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차 의료기관에서 일반촬영 검사의 피폭선량 연구 (수도권 영상의학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Radiation Dose for General Radiography Examination at First Medical Institution (Around the Radiology Clinic of National Capital Region)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5 no.5, 2011년, pp.245 - 253  

황수련 (광혜병원 영상의학과) ,  정홍량 (한서대학교 방사선학과) ,  임청환 (한서대학교 방사선학과)

초록

환자가 받는 선량이 증가함에 의해 위해도가 증가한다. 이에 본 연구는 2009년 8월부터 2010년 9월까지 서울 및 경인지역의 영상의학과의원을 대상으로 환자피폭선량을 분석하였다. 두개골 전후방향검사에서 환자피폭선량은 영상의학과의원 1.75mGy, 영국 3.00mGy, 일본 3.00mGy, 독일 5.00mGy로 영상의학과의원이 낮게 측정되었고, 두개골 측방향검사에서 환자피폭선량은 영상의학과의원 1.49mGy, 3차 의료기관 1.50mGy로 영상의학과의원이 낮게 측정되었고 IAEA의 권고 선량인 3.00mGy 보다 낮게 측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환자의 의료피폭 저감화를 위해 국제기구 권고안을 준수하고, 방사선의 효율적인 방호의 최적화와 의료방사선 피폭의 저감화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hazard level will be increased with the augmentation of the dose received by patients. Therefore, patients radiation dose have been analyzed by this study for the radiology clinics located at Seoul and Gyeongin area from August 2009 to September 2010. In the case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진단참고준위선량을 위해 1차 의료기관인 영상의학과의원에서 일반 X-선발생장치의 이용실태 및 환자피폭선량에 대한 연구를 서울 및 경인지역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검사조건을 바탕으로 계산된 선량 값을 3차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한 연구와의 비교·분석하여 일반 X-선 검사에서 진단참고준위 환자피폭선량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김태선 외, "의료용 방사선 피폭에 관한 의식 조사", 전국 방사선사 종합학술지, Vol. 41, No. 1, pp.121-122, 2006. 

  2. 이해룡 외, "방사선종사자의 개인 피폭선량 측정", 국립보건원보, Vol. 29, No. 2, pp.460-466, 1992. 

  3. 이환형, "의료기관 진단방사선의 피폭관리에 대한 인식도",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pp.1-3, 1991. 

  4. 이석균, "진단방사선안전관리 및 직무환경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양대학교, pp.1-2, 2007. 

  5. 이광용, "진단방사선분야에서의 진단참고준위 확립을 위한 워크숍", 식품의약품안정청, pp.3-33, 2008. 

  6. IAEA, "International basic safety standards for protection against ionizing radiation and the safety of radiation source, IAEA Safety No.115, Vienna, pp.279-280, 1996. 

  7. 김유현 외, "진단방사선영역에서 의료피폭선량의 기준 개발", 과학기술부 최종 연구보고서, pp.29-30, 2005. 

  8. D Hart, M C Hillier and B F Wall, "Doses to patients from medical x-ray examinations in the UK-200 Review", NPRP, 2002. 

  9. 의료피폭가이드라인위원회, "의료피폭의 가이드라인", 사단법인 일본방사선기사회, pp.31-37, 2000. 

  10. 독일연방방사선방어청, "방사선검사 및 핵의학검사에 적용되는 진단참고준위 공시", 2003. 

  11. Orhan H. Suleiman, Stanley H. Stern and David C. Spelic, "Patient dosimetry activities in the United States", the nationwide evaluation of X-ray trends(NEXT) and tissue dose handbooks, Applied Radiation and Isotopes, 50(1), pp.247-259, 1999. 

  12. Suzuki S, Suhama C, Tanimoto K, et al, "Patient exposure doses from medical x-ray examinations in Japan", Korea-Japan joint conference for radiological technologist, Gyeongju, pp.84,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