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a comprehensive diagnosis of yin-deficiency and heart rate variability in halitosis patients. Methods: We surveyed 62 halitosis patients visiting the Halitosis Clinic in the Kyung Hee University Oriental Medicine Hospital from A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취 환자들이 입안마름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고 구취와 입안마름 증상 모두 심리적 요인과 관련이 깊다는 것에 착안하여, 이를 陰虛로 인한 口燥咽乾, 陽亢으로 인한 鬱火 증상으로 보고 구취 및 입안마름 증상과 음허 변증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였으며, 최근에 스트레스에 대한 평가 도구로 많이 사용하는 HRV 검사를 통하여 구취 환자들의 자율신경 변화를 알아보았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취에 대한 다양한 변증 유형 중 음허 변증을 선택하여 구취 및 입안마름증과 음허 변증과의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환자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구취 및 입안마름의 정도를 측정하고, 입안마름증과 관련하여 비자극시 타액분비율(Unstimulated Salivary Flow Rate, USFR)의 정상군과 저하군에서의 음허 변증 및 심박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HRV) 검사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 그러나 일부 연구에서, 입안마름증 환자들은 타액분비율이 정상 범주에 속하더라도 낮은 수치에 해당되는 경우가 많고, 타액 분비가 낮은 수치에서 입안마름 증상이 강하게 나타났다고 보고된 바 있다21,22).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입안마름 증상과 타액분비율이 관련성이 있다고 보고, 입안마름 증상의 주관적인 평가와 USFR을 함께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취와 입안마름 증상이 심리적 요인과도 관련성이 큼을 입증한 연구들은 어떤 것이 있는가? 이러한 구취와 입안마름 증상은 신체적, 정신적 상태 모두와 연관되어 있으나, 특히 심리적 요인과의 상당한 관련성이 선행연구들을 통해 입증되었다. Suzuki 등6)의 연구에서 가성구취 환자 뿐 아니라 진성구취 환자 역시 심리적 요인과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Bergdahl 등7)의 연구에서도 입안마름 증상과 스트레스와의 높은 관련성이 언급된 바 있다.
구취의 강도를 달라지게 하는 요인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구취의 약 90%는 구강 내에서 기인하며1), 특정 음식, 비만, 흡연, 음주 등에 따라 하루 중에도 구취의 강도는 달라질 수 있다. 건강한 사람도 밤 동안 타액 분비가 감소하고 구강 내 산소와의 접촉이 줄어들어 “아침 입냄새(morning breath)”라 불리는 생리적 구취를 유발할 수 있다3).
구취란 무엇인가? 구취는 입을 통하여 나오는 불쾌한 냄새를 말하며1), 개인의 이미지와 대인관계가 중요시되는 현대 사회에서 구취에 대한 관심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전체 인구의 약 50%가 구취로 인해 고민하거나 고통을 받은 적이 있으며, 이들 중 약 절반은 사회생활과 정신 건강에 어려움을 겪을 정도로 심각한 수준이라고 보고된 바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Porter SR, Scully C. Oral malodour(halitosis). BMJ. 2006;333(7569):632-5. 

  2. Bornstein MM, Stocker BL, Seemann R, Burgin WB, Lussi A. Prevalence of halitosis in young male adults: a study in Swiss army recruits comparing self-reported and clinical data. J Periodontol. 2009;80(1):24-31. 

  3. Shinjiro K, Shuji A, Kenjiro G, Eriko K, Toshihiro A, Tadamichi T. Low salivary flow and volatile sulfur compounds in mouth air.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3;96(1):38-41. 

  4. Kim SY, Kim JS, Kim YS, Hong IA, Hur WY, Eom GH et al. Correlation Study between Dry mouth and Comprehensive Diagnosis of Qi xu.Qi yu in Patients with Halitosis. Korean J Orient Int Med. 2007;28(1):97-105. 

  5. Han GJ, Kim JS, Seon JK, Son JH, Oh SW, Park YS et al. Correlation between Xerostomia, Stress and Qi Movement Stagnation in Halitosis Patients. Korean J Orient Int Med. 2010;31(3): 488-99. 

  6. Suzuki N, Yoneda M, Naito T, Iwamoto T, Hirofuji T. Relationship between halitosis and psychologic statu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8 ;106(4):542-7. 

  7. Bergdahl M, Bergdahl J. Low unstimulated salivary flow and subjective oral dryness: association with medication, anxiety, depression, and stress. J Dent Res. 2000;79(9):1652-8. 

  8. Kim JS, Ryu BH.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Halitosis. J Korean Oriental Med. 2007;28(2):13-21. 

  9. Kim JS, Yoon SH, Ryu BH, Ryu KW. Studies on Charcterisitics and Related Factors in Halitosis Patients. Korean J Orient Int Med. 2004;25(4):252-9. 

  10. Jang SY, Park JW, Yoon SW, Ryu BH, Kim JS. Study on Deodorizing Effects of Mume Fructus, Eriobotryae Folium, Acanthopanacis Cortex and Angelicae Dahuricae Radix for the Development of a Gargle Solution. J Korean Oriental Med. 2010;31(4):115-28. 

  11. Kim JS, Hong JH, Park WH, Jeon WH, Kim JS, Yun SH et al. The Effect of several herbs on reducing halitosis and the comparison of Efficacy with EUNDAN and GARGLIN. J of Oriental Chr Dis. 2001;7(1):9-17. 

  12. 樓英. 醫學綱目. 서울:일중사 1984:1092-3. 

  13. 李?. 醫學入門. 서울:남산당 1985:1442-4. 

  14. Lee SY, Kim JS, Kim SY, Hur WY, Eom GH, Kim HK et al. Relationship between Halitosis and Gastric Fever Analysed by Questionnaire Cold-Heat Patternization. Korean J Orient Int Med. 2006;27(2):500-9. 

  15. Lee, S. Park, J. Lee, H. Kim, K.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Yin-Deficiency Questionnaire. Am J Chin Med. 2007;35(1):11-20. 

  16. Navazesh M, Christensen CM. A comparison of whole mouth resting and stimulated salivary measurement procedures. J Dent Res. 1982; 61(10):1158-62. 

  17. Albuquerque DF, de Souza Tolentino E, Amado FM, Arakawa C, Chinellato LE. Evaluation of halitosis and sialometry in patients submitted to head and neck radiotherapy. Med Oral Patol Oral Cir Bucal. 2010;15(6):850-4. 

  18. Akselord S, Gordon D, Ubel FA, Shannon DC, Barger AC, Cohen RJ. Power spectrum analysis of heart rate fluctuation: a quantitative probe of beat-to-beat cardiovascular control. Science. 1981;213(4504):220-2. 

  19. Van den Broek AM, Feenstra L, de Baat C. A review of the current literature on management of halitosis. Oral Dis. 2008;14(1):30-9. 

  20. Son WY, Jeon YH, Lee JY, Cho HG, Hong JP.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Halitosis an Salivary Gland Function. J Korean Academy of Oral Med. 1998;23(4):353-9. 

  21. Osterberg T, Landahl S, Hedegard B. Salivary flow, saliva, pH and buffering capacity in 70-year-old men and women. Correlation to dental health, dryness in the mouth, disease and drug treatment. J Oral Rehabil. 1984;11(2): 157-70. 

  22. Ben-Aryeh, H, Spielman A, Szargel R, Gutman D, Scharf J, Nahir, M et al. Sialochemistry for the diagnosis of Sjogren's syndrome in xerostomic patient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81;52(5):487-90. 

  23. Queiroz CS, Hayacibara MF, Tabchoury CPM, Marcondes FK, Cury JA. Relationship between stressful situations, salivary flow rate and oral volatile sulfur-containing compounds. Eur J Oral Sci. 2002;110(5):337-40. 

  24. 정인철, 이상룡. 神經精神科疾患과 연관된 火因에 관한 文獻的 考察.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논문집. 1997;6(1):539-53. 

  25.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한방신경정신의학. 경기:집문당. 2006:111-35. 

  26. Hyoung YG, Roh SS, Ju YS. Bibliogical Study about external theraphy of oral diseases.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1997;10(1):50-90. 

  27. Wang SL, Zhao ZT, Li J, Zhu XZ, Dong H, Zhang YG. Investigation of the clinical value of total saliva flow rates. Arch Oral Biol. 1998; 43(1): 39-43. 

  28. Choi WJ, Lee SG, Park KM. A Study on the Relationship with Acupuncture Stimulation and Stress Using Heart Rate Variability. J Oriental Neuropsychiatry. 2004;15(1):197-210. 

  29. Appel ML, Berger RD, Saul JP, Smith JM, Cohen FJ. Beat to beat variability in cardiovascular variables: Noise or music? J Am Coll Cardiol. 1989;14(5):1139-48. 

  30. Montano N, Ruscone TG, Porta A, Lombardi F, Pagani M, Malliani A. Power spectrum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to assess the changes in sympathovagal balance during graded orthostatic tilt. Circulation. 1994;90(4):1826-3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