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배추와 무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피복재와 토양개량제 적용
Application of Surface Cover Materials and Soil Amendments for Reduc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from Upland Fields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55 no.4, 2013년, pp.21 - 28  

신민환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건설공학과) ,  장정렬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신현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금동혁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건설공학과) ,  최용훈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건설공학과) ,  원철희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건설공학과) ,  임경재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건설공학과) ,  최중대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건설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ice straw mat, rice straw mat with PAM (Polyacrylamide) and gypsum addition on surface runoff and sediment discharge in field. Six experimental plots of $5{\times}22m$ in size and 3 % in slope prepared on gravelly sandy loam so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선행 연구결과는 실내인공강우기를 이용한 인위적인 영향이 고려되는 결과이며, 피복재나 PAM이 농작물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hin et al. (2012)의 볏짚거적을 적용하여 저감효과를 분석한 연구결과에 토양개량제 (PAM, Gypsum)등을 추가로 살포하여 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의 저감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토양 표면에 볏짚거적과 토양개량제를 피복하여 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경지에서 발생하는 토양유실은 어떤 문제를 야기하는가? 환경부의 비점오염원관리 업무편람에서 비점오염은 농작물에 흡수되지 않고 농경지에 남아있는 비료와 농약, 초지에 방목된 가축의 배설물, 가축사육농가에서 배출되는 미처리 축산폐수, 빗물에 섞인 대기오염물질, 도로 노면의 퇴적물, 합류식 하수관거 에서 강우시 설계량을 초과하여 하천으로 흘러드는 오수/하수와 빗물의 혼합수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이러한 비점오염원 중 농경지에서 발생하는 토양유실은 심한 흙탕물 (탁수) 문제를 일으켜 수질환경의 악화뿐만 아니라 하천의 이수 및 홍수관리에 심각한 영향을 준다. 특히 유사는 하천에서 퇴적과 운반을 반복하며 서서히 하류로 이동하여 하천의 통수량을 줄이고, 하상의 지반고를 높여 홍수시 제방의 범람이나 붕괴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수중의 부유물질은 햇빛의 투과를 차단하고 광합성 작용을 방해하여 수중식물의 성장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저서동식물의 서식지와 물고기의 산란장을 파괴하기 때문에 수중생태계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 (Ko et al., 2006).
Polyacrylamide(PAM)와 관련된 선행 연구의 한계는 무엇인가? (2011)의 PAM을 이용한 연구에 따르면 표면유출량과 유사량 저감효과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선행 연구결과는 실내인공강우기를 이용한 인위적인 영향이 고려되는 결과이며, 피복재나 PAM이 농작물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hin et al.
환경부의 비점오염원관리 업무편람에 나와있는 비점오염에는 무엇이 있는가? 환경부의 비점오염원관리 업무편람에서 비점오염은 농작물에 흡수되지 않고 농경지에 남아있는 비료와 농약, 초지에 방목된 가축의 배설물, 가축사육농가에서 배출되는 미처리 축산폐수, 빗물에 섞인 대기오염물질, 도로 노면의 퇴적물, 합류식 하수관거 에서 강우시 설계량을 초과하여 하천으로 흘러드는 오수/하수와 빗물의 혼합수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이러한 비점오염원 중 농경지에서 발생하는 토양유실은 심한 흙탕물 (탁수) 문제를 일으켜 수질환경의 악화뿐만 아니라 하천의 이수 및 홍수관리에 심각한 영향을 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Entry, J. A., R. E. Sojka, M. Watwood, and C. Ross, 2002. Polyacrylamide preparations for protection of water quality threatened by agricultural runoff contaminants. Journal of Environment and Pollution 120(2): 191-200. 

  2. Flanagan, D. C., L. D. Norton, and I. Shainberg, 1997. Effect of water chemistry and soil amendments on a silt loam soil-Part I. Infiltration and Runoff.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Biological Engineers 40(6): 1549-1554. 

  3. Ghawi, I. and A. Battikhi, 1986. Water melon production under mulch and trickle irrigation in the Jordan valley. Journal of Agronomy and Crop Science 156(4): 225-236. 

  4. Jian Y., T. Lei, I. Shainberg, A. I. Mamedov, and G. J. Levy, 2003. Infiltration and erosion in soils treated with dry PAM and Gypsum. Soil Science of America Journal 67(2): 630-636. 

  5. Kim, S. J., T. Y. Park, S. M. Kim, J. R. Jang, and S. M. Kim, 2012. A Plot Scale Experiment to Analysis the NPS Reduction by Silt Fence and Vegetated Ridge for Non-Irrigated Cropl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4(4): 19-27 (in Korean). 

  6. Ko, J. Y., J. S. Lee, K. Y. Jung, E. S. Yun, Y. D. Choi, C. S. Kim, S. T. Park, and B. J. Kim, 2006. Soil Erosion Risk Assessment of Arable Land in Seonakdong River Watershed using GIS, RS, and USLE, Korean J., Soil Sco, Fert. 39(3): 173-183 (in Korean). 

  7.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11. http://www.kma.go.kr/ (in Korean). 

  8. Lee, J. W., J. S. Eom, B. C. Kim, W. S. Jang, J. C. Ryu, H. W. Kang, K. S. Kim, and K. J. Lim, 2011. Water Quality Prediction at Mandae Watershed using SWAT and Water Quality Improvement with Vegetated Filter Stri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3(1): 37-45 (in Korean). 

  9.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Nonpoint Source Management Services Manual (in Korean). 

  10. Ministry of Environment, 2009. Method of Runoff Investigation (in Korean). 

  11. Ministry of Environment, 2007. Official test methods for water pollution (in Korean). 

  12. Pollock, C. and R. Reeder, 2010. No-till (plenty of positives). Americ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biological engineers, Resource: 3-7. 

  13. Sepaskhah, A. R. and A. R. Bazrafshan-Jahromi, 2006. Controlling Runoff and Erosion in Sloping land with Polyacrylamide under a Rainfall simulator. Biosystems Engineering 93(4): 469-474 

  14. Shin, M. H., C. H. Won, W. J. Park, Y. H. Choi, J. Y. Shin, K. J. Lim, and J. D. Choi, 2011. Surface Cover Application for Reduction of Runoff and Sediment Discharge from Sloping Fiel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3(6): 129-136 (in Korean). 

  15. Shin, M. H., J. R. Jang, C. H. Won, Y. H. Choi, J. Y. Shin, K. J. Lim, and J. D. Choi, 2012. Effect of Surface Cover on the Reduction of NPS Pollution at a Vegetable Field.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8(3): 436-443 (in Korean). 

  16. Theng, B. K. G (1982). Clay-polymer interactions: Summary and perspectives, Clays Clay Miner 30(1): 1-10. 

  17. Won, C. H., M. H. Shin, Y. H. Choi, J. Y. Shin, W. J. Park, and J. D. Choi, 2012. Simulations of Runoff using Rice Straw Mats and Soil Amendm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4(2): 95-102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