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DHD에 대한 한방치료의 효과에 대한 후향적 관찰 연구
Effects of Oriental Medical Treatment on ADHD - A retrospective clinical survey - 원문보기

大韓韓醫學會誌 =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ine, v.32 no.4, 2011년, pp.75 - 82  

변기원 (서울 변한의원) ,  김주호 (서울 변한의원) ,  김종우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 ,  정선용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case report aimed to evaluate whether oriental medical treatment was effective on ADHD through a records review of a local oriental medical clinic. Methods: We reviewed clinical charts of a local oriental medical clinic between December 2007 and September 2010 to select ADHD pati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비교적 다수의 ADHD아동에 대해 지속적인 치료 및 정기적인 실행능력검사를 시행한 임상자료가 있어서, 앞으로 한의학계에서 ADHD 임상시험 및 치료지침을 개발하는데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보고하는 바이다.
  • 좌우뇌의 기능적 불균형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본래는 내이와 중심운동기능을 검사하기 위한 방법으로7), 전정기관 기능을 평가하여 현훈이 내이질환으로 인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검사이지만, VNG의 검사요소가 뇌의 기능 이상을 반영할 수 있으므로8) 본 연구에서는 ADHD 아동의 좌우뇌 불균형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하였다. 안구 운동을 추적하기 위한 적외선 안경을 착용한 후 시각적 자극과 체위변화를 주면서 측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핵심 증상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는 짧은 주의집중의 폭, 과잉활동증, 그리고 충동성을 핵심증상으로 하는 질환이다1). 원인은 아직 확실하지 않으며, 치료는 양방에서는 약물치료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중추신경자극제인 Dextroamphetamin, methylphenidate, pemoline이 흔히 사용되고 있으나, 불면, 식욕감퇴, 두통, 위통, 오심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는 경우가 자주 있으며, 틱장애를 악화시키기도 한다2).
중추신경자극제인 Dextroamphetamin, methylphenidate, pemoline을 사용하여 치료했을 때 나타나는 부작용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는 짧은 주의집중의 폭, 과잉활동증, 그리고 충동성을 핵심증상으로 하는 질환이다1). 원인은 아직 확실하지 않으며, 치료는 양방에서는 약물치료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중추신경자극제인 Dextroamphetamin, methylphenidate, pemoline이 흔히 사용되고 있으나, 불면, 식욕감퇴, 두통, 위통, 오심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는 경우가 자주 있으며, 틱장애를 악화시키기도 한다2).
ADHD의 표준치료 중 운동을 이용한 치료와 관련된 논문 내용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외에 운동을 이용한 ADHD의 치료를 언급한 논문들이 몇편 있는데, 12주간 줄넘기와 볼을 이용한 복합운동이 효과가 있다는 연구22)와 매주 3회 6주간 음악줄넘기를 실시한 결과 효과가 있었다는 연구23), 매주 5회 10주간 음악줄넘기를 실시한 결과 효과가 있었다는 연구24), 주 3회 50분간 20회의 신체균형잡기 운동이 효과가 있다는 연구25)가 있어서, 운동도 ADHD의 치료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한방신경정신의학. 경기:집문당. 2005. 671-4. 

  2. Chang GT. Oriental Medical Approach to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J Korean Oriental Pedictrics. 2001;15(2):141-63. 

  3. Kim LH, Song BY, Yu G. 3 Case Reports of ADHD Children treated with Acupuncture and Herbal Medicine.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4;15(1):239-46. 

  4. Wy YM, Kang HW. A Case Report of Various Oriental Medical Therapy in Combination with Learning Therapy on School Underachievement Child caused by ADHD. J. of Oriental Neuropsychiatr. 2009;20(4):197-209. 

  5. Kim JH, Oh YL, Lee JH, Kim TH, Lyu YS, Kang HW. A Case Report of Typical Oriental Medical Therapy in Combination with Neurofeedback on ADHD Child.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6;17(3):157-64. 

  6. Byeon KW, Sohn IC. A case report of child ADHD treated with oriental medicine. Journal of Meridian & Acupoint. 2008;25(1):99-111. 

  7. McCaslin DL, Jacobson GP. Current Role of The Videonystagmography Examination in the Context of the Multidimensional Balance Function Test Battery. Seminars in Hearing. 2009;30(4):242-53. 

  8. Van der Stigchel S, Rommelse NN, Deijen JB, Geldof CJ, Witlox J, Oosterlaan J, Sergeant JA, Theeuwes J. Oculomotor capture in ADHD. Cognitive Neuropsychology. 2007 Jul;24(5):535-49. 

  9. Lee HY, Seo WS, Sung HM, Bai DS, Jeong JY. Chang MS. Relation to Executive Function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Poor WCST Performance of Children with ADHD: Comparison with ADHD with Normal Performance of WCST and Depression.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2010;26(2):169-95. 

  10. 오상우. 한국판 STROOP 색채 단어 간섭검사. 원광정신의학. 1989;5:53-68. 

  11. Lee YK. The Relationship between Story Recalling and Executive Functions of children with ADHD.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2010;15(1):20-33. 

  12. Kim SY, Chang MS, Seo WS, Bai DS. The Difference of Executive Function in ADHD Children with and without Depression. Journal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2009; 15(1):21-8. 

  13. Song CW. Executiv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y,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Children with Normal.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2009; 10(4):565-90. 

  14. Shin MS, Park MJ. A Standardization Study for Korean Version of the Stroop Color-Word Test Children's Version. Proceedings of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nnual Convention. 2006:628-9. 

  15. 신민섭, 박민주. 스트룹 아동 색상-단어 검사 실시요강. 서울:학지사. 2007. 

  16. 楊繼洲. 鍼灸大成(全). 서울:杏林出版社. 1981:211,264. 

  17. Goto Y, Hatakeyama K, Kitama T, Sato Y, Kanemura H, Aoyagi K, Sugita K, Aihara M. Saccade eye movements as a quantitative measure of frontostriatal network in children with ADHD. Department of Pediatrics,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Yamanashi, Chuo, Yamanashi, Japan. 2010 May; 32(5): 347-55. 

  18. Cho SC, Shin YO. Prevalence Of Disruptive Behavior Disorders. Journal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1994;5(1):141-9. 

  19. Pyo KS Park SH, Kim SH, Cho YR, Kim HR, Moon KR. The prevalence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ty Disorder in Urb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조선대학교 의대논문집. 2001; 26(2):105-17. 

  20. 미국정신의학회.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편람 제4판. 서울:하나의학사. 1995:117. 

  21. Yoo JY. The Effectiveness of Neurofeedback on the Inattention & Impulsity of ADHD Children. The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ersity. 2009. 

  22. Lee SK. The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on Physical Fitness, Neurotransmitter, EEG and Frontal Lobe Executive Function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The Graduate School, Sookmyung Woman's University. 2011. 

  23. Kwak SH. The Effect of Music Rope-Skipping Exercise on Maladjusted Behavior of Children with ADH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0. 

  24. Shin C. A Case Study on the Schoollife Change of ADHD chidren through Physical Activity.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0. 

  25. Han CG. The Effect of Body Balance for the Attention Behavior of ADHD Children. Graduate School of Hanshin University. 2009. 

  26. 馬元臺, 張隱庵. 黃帝內經素問靈樞合編. 台北:台 聯國風出版社. 1976:1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