Journal of Bone and Mineral Research, 19, 1969-1975. http://dx.doi.org/10.1359/jbmr.040905 

  8. Hong, M. S., Pak, H. O., & Sohn, C. Y. (2012). Comparative study of food behaviors and nutrients intake according to the bone mineral density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25, 156-162. 

  9. Jung, D. J. (2006). Influence of weight control behavior, body image, self-esteem,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mental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university female students by BMI. Exercise Science, 15, 365-376. 

  10. Kim, K. H., Lee, K., Ko, Y. J., Kim, S. J., Oh, S. I., Durrance, D. Y., et al. (2012). Prevalence, awareness,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among Korean women: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Bone, 50, 1039-1047. http://dx.doi.org/10.1016/j.bone.2012.02.007 

  11. Kim, M. S., & Koo, J. O. (2007).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bone mineral density with different age among adult women in Seoul area.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2, 559-568. 

  12. Kim, M. S., & Koo, J. O. (2008). Comparative analysis of food habits and bone density risk factors between normal and risk women living in the Seoul area.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3, 125-133. 

  1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A guidebook of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Seoul: Author. 

  14. Lee, J. K., Kim, E. J., Suk, M. H., Kim, E. Y., & Hwang, R. I. (2003). Factors influencing osteoporosis.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4, 253-262. 

  15. Lee, M. S., Kang, P. S., & Lee, K. S. (2007). Factors affecting bone mineral density in premenopausal women.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24, 330-339. 

  16. Meyer, H. E., Tverdal, A., & Selmer, R. (1998). Weight variability, weight change and the incidence of hip fracture: A prospective study of 39,000 middle-aged Norwegians. Osteoporosis International, 8, 373-378. 

  17. Min, H. J., & Oh, H. Y. (2011). A study on osteoporosis knowledge, health beliefs and health behavior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2, 111-120. 

  18. Nguyen, T. V., Sambrook, P. N., & Eisman, J. A. (1998). Bone loss, physical activity, and weight change in elderly women: The Dubbo osteoporosis epidemiology study. Journal of Bone and Mineral Research, 13, 1458-1467. 

  19. Salamone, L. M., Cauley, J. A., Black, D. M., Simkin-Silverman, L., Lang, W., Gregg, E., et al. (1999). Effect of a lifestyle intervention on bone mineral density in premenopausal women: A randomized trial.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70, 97-103. 

  20. Shapses, S. A., & Riedt, C. S. (2006). Bone, body weight, and weight reduction: What are the concerns? Journal of Nutrition, 136, 1453-1456. 

  21. Tang, B. M., Eslick, G. D., Nowson, C., Smith, C., & Bensoussan, A. (2007). Use of calcium or calcium in combination with vitamin D supplementation to prevent fractures and bone loss in people aged 50 years and older: A meta-analysis. Lancet, 370, 657-666. http://dx.doi.org/10.1016/S0140-6736(07)61 342-7 

  22. Teegarden, D., Proulx, W. R., Martin, B. R., Zhao, J., McCabe, G. P., Lyle, R. M., et al. (1995). Peak bone mass in young women. Journal of Bone and Mineral Research, 10, 711-715. 

  23. WHO/IASO/IOTF. (2000).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Retrieved January 10, 2010, from http://www.idi.org.au/obesity_report.htm 

  24. Wing, R. R., & Hill, J. O. (2001). Successful weight loss maintenance. Annual Review of Nutrition, 21, 323-34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