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항하는 SUBOFF 모형 난류항적 계측 및 실험식 유도
Measurement of Turbulent Wake behind a Self-Propelled SUBOFF Model and Derivation of Experimental Equations 원문보기

韓國軍事科學技術學會誌 = Journal of the KIMST, v.14 no.3, 2011년, pp.364 - 371  

신명수 (한국해양연구원) ,  문일성 (한국해양연구원) ,  나영인 (국방과학연구소) ,  박종천 (부산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esents experimental results and derived experimental equations to investigate the turbulent wake characteristics generated by the self-propelled SUBOFF submarine model. A self-propelled SUBOFF model which was assumed as an axial-symmetric body was used to create wake, and a thin strut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자항하는 수중운동체 후류의 유속 및 난류항적의 일반적인 특성파악에 대한 요구가 제시되어 추진기가 장착된 잠수체 후류의 난류유장 계측결과 및 실용화를 위한 실험식유도 결과에 대하여 보고한다. 추진기 없는 경우에 대하여서는 신명수 외[1]에 보고되어 있고, 본 논문은 추진기를 장착한 경우의 결과에 대하여 논의한다.
  • 본 연구에서는 자항하는 수중운동체 후류의 유속 및 난류항적의 일반적인 특성파악에 대한 요구가 제시되어 추진기가 장착된 잠수체 후류의 난류유장 계측결과 및 실용화를 위한 실험식유도 결과에 대하여 보고한다. 추진기 없는 경우에 대하여서는 신명수 외[1]에 보고되어 있고, 본 논문은 추진기를 장착한 경우의 결과에 대하여 논의한다.

가설 설정

  • SUBOFF 모형을 축대칭물체로 가정하여 난류항적을 계측하였고, 결과의 실용적인 사용을 위하여 실험식도출을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UBOFF 모형은 어떤 물체로, 무엇을 형성하나요? SUBOFF 모형은 축대칭 물체로, 프로펠러 중심축에서의 최대 유속을 갖는 경계층을 형성한다.
열선유속계 센서는 무엇을 이용하여 어떤 향상을 시도하였나요? 8에 보인다. 열선유속계 센서는 자동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컴퓨터 원격조종으로 이동시켜 계측효율 향상을 시도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신명수, 문일성, 나영인, 박종천, "SUBOFF 모형후방 난류항적 계측 및 실험식 유도",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제14권, 제2호, pp. 198-204, 2011. 

  2. 방형도, 박종천, 허재경, "KVLCC2M 모형선 주위 난류항적의 수치 시뮬레이션", 대한조선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pp. 769-776, 2007. 

  3. Chang, Y., Zhao, F., Zhang, "Numerical Simulation Of Internal Waves Excited by a Submarine Moving In The Two-Layer Stratified Fluid", Journal of Hydrodynamics, Ser. B, Vol. 18, No. 3, Suppl., pp.330-336, 2006. 

  4. 김 진, 박일룡, 반석호, "Calculation of Turbulent Flows around a Submarine for the Prediction of Hydrodynamic Performance", Journal of Ship and Ocean Technology, Vol. 7, No. 4, pp. 16-31, 2003. 

  5. 장진호, 박원규, "유동 방향 변화에 따른 잠수함주위의 유동 특성과 유체동역학적 계수의 변화",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43권, 제4호, 통권 148호,pp. 460-466, 2006. 

  6. Toda, T. et al., "Mean Flow Measurements in the Boundary Layer and Wake of a Series 60 $C_B0.6$ Model", IIHR Report No. 326, 198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