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대응 도시계획과 전략환경평가
Urban Planning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and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in Korea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0 no.6, 2011년, pp.937 - 952  

이종호 (청주대학교 도시계획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부는 지구온난화로 인해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세계적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2010년 1월)을 제정하여 저탄소 녹색성장을 추진하고 있다. 저탄소 녹색성장은 신재생에너지, 탄소배출권 거래제도, 5+2 광역권개발정책, 저탄소 녹색도시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저탄소 녹색도시계획 및 이에 대한 전략환경평가의 동향을 고찰하고, 저탄소 녹색도시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 관련 연구를 고찰한 후, 환경부의 사전환경성검토 업무매뉴얼의 도시계획의 환경성제고 방안과 국토해양부의 전략환경평가 업무처리규정, 도시계획수립지침,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을 위한 도시계획수립지침(2009), 저탄소 녹색도시계획 표준모델(2010), 녹색도시개발계획 등을 포함하면서 개정된 도시개발업무지침(2011)이 도시계획에 제대로 반영되는지를 검토하고, 외국의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전략환경평가를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후변화 대응 도시계획의 내용은 저감방안과 적응방안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 데, 저감방안은 경제적 및 기술적으로 한계가 있으므로, 향후 전략환경평가는 저감방안과 함께 적응방안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둘째, 기후변화 대응(저감과 적응)을 위해 전략환경평가의 목표와 지표를 설정한다. 셋째, 국토해양부의 상위계획(광역도시계획과 도시기본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와 환경부의 하위계획(도시관리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의 긴밀한 연계가 필수적이다. 넷째, 전략환경평가는 도시기본계획 수립 후에 이뤄지는 독립된 과정이라기보다는 도시기본계획 수립과정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장기적으로는 도시기본계획과 도시환경계획을 연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Its purpose is to determine the planning standard of Metropolitan Urban Planning, Basic Urban Planning, and Urban Management Planning to overcome resource and environmental crisis due to climate change and to construct the urban space for low carbon green growth.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SEA on urban planning for the low carbon green city. Many cases of low carbon green city and EcoRich City will be reviewed, and then will be reviewed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aspects in urban planning which are suggested in the Manual on PERS, Official Order for SEA, and various guidelines such as Guideline on Metropolitan Urban Planning, Guideline on Basic Urban Planning, Guideline on Urban Management Planning, Guideline on Urban Planning for Low Carbon Green City and Standard Model for Low Carbon Green Cit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im, You Joung and Kim, Kyoung Bae, 2010, "A Study on Policy Framework and Exemplified Planning Cases for Climate Change Action in United Kingdom - Focusing on London and Southeast Area," Seoul Development Institute, Seoul Studies, 11(4). 

  2.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08, Research on EIA Method on Greenhouse Gas, Ministry of Environment. 

  3.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0, Research on SEA Methodology for Urban Master Plans. 

  4. Korea Land Corporation, 2009, "Trends and Issues of Green City," National Land and City Brief, 16. 

  5. Lee, Jong Ho, 2007, "Development of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 with special reference to Urban Planning," Social Sciences Research Institute, Cheongju University, Korean Journal of Social Science, 28(2), 1-16. 

  6. Lee, Jong Ho and Cho, Jae Heon, 2007,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Integration of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Planning in Korea,"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6(6), 433-446. 

  7. Lee, Jong Ho, 2010, "Urban Energy Management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stitute of Social Science Research, Cheongju University, Korean Journal of Social Science, 32(2), 93-116. 

  8.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2006, Guide to the Establishment of Local Government Environmental Plan, 6. 

  9.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2010, Manual on Prior Environmental Review System. 

  10.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Korea, 2009, Guideline on Urban Planning for Low Carbon Green City. 

  11.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Korea, 2010, The Standard Model for Low Carbon Green City. 

  12.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Korea, 2010, Guideline on Urban Development. 

  13. Presidential Committee on Green Growth, 2010, Green Growth Korea. 

  14. OECD DAC(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Network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Co-operation (Environet), 2010,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15. Oh, Yongjun; Lee, Seongil; Byun, Byungseol; Lee, Jaejun; Hong, Gyounggyu, 2009, Policy Issues and Strategies of Low Carbon and Energy Saving Urban Planning, Chungnam Development Institute. 

  16. Ryu, Seongryong, 2011, Present and Issues of Green City, Planning and Polic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 16-23. 

  17. Ministry of Environment, http://www.me.go.kr 

  18.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Korea, http://www.mltm.go.kr 

  19. Presidential Committee on Green Growth, http://www.greengrowth.go.kr 

  20. Environment Agency, UK, 2011, SEA and Climate Change: Guidance for Practitioners: http://www.environment-agency.gov.uk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