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경작지 밭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지표피복재 적용
Application of the Surface Cover Materials for Reduction of NPS Pollution from Actual Cultivation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56 no.3, 2014년, pp.31 - 38  

신민환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건설공학과) ,  장정렬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정영훈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건설공학과) ,  금동혁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건설공학과) ,  원철희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건설공학과) ,  이수인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건설공학과) ,  임경재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건설공학과) ,  최중대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건설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ur actual cultivations were prepared and a variety of soybean was cultivated. A H-flume, an automatic water level gauge and an automatic water sampler were installed at the outlet of each plot equipped for the measurement of flow rate and its water quality. The amount of rainfall of the study ar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 경작지 규모 밭에서 지표피복재 (볏짚 거적과 토양개량제)를 적용하여 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량과 비점오염물질 저감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작물생육에 미치는 영향과 경제성 분석을 실시하여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실 경작지 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의 배출량과 지표피복재에 의한 비점오염물질의 저감효과를 분석 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양토의 토성을 가진 실경작지 밭에서 지표피복재를 적용할 경우 2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 적용되고 있는 비점오염원 저감 방법은 어떠한 종류가 있습니까? , 2006; Jordan, 2010). 우리나라에 적용되고 있는 비점오염원 저감 방법으로는 중간지 관리방법인 초생대, 초생수로, 우회수로, 실트펜스 (silt fence), 승수로, 용배수로 및 농경지 사면정비 등 구조적인 방법과 (Kim et al., 2012; Lee et al., 2011) 산림복원이나 무경운, 다년생 작물 (인삼, 도라지 등) 재배, 지표피복 등 비구조적인 방법이 있다. 구조적인 방법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유지관리 측면에서 비합리적이다.
우리나라에 적용되고 있는 비점오염원 저감 방법으로는 크게 구조적인 방법과 비구조적인 방법이 있는데 각각이 지닌 단점은 무엇입니까? , 2011) 산림복원이나 무경운, 다년생 작물 (인삼, 도라지 등) 재배, 지표피복 등 비구조적인 방법이 있다. 구조적인 방법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유지관리 측면에서 비합리적이다. 또한 비구조적인 방법 중 산림복원의 경우 가장 최적의 대안일 수 있으나 비현실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국내의 연구를 살펴보면 Won et al.
토양유실에 의해 발생하는 유사로 인하여 어떠한 피해가 발생합니까? 8 km2)를 차지하는 농경지에서 강우에 의해 발생하는 토양유실은 심한 흙탕물 (탁수) 문제를 일으켜 수질환경의 악화뿐만 아니라 하천의 이수 및 홍수관리에 심각한 영향을 준다. 특히 토양유실에 의해 발생하는 유사는 하천에서 퇴적과 운반을 반복하며 서서히 하류로 이동 하여 하천의 통수량을 줄이고, 하상의 지반고를 높여 홍수시 제방의 범람이나 붕괴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수중의 부유물질은 햇빛의 투과를 차단하고 광합성 작용을 방해하여 수중식물의 성장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저서동식물의 서식지와 물고기의 산란장을 파괴하기 때문에 수중생태계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Ko et al., 2006). 이와 같이 농경지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은 주로 강우나 융설에 의해 발생하며, 토성 및 영농활동 (시비, 경운방법, 물관리) 등에 따라 크게 변화하기 때문에 정량화가 쉽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Entry, J. A., R. E. Sojka, M. Watwood, and C. Ross, 2002. Polyacrylamide preparations for protection of water quality threatened by agricultural runoff contaminants. Journal of Environment and Pollution. 120(2): 191-200. 

  2. Jian Y., T. Lei, I. Shainberg, A. I. Mamedov, and G. J. Levy, 2003. Infiltration and erosion in soils treated with dry PAM and Gypsum. Soil Science of America Journal. 67(2): 630-636. 

  3. Jordan, A., L. M. Zavala, and J. Gil, 2010. Effects of Mulching on Soil Physical Properties and Runoff under Semi-arid Conditions in Southern Spain. CATENA. 81(1): 77-85. 

  4. Kim, S. J., T. Y. Park, S. M. Kim, J. R. Jang, and S. M. Kim, 2012. A Plot Scale Experiment to Analysis the NPS Reduction by Silt Fence and Vegetated Ridge for Non-Irrigated Cropl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4(4): 19-27. (in Korean) 

  5. Ko, J. Y., J. S. Lee, K. Y. Jung, E. S. Yun, Y. D. Choi, C. S. Kim, S. T. Park, and B. J. Kim, 2006. Soil Erosion Risk Assessment of Arable Land in Seonakdong River Watershed using GIS, RS, and USLE. Korean Journal of Soil Sco, Fert. 39(3): 173-183. (in Korean) 

  6. Lee, J. W., J. S. Eom, B. C. Kim, W. S. Jang, J. C. Ryu, H. W. Kang, K. S. Kim, and K. J. Lim, 2011. Water Quality Prediction at Mandae Watershed using SWAT and Water Quality Improvement with Vegetated Filter Stri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3(1): 37-45. (in Korean) 

  7. Martinez, J. R. F., V. H. D. Zuazo, and A. M. Raya, 2006. Environmental impact from mountainous olive orchards under different soil-management system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358: 46-60 

  8. Ministry of Environment, 2007. Official test methods for water pollution. 

  9. Noel, D. U., 2000. Perceptions on the use of no-till farming in production agriculture in the United States: and analysis of survey results. Agriculture, Ecosystems and Environment. 77(3): 263-266. 

  10. Pote, D. H., B. C. Grigg, C. A. Blanche, and T. C. Daniel, 2004. Effects of pine straw harvesting on quantity and quality of surface runoff. Journal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59(5): 197-203. 

  11. Shin, M. H., C. H. Won, W. J. Park, Y. H. Choi, J. R. Jang, K. J. Lim, and J. D. Choi, 2011. Analysis of the Reduction Effect on NPS Pollution Loads by Surface Cover Applic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3(4): 29-37. (in Korean) 

  12. Shin, M. H., J. R. Jang, C. H. Won, Y. H. Choi, J. Y. Shin, K. J. Lim, and J. D. Choi, 2012a, Effect of Surface Cover on the Reduction of NPS Pollution at a Vegetable Field.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8(3): 436-443. (in Korean) 

  13. Shin, M. H., J. R. Jang, H. J. Shin, D. H. Kum, Y. H. Choi, C. H. Won, K. J. Lim, and J. D. Choi, 2013. Application of surface cover materials and soil amendments for reduc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from upland fiel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5(4): 21-28. (in Korean) 

  14. Shin, M. H., K. J. Lim, J. R. Jang, Y. H. Choi, W. J. Park, C. H. Won, and J. D. Choi, 2012b. Analysis of Reduction of NPS Pollution loads using the small sediment trap at fiel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4(2): 27-35. (in Korean) 

  15. Theng, B. K. G., 1982. Clay-polymer interactions: Summary and perspectives. Clays Clay Miner. 30(1): 1-10. 

  16. Won, C. H., M. H. Shin, Y. H. Choi, J. Y. Shin, W. J. Park, and J. D. Choi, 2011. Applications of Surface Cover materials for Reduction of Soil Eros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7(6): 848-854. (in Korean) 

  17. Won, C. H., M. H. Shin, Y. H. Choi, J. Y. Shin, W. J. Park, and J. D. Choi, 2012. Simulations of Runoff using Rice Straw Mats and Soil Amendm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4(2): 95-102.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