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의 침치료에 대한 최신 연구동향 - 2011-2013년 중국 논문 중심으로 -
A Review of Studies for Acupuncture Therapy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원문보기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v.27 no.4, 2013년, pp.10 - 16  

강문수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 ,  김우경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 ,  김락형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upuncture therapy about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n China. Methods We searched for the studies on ADHD at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http://www.cnki.net) from 2011.1 to 2013.8. Results Selected 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1년 이후 발표된 중국논문 중 침치료를 활용한 임상 논문의 고찰을 통해 침치료에 대한 최신 동향을 파악해보고, 국내 임상에서 ADHD의 한의학적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DHD의 유병률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Attention Deficit / Hyperactivity Disorder; ADHD)는 학령전기 혹은 학령기 아동들에게서 가장 흔히 관찰되는 소아정신과학 영역의 대표 질환 중 하나로 낮은 집중력으로 인한 짧은 주의 집중기간, 충동성 및 과다활동을 특징 증상으로 한다1,2). ADHD의 유병률은 세계적으로 2~6.5% 정도로 알려져 있으며, 국내의 경우 과거에는 2~4%였으나 최근 연구들을 보면 그 이상 보고되고 있다3,4).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Attention Deficit / Hyperactivity Disorder; ADHD)는 학령전기 혹은 학령기 아동들에게서 가장 흔히 관찰되는 소아정신과학 영역의 대표 질환 중 하나로 낮은 집중력으로 인한 짧은 주의 집중기간, 충동성 및 과다활동을 특징 증상으로 한다1,2). ADHD의 유병률은 세계적으로 2~6.
ADHD의 특징 증상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Attention Deficit / Hyperactivity Disorder; ADHD)는 학령전기 혹은 학령기 아동들에게서 가장 흔히 관찰되는 소아정신과학 영역의 대표 질환 중 하나로 낮은 집중력으로 인한 짧은 주의 집중기간, 충동성 및 과다활동을 특징 증상으로 한다1,2). ADHD의 유병률은 세계적으로 2~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Min SK. Modern psychiatry. 5th rev. Seoul:Ilchokak. 2007:627-31 

  2. Kim LH, Song BY, Yu G. 3 case reports ADHD children treated with acupuncture and herbal medicine.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4;15(1):239-46 

  3. Hong KE. Korean textbook of child psychiatry. Seoul: Joongangmunhwasa. 2005:221, 233-4, 238-9. 

  4. Jeong MJ, Lee SY. Investigating the present situation for oriental-medical examination and treatment of ADHD children. J Korean Oriental Pediatr. 2006;20(3):105-16 

  5. Choi JA. Literature review of play therapy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DHD. J Korean Home Economics Assoc. 2012;50(5):125-38 

  6. Chang GT. Oriental medical approach to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ADHD). J Korean Oriental Pediatr. 2001;15(2):141-65 

  7. Park HC, Kang MS, Kim LH, A review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7;18(2):35-44 

  8. Lee TH, Kim LH, Jang IS, Kim JY. A review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3;14(1):161-74 

  9. Lee SG. A study of the children with mental disorders in oriental medicine.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3; 14(2):35-42 

  10. Park JH, Park JH, Kim JH, Kim TH, Lyu YS, Kang HW. A study on the oriental-medical understanding about inattention, hyperactivity symptom in ADHD(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within don yui bo gam book -.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4;15(1):9-26 

  11. Byeon KW, Sohn IC. A case report of child ADHD treated with oriental medicine. J of Meridian & Acupoint. 2008;25(1):99-111 

  12. Kang JW, Park JG, Cheon YW, Han G, Park HC, Kim LH, Yoo G, Jeong EH. A case report of ADHD child treated with neurofeedback.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5;16(2):243-50. 

  13. Kim JH, Oh YL, Lee JH, Kim TH, Lyu YS, Kang HW. A case report of typical oriental medical therapy in combination with neurofeedback on ADHD child.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6;17(3):157-64. 

  14. Hwang YJ, Kim KB, Min SY, Kim JH. A clinical study on 3 cases of ADHD children treated with neurofeedback. J Korean Oriental Pediatrics. 2007;21(3): 85-95 

  15. Jung MS, Kang HC, Lee SG. A clinical report of ADHD child treated with neurofeedback therapy.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8;19(3):289-97 

  16. Kim HE, Kim JH. The literature study f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in traditional chinese medical journals. J Korean Oriental Pediatrics. 2006;20(2):59-75 

  17. Ryu CG, Cho AR, Seo JH, Jeong SS, Lee JS, Sung WY. The current state of clinical studies for herbal medicine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 focusing on chinese journals -.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3;24(1):1-12 

  18. Chang MS. The validation of conners' adult ADHD scale-Korean(short version).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8;27 (2):499-513 

  19. Luo QY, Yuan Q. Clinical treatment of ADHD by Jin-san acupucture. World Chinese Medicine. 2011;6(3): 230-2 

  20. Liu HZ. Observation of acupuncture treatment effect for ADHD. China Practical Medicine. 2011;6(11):247-8 

  21. Huang BM, Yu ZX, Li ZR. Clinical Observation on Acupuncture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Journal of Acupuncture and Tuina Science. 2012;10(5):300-4 

  22. Song Y. Acupuncture treatment and ear acupressure of child with ADHD. The Medical Forum. 2011;15(3): 254-5 

  23. Luo RF, He M. Acupressure of ear point for 28 children with ADHD. Journal of External Therap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1;20(4):54 

  24. Yang XC, Mao ZY. A case report of 20 ADHD children treated by scalp and body acupuncture. J of Practical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2;28(3):201 

  25. Huang R, Zhao CJ, Zhu LH, Dong YY, Li C. A case report of an ADHD Child by acupuncture treatment. Shanghai J Acu-Mox. 2011;30 (10):672 

  26. Liu J. Clinical observation on resuscitating acupuncture f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Tianjin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3;30(1):54-6 

  27. Wei H. Analysis of clinical treatment for ADHD. China Medicine and Pharmacy. 2011;1(20):157 

  28. Liu CL, Wang JY, Luo W, Huang C, Yi HJ. Clinical observation on acupuncture treatment for 42 cases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tic disorder. Guiding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d Pharmacy. 2013;19(4):58-9 

  29. Meng XH, Zhang QH. Therapeutic observation on combining acupuncture with western medication f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of childhood. Shanghi J Acu-Mox. 2012;31(10):732-3 

  30. Chen Y, Zhu DX, Yang L. Observation of validity and safety of behavior therapy, acupuncture therapy combined with methylphenidate in treatment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J of Jianghan Univ. 2012;40(3):93-6 

  31. Korean acupuncture and moxibustion society. The acupuncture and moxibustion (the 2nd volume). Paju : Jipmoondang. 2008:323-5, 382-4, 404-6, 429-31, 539-40, 552-3, 574-5, 577, 626-8, 632-3, 667-8, 699-701, 709-13, 741-2, 764, 7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