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유방 MRI 검사에서 확산강조영상의 정량적 분석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Diffusion Weighted Imaging in Breast MRI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5 no.3, 2011년, pp.149 - 154  

조재환 (경산1대학 방사선과) ,  김현주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영상의학과) ,  홍인식 (순천향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이해각 (순천향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방암중 관상피 내암으로 진단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확산강조 영상을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확산강조영상의 효과와 유용성을 고찰 해보고자 한다. 조직학적으로 관상피 내암으로 진단 받은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3.0T MR scanner를 이용하여 확산강조영상과 ADC map 영상을 획득하였다. 정량적 분석 결과 병변 부위와 정상부위의 신호대 잡음비와 대조도대 잡음비는 병변 조직에서 높은 신호대 잡음비와 대조도대 잡음비를 보였으며 병변 부위와 정상부위의 현성확산계수는 병변 조직에서 낮은 현성확산계수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sefulness of diffusion weighted images in breast MRI by performing a quantitative comparative analysis in patients diagnosed with DCIS. On a 3.0T MR scanner, diffusion weighted images and ADC map images were obtained from 20 patients histologically diagn...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신경계나 근골격계 부위에서의 확산강조영상의 관련된 연구는 많이 보고가 되었지만 유방암 확산강조영상에 대한 문헌은 적다. 이에 저자는 확산강조영상을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 하여 확산 강조영상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침윤성 관상피암이란 무엇인가? 유방암은 우리나라에서 2001년 보건복지부 통계로 보면 전체 여성 악성 종양 발생률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2005년 전체 여성 암 사망율 6위를 차지하고 있고 점차 그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유방암 중에서도 침윤성 관상피암(invasive ductal carcinoma)은 유관을 이루는 세포에서 기원한 암으로 발병율이 전체 유방암의 80%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유방암이다[1]. 유방암의 진단에는 유방 촬영술(mammography), 유방 초음파 촬영술, 절제 생검(excisional biopsy)을 이용한 조직 검사, 자기 공명 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등이 이용 되고 있다.
mammography의 단점은? 유방암의 진단에는 유방 촬영술(mammography), 유방 초음파 촬영술, 절제 생검(excisional biopsy)을 이용한 조직 검사, 자기 공명 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등이 이용 되고 있다. 그러나 유방촬영술은 방사선 조사가 많으며 젊은 여성이나 수술 후 변형된 유방의 유방암 발견에 있어서 민감도와 특이도가 떨어진다[2]. 절제 생검을 이용한 조직검사인 경우 병변의 일부만을 절제하였기 때문에 남아있는 병변에 대한 추적 검사가 필요하고 각각 미용상의 불만족, 수 차례에 걸친 바늘 삽입의 필요성[3] 등이 문제가 되고 치밀 유방에서는 검체의 확보가 어려워 불충분한 검체의 빈도가 3.
유방암의 진단에는 무엇이 이용되는가? 유방암은 우리나라에서 2001년 보건복지부 통계로 보면 전체 여성 악성 종양 발생률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2005년 전체 여성 암 사망율 6위를 차지하고 있고 점차 그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유방암 중에서도 침윤성 관상피암(invasive ductal carcinoma)은 유관을 이루는 세포에서 기원한 암으로 발병율이 전체 유방암의 80%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유방암이다[1]. 유방암의 진단에는 유방 촬영술(mammography), 유방 초음파 촬영술, 절제 생검(excisional biopsy)을 이용한 조직 검사, 자기 공명 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등이 이용 되고 있다. 그러나 유방촬영술은 방사선 조사가 많으며 젊은 여성이나 수술 후 변형된 유방의 유방암 발견에 있어서 민감도와 특이도가 떨어진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Munetomo E, Akito M, Goi S, et al, "Invasive Ductal Carcinoma of the Breast with a Predominant Intraductal Component," Japanese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 22, No. 2, pp.84-91, 1992. 

  2. Morris EA, "Breast cancer imaging with MRI," Radiol Clin North Am, Vol. 40, No. 2, pp.443-466, 2002. 

  3. Bear HD, "Image-guided breast biopsy-how, when, and by whom?" J Surg Oncol, Vol. 67, No. 3, pp.1-5, 1998. 

  4. Fornage BD, Faroux M J, Simatos A, "Breast masses: US-guided fine-needle aspiration biopsy," Radiology, Vol. 162, No. 3, pp.409-414, 1987. 

  5. Sneige N, Fornage BD, Saleh G, "Ultrasound-guided fine-needle aspiration of nonpalpable breast lesion: Cystology and histologic findings," Am J Clin Pathol, Vol. 102, No. 4, pp.98-101, 1994. 

  6. Boetes C, Mus RD, Holland R, et al, "Breast tumors: comparative accuracy of MR imaging relative to mammography and US for demonstrating extent," Radiology, Vol. 197, No. 4, pp.743-747, 1995. 

  7. Malur S, Wurdinger S, Moritzet A, et al, "Comparison of written reports of mammography, sonography andmagnetic resonance mammography for preoperative evaluation of breast lesions, with special emphasis on magnetic resonance mammography," Breast Cancer Res, Vol. 3, No. 2, pp.55-60, 2001. 

  8. Teifke A, Behr O, Schmidt M, Victor A, Vomweg TW, Thelen M, et al, "Dynamic MR imaging of breast lesions: correlation with microvessel distribution pattern and histologic characteristics of prognosis," Radiology, Vol. 239, No. 4, PP, 351-360, 2006. 

  9. Kuhl CK, Schrading S, Leutner CC, Morakkabati-Spitz N, Wardelmann E, Fimmers R, et al, "Mammography, breast ultrasound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for surveillance of women at high familial risk for breast cancer," J Clin Oncol, Vol. 23, No. 1, pp. 8469-8476, 2005. 

  10. Albers GW, "Diffusion-weighted MRI for evaluation of acute stroke," Neurology Vol. 51, No. 3, pp.S47-S49, 1998. 

  11. Abou-El-Ghar ME, El-Assmy A, Refaie HF, and El-Diasty T,"Bladder cancer: diagnosis with diffusion-weighted MR imaging in patients with gross hematuria," Radiology, Vol. 251, No. 3, pp. 415-421, 2009. 

  12. Lee KC, Moffat BA, Schott AF, Layman R, Ellingworth S, Juliar R, et al, "Prospective early response imaging biomarker for neoadjuvantbreast cancer chemotherapy," Clin Cancer Res, Vol. 13, No. 1, pp.443-450, 2007. 

  13. Guo Y, Cai YQ, Cai ZL, Gao YG, An NY, Ma L, et al. "Differentiation of clinically benign and malignant breast lesions using diffusion-weighted imaging," J Magn Reson Imaging, Vol. 16, pp.172-178, 2002. 

  14. Yoshikawa MI, Ohsumi S, Sugata S, Kataoka M, Takashima S, Kikuchi K, et al. "Comparison of breast cancer detection by diffusion-weight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mammography," Radiat Med, Vol. 25, pp.218-223, 2007. 

  15. Kuroki-Suzuki S, Kuroki Y, Nasu K, Nawano S, Moriyama N, and Okazaki M, "Detecting breast cancer with non-contrast MR imaging: combining diffusion-weighted and STIR imaging," Magn Reson Med Sci, Vol. 6, pp.21-27,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