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15개 다목적댐 유역별 A1B 기후변화 시나리오 분석
Analysis of A1B Climate Change Scenario in the Watersheds of 15 Multi-purpose Dams in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하천호수학회지= Korean journal of limnology, v.44 no.2, 2011년, pp.187 - 194  

김홍래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  이혜숙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  신재기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수자원, 물환경 및 수생태계의 변이를 파악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평격자 27 km의 고해상도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15개 다목적댐 유역을 대상으로 기후변화를 분석하였다. 기온은 15개 다목적댐유역 모두 2100년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강수량은 2040년대에 급격히 증가하면서 2050년대 이후부터는 지역별로 서로 다른 증감 경향을 보였다. 강원지역에 위치한 소양강댐과 횡성댐 유역에서는 2050년대 이후 강수량 증가가 서서히 감소한 후 2090년대에 다시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경북지역에서 전남 해안지역에 이르는 중부지역에 위치한 7개 댐 유역에서는 2050년 이후 10년 주기의 증감 변화가 나타났으며, 남부지역에 위치한 6개 댐 유역에서는 2050년 이후 2060년대에 강수량 증가가 급격히 감소한 후 2090년대까지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0세기 후반(1971~2000년)에 비하여 21세기 후반(2071~2100년)에 강수일수는 약 3% 정도 증가하고 강수강도는 6~12% 정도 강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강수강도별 강수빈도는 남부지역을 제외한 모든 댐 유역에서 강수강도가 증가할수록 강수빈도는 증가하며, 남부지역에서는 10~30 mm $d^{-1}$ 범위의 강수강도에서 강수빈도가 감소하나 그 이상의 강수강도에서는 강수빈도가 다시 증가하는 특성을 보였다. 호우로 규정된 50 m $d^{-1}$ 이상의 강수강도에서 15개 댐유역 모두 강수빈도가 약 20~100% 이상 증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A1B climate change scenario provided by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NIMR), Korea, to investigate potential climate changes in watersheds of 15 multi-purpose dams in South Korea. The A1B climate change scenario is produced by Regional Climate Model (RCM) w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수자원, 물환경 및 수생태계의 변이를 파악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평격자 27 km의 고해상도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15개 다목적댐 유역을 대상으로 기후변화를 분석하였다. 기온은 15개 다목적댐유역 모두 2100년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강수량은 2040년대에 급격히 증가하면서 2050 년대 이후부터는 지역별로 서로 다른 증감 경향을 보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 물환경 및 국내수생태계의 변이를 파악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국내 15개 다목적댐 유역에 대한 미래 기후 전망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기상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수평격자 27km의고해상도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기온과강수량 분석을 중심으로 20세기 후반(1971~2000) 대비 21세기 후반(2071~2100)에 대한 기후 전망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ae, D.H., I.W. Jung and H. Chang. 2008a. Long-term trend of precipitation and runoff in Korean river basins. Hydrological Processes 22(14): 2644-2656. 

  2. Bae, D.H., I.W. Jun and H. Chang. 2008b. Potential changes in Korean water resources estimated by high-resolution climate simulation. Climate Research 35: 213-226. 

  3. Cameron, D., K. Beven and P. Naden. 2000. Flood frequency estimation by continuous simulation under climate change (with uncertainty).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4(3): 393-405. 

  4. Cha, Y.M., H.S. Lee, J.Y. Moon, W.T. Kwon and K.O. Boo. 2007. Future climate projection over East Asia using ECHO-G/S. Atmosphere 17(1): 55-68. 

  5. Choi, Y. 2002. Changes on frequency and magnitude of heavy rainfall event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4(3): 269-282. 

  6. Guo, Y.R. and S. Chen. 1993. Terrain and land use for the fifth-generation Penn State/NCAR Mesoscale Modeling System (MM5): Program TERRAIN. NCAR Technical Note NCAR/TN-397+IA (1993), p. 113. Boulder, Colorado. 

  7. Im, E.S., I.W. Jung, H. Chang, D.H. Bae and W.T. Kwon. 2009. Hydroclimatological response to dynamically downscaled climate change simulations for Korean basins. Climate Change, doi: 10.1007/s10584-009-9691-2. 

  8. IPCC (2001). Climate Change 2001. Impacts, Adaptations,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Third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UK 

  9.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UK. 

  10. Jang, W. 2010. Basic out on low carbon green growth and coping with climate change. Journal of Korea Public Land Law Association 49: 223-244. 

  11. Jung, I.W., D.H. Bae and G. Kim. 2010. Recent trends of mean and extreme precipitation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doi: 10.1002/joc.2068. 

  12. Kay, A.L., N.S. Reynard and R.G. Jones. 2006. RCM rainfall for UK flood frequency estimation. I. Method and Validation. Journal of Hydrology 318: 151-162. 

  13. Kim, B.S., B.K. Ki, M.S. Kyung and H.S. Kim. 2008. Impact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on extreme rainfall and I-D-F analysi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1(4): 379-394. 

  14. Koo, G.S., K.O. Boo and W.T. Kwon. 2009. Projection of temperature over Korea using an MM5 regional climate simulation. Climate Research 40: 241-248. 

  15. Mailhot, A., S. Duchesne, D. Caya and G. Talbot. 2007. Assessment of future change in Intensity-Duration- Frequency (IDF) curve for Southern Quebec using the Canadian Regional Climate Model (CRCM). Journal of Hydrology 347: 197-210. 

  16. NIMR, 2004. The development of regional climate scenario for the national climate change report (III).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17. NIMR, 2009. Understanding of climate change (II).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18. Shin, J.K., C.K. Kang and S.J. Hwang. 2003. Daily variations of water turbidity and particle distribution of high turbid- water in Paltang reservoir, Korea. Korean J. Limnol. 36(3): 257-26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