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hellodendron amurense의 미백물질을 이용한 화장품 특성
Characteristics of Cosmetic with Whitening Compounds from Phellodendron amurense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54 no.2, 2011년, pp.108 - 113  

조영제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식품생물산업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황백 추출물의 tyrosinase 억제효과를 검토한 결과 60% 에탄올추출물에서 25% 정도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melanoma세포(B16F10)에서의 멜라닌 생합성을 측정한 결과 31.2%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멜라닌생성억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황백추출물에서 tyrosinase저해 활성물질을 정제하고자 Sephadex LH-20과 MCI-gel CHP-20 open column을 이용하여 용출한 결과 순수하게 정제된 활성물질을 얻을 수 있었으며, 정제물질을 구조 동정한 결과 미백물질은 obacunone으로 동정되었다. 정제된 obacunone은 35.1%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미백 활성이 비교적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황백추출물로부터 분리한 미백물질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을 제조하여 관능평가를 한 결과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미백화장품의 안정성 검사를 위해 pH, 점도 및 복소탄성률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나 저장기간 60일 동안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온도변화, 인공 및 자연광에 의한 변화, 온도순환에 의한 변화 및 냉 해동순환(Freeze & Thaw cycling)에 따른 변화들 살펴본 결과 저장 60일 동안 모든 조건에서 상의 분리와 변색, 변취 등의 변화 없이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extracts from Phellodendron amurense was examine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60% ethanol extracts was determined as 25% and the inhibitory activity of 60% ethanol extracts against melanin biosynthesis in melanoma cell (B16F10) was 31.2%. The purified in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온도 변화에 따라 유화. 가용화에 물성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안전성이 떨어지는 제품은 고온에서 가수분해 현상 등이 일어나며, 저온에서는 부피팽창, 용해도차에 의한 계면 막 손상, 침전 등이 일어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피부흑화를 억제하여 미백효과를 얻을 수 있는 물질을 탐색하던 중 민간에서 한약재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는 황백(E amerase)에서 미백효과를 가지는 물질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유용성분들을 분리, 동정하였으며, 직접 화장품에 적용시켜 제품의 안정성을 확인함으로서, 기능성 화장품으로의 산업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가설 설정

  • 미백 기능성 화장품(에센스) 제품의 제조. 미백 기능성 에센스 제품은 Table 1의 처방에 따라 제조하였는데, 황백 추출물 0.3% 농도는 essence 제형이 유지되는 범위내의 농도이며, 0.3% 에 4.3 mg정도의 활성 물질이 함유되어있어 앞의 실험 결과에서 보듯이 충분히 미백기능성을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정하였다. Essence제품의 제조에는 수상으로 보습제인 glycerin, polyethylene glycol 150과 방부제를 넣어 80℃까지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homo mixer (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ernstein EF, Chen YQ, Tamai K, Shepley KJ, Resnik KS, Zhang H, Tuan R, Mauviel A, and Uitto J (1994) Enhanced elastin and fibrillin gene expression in chronically photodamaged skin. J Invest Dermatol 103, 182-186. 

  2. Cho YH, Lee BC, Kim JH, Kim JH, Pyo HB, Zhang YH, and Park HD (2005) Effect of Artemisia anomala S. Moore on antioxidant activity and melanogenesis. Kor J Pharmacogn 36, 273-277. 

  3. Choi WY, Chun HJ, Lee JH, and Baek SH (2003)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Cornis fructus on melanogenesis. Kor J Pharmacogn 34, 70-74. 

  4. Chun HJ, Choi WH, Baek SH, and Woo WH (2002) Effect of Quercetin on melanogenesis in a melanocyte cells. Kor J Pharmacogn 33, 245-251. 

  5. Folin O and Denis W (1912) On phosphotungasticphosphomolybet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9. 

  6. Gilchrest BA (1990) Skin aging and photoaging. Dermatol Nurs 2, 79-82. 

  7. Hearing VJ and Jimenez M (1987) Mammalian tyrosinase the critical regulatory control point in melanocyte pigmentation. Int J Biochem 19, 1141-1146. 

  8. Hiroyaki K, Yoshiaki T, Takuji T, Shiro H, Mikio T, Masaki M, and Keiji W (2000) Citrus limonoids abacunone and limonin inhibit azoxymethane-induced colon carcinogenesis in rats. Bio Factors 13, 213-218. 

  9. Hosoi J, Abe E, Suda T, and Kuroki T (1985) Regulation of melanin synthesis of B16 mouse melanoma cells by 1-alpha, 25-dihydroxyvitamin D3 and retinoic acid. Cancer Res 45, 1474-1478. 

  10. Hwang EY and Choi SY (2006)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mpounds in different parts of Panax ginseng C. A. Meyer and its inhibitory effect on melanin biosynthesis. Kor J Medicinal Crop Sci 14, 148-152. 

  11. Jung SW, Lee NK, Kim SJ, and Han DS (1995) Screening of tyrosinase inhibitor from plants. Kor J Food Sci Technol 27, 891-896. 

  12. Kligman D (2000) Cosmeceuticals. Dermatol Clin 18, 609-615. 

  13. Ko JS (2000) In Dermatology, 73, Soomoonsa Press, Seoul, Korea. 

  14. Kwak JH, Kim YH, Chang HR, Choi BW, Park CW, and Han YH (2004) Inhibitory effect of gardenia fruit extracts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ogenesis. Kor J Biotechnol Bioeng 19, 437-440. 

  15. Kwak JH, Seo UK, and Han YH (2001) Inhibitory effect of Mugwork extracts on tyrosinase activity. Kor J Biotechnol Bioeng 16, 220-223. 

  16. Lee NH, Yang HC, Bu HJ, Jung DS, Lee SJ, and Riu KZ (2001) Screening of the tyrosinase inhibition and hyaluronidase inhibition activities and radical scavenging effects using plants in Cheju. Kor J Pharmacogn 32, 175-180. 

  17. Mauviel A, Halcin C, Vasiloudes P, Parks WC, Kurkinen M, and Uitto J (1994) Uncoordinate regulation of collagenase, stromelysin, and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s genes by prostaglandin E2: Selective enhancement of collagenase gene expression in human dermal fibroblasts in culture. J cell Biochem 54, 465-472. 

  18. Park SK, Kim SN, Lee JC, Kim HS, Kim YJ, Lee BG, and Chang IS (2004) Anti-aging effect on skin with Jaeum-Dan (JED). Kor J Herb 19, 67-76. 

  19. Pavel S and Muskiet FA (1983) Eumelanin(precursor) metabolites as markers for pigmented malignant melanoma, a preliminary report. Cancer Detect Prev 6, 311-316. 

  20. Pentland AP, Shapiro SD, and Welgus HG (1995) Agonist-induced expression of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s and metalloproteinases by human macrophages is regulated by endogenous prostaglandin E2 synthesis. J Invest Dermatol 104, 52-57. 

  21. Prota G (1980) Recent advances in the chemistry of melanogenesis in mammals. J Invest Dermatol 75, 122-127. 

  22. Tohru S, Toshio M, Masanori K, and Akira V (1988) Limonoids and quinolone alkaloids from Evodiarutaecarpa bentham. Chem Pharm Bull 36, 4453-4461. 

  23. Yagi A, Kanbara T, and Morinobu N (1986) The effect of tyrosinase inhibition for aloe. Planta Medica 3981, 517-5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