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령전기 정상발달 아동의 자모음 교대운동특성 : 예비연구
Diadochokinetic Skills i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ged 4-6 Years : Pilot Stud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2 no.7, 2011년, pp.3149 - 3155  

정한진 (혜전대학교 언어재활과) ,  이옥분 (대구사이버대학교 언어치료학과) ,  서경희 (혜전대학교 언어재활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의 목적은 학령전기 정상발달 아동을 대상으로 연령대 증가에 따른 조음 교대운동속도 차이의 경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조사대상은 생활연령이 4세에서 6세 사이에 해당하는 총 12명의 아동이었고 샘플링 기간은 5월 첫 주, 일주일동안 이었다. 조음교대운동 속도 측정에 사용한 검사 음의 구성은 모음 구조에서 /ai/, /ɔi/, /ɑɔi/ 이며, 자모음 구조에서는 /pʰə/, /tʰə/, /kʰə/, /pʰətʰə/, /tʰəkʰə?/, /pʰətʰəkʰə/이다. 속도 측정은 연령대별로 초당 각 검사음을 반복한 횟수를 기준으로 하였고, PC-quirer의 음성파형을 통해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이 증가할수록 조음교대운동 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음과 자모음 구조의 음성 특성에 따라 조음교대운동 속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연령대 증가에 따른 자음의 구조에서의 조음 교대운동 속도 증가 기울기 변화가 모음구조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셋째, DDK 과업수행에서 나타난 아동들의 반응태도를 분석한 결과 3세 연령에서 DDK 수행시 조음오류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4세에서 6세 사이에서 나타난 조음오류빈도수는 다양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자음뿐만 아니라 모음구조의 교대운동과업이 임상적인 평가로써 가치가 있음을 시사하며, 더불어 DDK 속도 평가뿐만 아니라 DDK 수행시 조음오류에 대한 빈도수와 조음유창성이 동시적으로 평가되어야 보다 신뢰롭게 정보를 얻을 수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the characteristics of DDK performance between CV(e.g. 'pa') and VV(e.g., 'ai') syllables i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ged 4 to 6 years old. 12 TD children performed DDK with CV structure(/pʰə/, /tʰə/, /kʰə/, /pʰətʰə/, /tʰəkʰə?/, /pʰətʰəkʰə/) and with VV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셋째, 조음교대운동을 산출할 때 연령 증가에 따른 반응태도는 어떠한가를 알아본다.
  • 이 연구에서는 학령기 전 아동을 대상으로 조음교대운동의 속도 차이와 자음과 모음 구조의 언어학적 특성에 따른 교대운동속도 차이를 알아보았다.
  • 그리고 속도도 중요하지만 아동의 구어능력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오류와 유창성의 정도를 함께 평가하는 것이 의미있는 임상적 정보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들을 살펴볼 때 정상발달 과정에 있는 학령전기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여 교대운동속도에 대한 보완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지각하고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DDK 속도 평가 방법을 기본으로 하되 자음을 정확히 발음하기 어려운 장애 아동의 경우를 예상하여 자음과 모음 구조의 교대운동속도를 비교하고, 더불어 연구 참여 아동들의 수행태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음운동과 조음문제가 있는 의사소통장애 화자들에게 있어서 교대운동속도 검사는 무엇을 파악할 수 있는 과업인가? 교대운동속도(diadochokinetic rate, DDK rate) 측정은 말장애 화자들의 조음능력을 알아보기 위한 선별검사로 빈번하게 사용되는 과업의 하나이다. 조음운동과 조음문제가 있는 의사소통장애 화자들에게 있어서 DDK 속도검사는 조음문제의 심각도와 중재적 방향 설정과 진전상태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과업이다[1-3]. 임상적으로 DDK 속도의 느림과 빠름이 의미하는 바가 크지 않다는 의견도 있지만, 언어 및 말장애 아동과 정상발달아동의 DDK 평균 속도를 편차 범위 내에서 비교해보면 대상 아동의 조음발달과 조음능력의 차이를 간접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된다.
구강운동발달이 지체된 언어장애 아동일 경우, DDK 속도 평가는 어떠한 지표가 되는가? 임상적으로 DDK 속도의 느림과 빠름이 의미하는 바가 크지 않다는 의견도 있지만, 언어 및 말장애 아동과 정상발달아동의 DDK 평균 속도를 편차 범위 내에서 비교해보면 대상 아동의 조음발달과 조음능력의 차이를 간접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즉, 구강운동발달이 지체된 언어장애 아동일 경우, DDK 속도 평가는 조음운동능력과 정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임상적 지표가 된다. 정상발달 아동들의 경우에도 DDK 속도 평가는 구어발달 과정을 가늠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교대운동속도(diadochokinetic rate, DDK rate) 측정은 무엇인가? 교대운동속도(diadochokinetic rate, DDK rate) 측정은 말장애 화자들의 조음능력을 알아보기 위한 선별검사로 빈번하게 사용되는 과업의 하나이다. 조음운동과 조음문제가 있는 의사소통장애 화자들에게 있어서 DDK 속도검사는 조음문제의 심각도와 중재적 방향 설정과 진전상태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과업이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Williams, P., & Stackhouse, J. "Rate, accuracy and consistency: Diadochokinetic performance of young,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Clinical Linguistics & Phonetics, 14, pp. 267-293. 2000. 

  2. Bo-Myung Hwang, Ok-Ran Jeong, Soo-Kyoon Kang. "A Study of Diadochokinetic Rates of Spastic Dysarthria", J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9(1), pp. 77-88. 2000. 

  3. Ziegler, W. "Task-related factors in oral motor control: Speech and oral diadochokinesis in dysarthria and apraxia of speech", Brain and Language, 80, pp. 556-575. 2002. 

  4. Fletcher, S. G. "Time-by-count measurment of diadochokinetic syllable rate",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15, pp. 763-770. 1972. 

  5. Kent, R. D., The Speech Sciences. Singular Publishing Group, Inc. 1997. 

  6. Jungyun Choe, Jin Soon Han. "Diadochokinetic Rate of Normal Children and Adults : A Preliminary Study".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3, pp. 183-193. 1998. 

  7. Soo-Yeon Kim, Maximum phonation time and diadochokinetic rate in normal Korean children, Graduate Program in Speech Pathology, Yonsei University, Master thesis, 2008. 

  8. Ha, Ji-Wan. "Diadochokinetic Rate and Variability in Children with Normal and Disordered Articulation". The Graduate School Ewha Woman University, Master thesis. 1999. 

  9. Maassent, B., Thoone, G., & Wit, J. "Toward assessment of articuolo-motoric processing capacities in children". In Peters, H. F. M., Hulstijin, W., & Starkweather, C. W.(Eds.), Speech motor control and stuttering, pp. 461-470. Amsterdam: Elsevier. 1991. 

  10. Wit, J., Maassen, B., Gabreels, F. J.M., & Thoonen, G. "Maximum performance test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spastic dysarthria",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6, pp. 452-459. 1993. 

  11. Henry, C. E. "The development of oral diadochokinesia and nonlinguistic rhythmic skills in normal and speech disordered young children." Clinical Linguistics and Phonetics, 4(2), pp. 121-137. 1990. 

  12. Yaruss, J. S., & Loganb, K. J. "Evaluating rate, accuracy, and fluency of young children's diadochokinetic productions: a preliminary investigation".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27, pp. 65-86. 2002. 

  13. Robbins, J., & Klee, T. "Clinical assessment of oropharyngeal mtoro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Journal of Speech Hearing Disorers, 52, pp. 271-277. 1987. 

  14. Bernthal, J. E., & Bankson, N. W.,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5th ed). Boston: Pearson Education, Inc. 2004. 

  15. Min-Jung Kim,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Test of Articulation for Children". Graduate Program in Speech Pathology, Yonsei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2005. 

  16. Portnoy, R. A., & Aronson, A. E., " Diadochokinetic syllable rate and regularity in normal and in spastic and ataxic dysarthric subjects". Journal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47, pp. 324-328. 1982. 

  17. Prathanee, B. Thanaviratananich, S., & Pongjanyakul A., "Oral diadochokientic rates for normal Thai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Communication Disorders, 38, pp. 417-428.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