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ffect of rice straw mat and wood shaves on the reduction of runoff and nonpoint source (NPS) pollution loads from field plots were experimentally studied. Three runoff plots of $5{\times}22$ m in size and 3 % in slope were prepared on a loamy sand field. Each plot was equipped with a fl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지표피복재의 적용 가능성과 효율평가를 위한 중요한 자료가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험포가 위치한 춘천시의 30년 (1976~2007년) 강우자료를 분석하여 강우계급별 연평균 빈도와 연간 총강우량 그리고 강우사상 당 강수량을 나타내었다 (Table 2). 춘천시의 30년 평균 총 강우량은 1,298.
  • 본 연구에서는 무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을 저감하기 위하여 경작지 규모의 시험포를 조성하고, 지표를 대패밥과 볏짚거적으로 피복하여 강우유출수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대패밥과 볏짚거적으로 저감된 유출량 저감효과는 대패밥을 피복한 시험포에서 약 4∼30 %, 볏짚거적을 처리한 시험포에서 33∼75 %의 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결과 (Osborn(1954); Ghawi et al. (1986); Lal (1976))를 바탕으로 볏짚거적을 실제 영농 크기의 시험포에 적용하고자 하였으며, 추가적으로 대패밥의 피복재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피복재를 적용하였다. 적용된 피복재료는 Fig.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러 비점오염원 저감 방법 중 지표피복에 의한 밭의 비점오염원 저감효과를 분석하고자 경작지 규모의 시험포를 조성하고, 강우시 유출수 및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여 지표피복에 의한 비점오염원의 저감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표피복은 어떠한 장점이 있는가? 지표피복은 강우가 발생하였을 때 강우의 타격에너지를 완화하고, 토양으로 침투되는 침투능을 유지시키며, 유출수의 유속을 감소시킴으로 인해 토양입자의 이탈을 감소시켜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고, 탁수나 비점오염물질의 발생을 억제한다. Osborn (1954)에 의하면 작물 재배시 작물에 의해 토양의 지표가 피복됨으로써 작물이 강우를 차단시켜 토양 표면의 타격력을 감소시키고, 토립의 분산 및 비산을 줄여 토양유실을 억제한다고 하였으며, Ghawi et al.
오염물질 정량화하기 위한 노력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 2008). 이를 정량화하기 위해 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에 대하여 장기모니터링을 통한 정량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Choi et al., 2009), 인공강우 시험기를 이용하여 볏짚피복 유무에 따른 유출량과 토양유실량의 기초실험도 이루어지고 있다 (Shin et al., 2009).
비점오염물질은 무엇인가? 비점오염물질은 생활하수와 산업폐수, 축산폐수 그리고 환경기초시설 방류수 등으로 발생원이 명확하고 수집하여 처리 및 관리가 용이한 오염물질이다. 그러나 비점오염물질은 배출위치가 명확하지 않으며, 도로와 대지 그리고 임야 등에서 강우시일시적으로 대량 배출되기 때문에 처리가 쉽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oi, J. D., C. M. Lee, and Y. H. Choi, 1999. Effect of Land Use on the Water Quality of Small Agricultural Watersheds in Kangwon-do. KWRA 32(4): 501-510(in Korean). 

  2. Choi, Y. H, C. H. Won, J. Y. Seo, M. H. Shin, H. J. Yang, K. J. Lim, and J. D. Choi, 2009. Analysis and Comparison about NPS of Plane Field and Alpine Field. KSWQ 25(5): 682-688 (in Korean). 

  3. Faucette, L. B., L. M. Risse, M. A. Nearing, J. W. Gaskin, and L. T. West, 2004. Runoff, erosion, and nutrient losses from compost and mulch blankets under simulated rainfall, Journal of Soil & Water Conservation 59(4): 154-160. 

  4. Ghawi, I. and A. Battikhi, 1986. Water melon prodution under mulch and trickle irrigation in the Jordan valley. Journal of Agronomy and Crop Science 157: 145-155. 

  5. Hong, K. C., B. S. Bong, J. H. Joo, Y. S. Jung, J. E. Yang, and Y. S. Ok, 2010. Soli Organic Matter and Aggregate Stability of Sloping Uplands in Gangwon Province, Korea. Journal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22: 19-24 (in Korean). 

  6. Ian, P. P., E. D. William, and S. Janelle, 1995. Flow resistance and sediment transport by concentrated overland flow in a grassland valley. Geomorphology 13: 71-86. 

  7. Joo, J. H., Y. S. Jung, J. E. Yang, Y. S. Ok, S. G. Oh, K. Y. Yoo, and S. C. Yang, 2007. Assessment of Pollutant Loads from Alpine Agricultural Practices in Nakdong River Basin,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6(3): 233-238 (in Korean). 

  8. Kim, J. H., K. H. Han, and J. S. Lee, 2008.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Non-point Source Pollutants by Rainfall Events in Rural Watershe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4(1): 69-77 (in Korean). 

  9. Lal, R., 1976. Soil erosion on Alfisols in Western Nigeria II effect of mulch rates, Geoderma 16(5): 377-387. 

  10. Ministry of Environment, 2001. Official test methods for water pollution (in Korean). 

  11. Ministry of Environment Republic of Korea, 2006. Basic Plan of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in Korean). 

  12. Ministry of Environment Republic of Korea, 2008. Installation and Management.Operation Manual of the Non point pollution control facilities (in Korean). 

  13. Ministry of Environment Republic of Korea, 2009. Official test methods for Soil pollution (in Korean). 

  14.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http://www.nics.go.kr. Accessed 2011. 

  15. Nation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NRCS), http://www.nrcs.usda.gov/, Accessed 2011. 

  16. Osborn, B. 1954. Effectiveness of cover on reducing soil splash by raindrop impact. Journal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9: 70-76. 

  17. Shin, D. S., 2007. Basic Monitoring Concept for Revised Unit-Load on NP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3(4): 429-433 (in Korean). 

  18. Shin, M. H., C. H. won, Y. H. Choi, J. Y. Seo and J. D. Choi, 2010. Simulation of Generable Nutritive Salts by Artificial Rainfall Simulator in field -By Varying Amount of Fertilization and Slop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2(3): 31-38 (in Korean). 

  19. Shin, M. H., Y. C. Shin, S. G. Heo, K. J. Lim, and J. D. Choi, 2007. Analysis of Flow-Weighted Mean Concentration (FWMC) Characteristics from Rural Watershe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49(6): 3-9 (in Korean). 

  20. Shin, M. H., C. H. won, Y. H. Choi, J. Y. Seo, J. W. Lee and J. D. Choi, 2009. Simulation of Field Soil Loss by Artificial Rainfall Simulator -By Varing Rainfall Intensity, Surface Condition and Slop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Water Quality 25(5): 785-791 (in Korean). 

  21. Sohn, Y. M., J. D. Song, G. Y. Jeon, D. H. Kim, and M. E. Park, 2010. Effect of Soil Salinity and Culturing Condition on the Maintenance of Ridge and the Growth of Upland Crops in the Saemangeum Recalimed Tidal Land. Korean J. Soil Sci. Fert. 43(5): 526-539 (in Korean). 

  22. Jang, B. W. 2010. Soil Mechanics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