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리더의 코칭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Impact of Leader's Coaching on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1 no.7, 2011년, pp.374 - 386  

김정식 (성균관대학교 글로벌비즈니스리더양성사업단) ,  이동우 (성균관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  유호상 (성균관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  윤태식 (성균관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리더의 코칭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주된 연구 초점을 두었으며 자기효능감을 중요한 매개변수로서 설정을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적으로 리더의 코칭,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직무몰입에 대한 이론적 논의들을 기초로 하여 연구모형과 가설들을 설정하였으며 총 20개 기업으로부터 얻어진 296명의 데이터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성 검증이 이루어졌으며 구조방정식모형 결과를 바탕으로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리더의 코칭은 조직구성원들의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대하여서도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리더의 코칭과 직무만족간의 관계 그리고 리더의 코칭과 직무만족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leader's coaching on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employees' self-efficacy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coaching and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On the basis of theoretical linkages bet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상과 같은 논의들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리더의 코칭과 자기효능감 그리고 직무만족과 직무몰입 간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연계시켜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관심을 받고 있는 리더의 코칭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자기효능감이 매개변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 선행연구들에 대한 검토를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하여 연구가설이 설정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크론바흐 알파값 검증에 이어 재차 개념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를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는 [표 2]와 같이 제시되고 있는데, 결과를 살펴보면 모델의 적합성이 수용가능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χ2=734.

가설 설정

  • 주) 경로계수는 표준화된 값임.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리더의 코칭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성 검증이 이루어졌으며 구조방정식모형 결과를 바탕으로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리더의 코칭은 조직구성원들의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대하여서도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리더의 코칭과 직무만족간의 관계 그리고 리더의 코칭과 직무만족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이란 무엇인가? 자기효능감은 자신에게 주어진 과업을 달성할 수 있다고 판단하는 자기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이나 판단을 의미한다[28]. 자기효능감은 Thomas와 Velthouse[29]와 Spreitzer[30]가 제시하였던 역량감(competence)과 유사한 개념으로 이해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말하는 코칭은 무엇에 초점을 두고 있는가? 코칭이라는 용어는 인생코칭(life coaching), 스포츠에서의 코칭이 자주 사용되어온 만큼 우리에게 매우 친숙한 용어이지만, 다양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는 만큼 개념정의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접근하고 있는 코칭은 조직내에서 이루어지는 리더의 코칭행위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리더의 코칭은 조직구성원들을 교육시키고 스스로 자신의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행위로 정의할 수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J. J. Arnold, S. Arad, J. A. Rhoades, and F. Drasgow, "The Empowering Leadership Questionnaire: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new scale for measuring leader behavior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1, pp.249-269, 2000. 

  2. R. Agawal, C. M. Angst, and M. Magni, "The performance effects of coaching: a multilevel analysis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20, No.10, pp.2110-2134, 2009. 

  3. M. London, Job feedback: Giving, seeking, and using feedback for performance improvement, Mahwah, NJ: Lawrence Erlbaum, 2003. 

  4. G. Yukl, "Leadership In Organizations(6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2006. 

  5. A. D. Ellinger, A. E. Ellinger, and S. B. Keller, "Supervisory coaching behavior, employee satisfaction, and warehouse employee performance : a dyadic perspective in the distribution industry," Human Resourse Development Quarterly, Vol.14, No.4, pp.435-458, 2003. 

  6. A. B. Elmadag, A. E. Ellinger, and G. R. Frank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frontline service employee commitment to service quality," Journal of Marketing Theory and Practice, Vol.16, No.2, pp.95-10, 2008. 

  7. 김정식, 서문교, "리더의 코칭행위가 조직구성원들의 인지적 유연성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제15권, 제3호, pp.31-48, 2008. 

  8. 정태영, 최운실, "영업관리자의 코칭이 직원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인력개발연구, 제11권, 제3호, pp.125-153, 2009. 

  9. S. B. Brown, "A meta-analysis and review of organizational research on job involvement," Psychological Bulletin, Vol.20, pp.235-255, 1996. 

  10. S. P. Brown and T. W. Leigh, A new look at psychological climate and its relationship to Job involvement, effort, and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1, No.4, pp.358-368, 1996. 

  11. C. Chen and S. Chiu, "The mediating role of job involv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Vol.149, No.4, pp.474-494, 2009. 

  12. J. L. Cotton and J. M. Tuttle, "Employee turnover: A meta-analysis and review with implications for research,"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1, pp.55-70, 1986. 

  13. J. M. Diefendorff, D. J. Brown, A. M. Kamin, and R. G. Lord, "Examining the roles of job involvement and work centrality in predicting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nd job performance,"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3, pp.93-108, 2002. 

  14. R. P. Tett and J. P. Meyer,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turnover: Path analyses based on meta-analytical findings," Personnel Psychology, Vol.46, pp.259-293, 1993. 

  15. K. Nielsen and F. Munir, "How do transformational leaders influence followers' affective well-being? Exploring 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Work & Stress, Vol.23, No.4, pp.313-329, 2009. 

  16. A. Srivastava, K. M. Bartol, and E. A. Locke, "Empowering leadership in management teams: Effects on knowledge sharing, efficacy, and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9, No.6, pp.1239-1251, 2006. 

  17. B. S. O'Neill and M. A. Mone, "Investigating Equity Sensitivity as a Moderator of Relations Between Self-Efficacy and Workplace Attitud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3, No.5, pp.805-816, 1998. 

  18. A. Carmeli and J. Schaubroeck, "The influence of leaders' and other referents' normative expectations on individual involvement in creative work," The Leadership Quarterly, Vo.18, pp.35-48, 2007. 

  19. R. R. Kilburg, "Facilitating intervention adherence in executive coaching: a model and methods," Consulting Psychology Journal: Research and Practice, Vol.53, pp.251-267, 2001. 

  20. S. Berglas, "The very real danger of executive coaching," Harvard Business Review, pp.86-92, 2002(6). 

  21. F. F. Fournies, Coaching for Improved Work Performance, Liberty Hall Press, Chichester, 1987. 

  22. C. D. Orth, H. E. Wilkinson, and R. C. Benfari, "The manager's role as coach and mentor," Organizational Dynamics, Vol.15, No.4, pp.66-74, 1987. 

  23. S. J. Stowell, Leadership and the coaching process in organizatio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Utah, 1987. 

  24. R. D. Evered and J. C. Selman, "Coaching and the art of management," Organizational Dynamics, Vol.18, pp.16-32, 1989. 

  25. D. T. Hall, K. L. Otazo, and G. P. Hollenbeck, "Behind closed doors: What really happens in executive coaching," Organizational Dynamics, Vol.27, No.3, pp.39-52, 1999. 

  26. B. Redshaw, "Evaluat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easuring Business Excellence, Vol.5, No.1, pp.16-18, 2000. 

  27. C. A. Douglas and W. H. Morley, Executive coaching: An annotated bibliography, Greensboro, NC: Centre for Creative Leadership, 2001. 

  28. A. Bandur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ew Jersey : Prentice-hall, 1986. 

  29. K. W. Thomas and B. A. Velthouse, "Cognitive elements of empowerment: An "interpretive" model of intrinsic task motiva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5, pp.666-681, 1990. 

  30. G. M. Spreitzer,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place: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6, No.5, pp.1442-1465, 1995. 

  31. A. Bandur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Freeman, 1997. 

  32. R. N. Kanungo, "Measurement of job and work involve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67, No.3, pp.341-349, 1982. 

  33. P. P. Brooke, D. W. Russell, and J. L. Price, "Discuss validation of measures of job satisfaction, job involv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3, No.2, pp.139-145, 1988. 

  34. B. M. Bass, Leadership and performance beyond expectations, New York: Free Press, 1985. 

  35. G. R. Jones, "Socialization tactics, self-efficacy, and newcomers' adjustments to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29, pp.262-279, 1986.. 

  36. E. A. Locke,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In M. D. Dunnette (Ed.),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pp.1297-1349). Chicago: Rand McNally, 1976. 

  37. S. B. Bacharach, P. Bamberger, and S. Conley, "Work-home conflict among nurses and engineers: Mediating the impact of role stress on burnout and satisfaction at work,"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12, No.1, pp.39-53, 1991. 

  38. J. F. Hair, W. C. Black, B. J. Babin, R. E. Anderson, and R. L. Tatham, Multivariate Data Analysis(6th ed.), New Jersey : Prentice Hall, 2006. 

  39. C. Fornell and D. F.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pp.39-50, 1981. 

  40. E. K. Kelloway, Using LISREL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ousand Oaks, CA: Sage, 1998. 

  41. E. L. Deci, "Intrinsic motivation," New York: Plenum, (197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