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v.24 no.4, 2011년, pp.157 - 174
김성철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의사학교실,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한의학연구소) , 하홍기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의사학교실,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한의학연구소) , 김기욱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의사학교실,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한의학연구소)
We derived following result by organizing research about processing of medicinal of before Han(漢) dynesty. The human being intake of natural substance for the purpose of treatment was what happened later than the use of natural substance as food. According to the record of by the early years of Shan...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약물을 포제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 포제는 역대로 ‘炮炙’, ‘治削’, ‘修治’, ‘修事’, ‘修合’, ‘合和’, ‘修制’등이라 명명하였다. 약물을 포제하는 방법에 대해 淸代 徐大椿은 약물의 외형을 가공포제하는 것을 ‘制其形’이라 하였고, 寒熱溫涼, 有毒無毒한 약성을 억제하거나, 증가시키거나, 독성을 줄이거나, 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을 ‘制其性’이라 하였고, 약물의 氣味를 변화시키는 것을 ‘制其味’라 하였고, 虛實輕重, 濕潤枯燥한 약물의 성질을 조절 하는 것을 ‘制其質’이라 하여 4가지 방면으로 포제의 주요한 측면을 제시하였다1). 약물은 종류가 많고 사용하는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炮制하는 방법도 다양하고 그 내용이 풍부하다. | |
포제는 어떻게 명명했는가? | 포제는 역대로 ‘炮炙’, ‘治削’, ‘修治’, ‘修事’, ‘修合’, ‘合和’, ‘修制’등이라 명명하였다. 약물을 포제하는 방법에 대해 淸代 徐大椿은 약물의 외형을 가공포제하는 것을 ‘制其形’이라 하였고, 寒熱溫涼, 有毒無毒한 약성을 억제하거나, 증가시키거나, 독성을 줄이거나, 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을 ‘制其性’이라 하였고, 약물의 氣味를 변화시키는 것을 ‘制其味’라 하였고, 虛實輕重, 濕潤枯燥한 약물의 성질을 조절 하는 것을 ‘制其質’이라 하여 4가지 방면으로 포제의 주요한 측면을 제시하였다1). | |
액체보료를 처리하는 방법은? | 출토의서에서는 “以酒挐封之”64)라 하여 약물을 적신 후에 환부에 붙이는 것을 ‘挐’(濕을 뜻함)라하였고, 약액을 뿌리는 것을 ‘濺’이라 하였다. 또 약물을 용매에 浸泡하는 것을 “取商牢潰醯中”65), “以小童溺潰陵叔”66), “淳酒漬而餅之”67)라 하여 ‘潰’라 하였고, “卽以犬矢濕之”68)라 하여 ‘濕’이라 하였다. 액체를 약물에 뿌리는 것을 출토의서에서는 ‘沃’ (“以酒沃”69))이라 하였고, ‘洎’(‘洎’자의 본래 뜻은 肉汁이고 인신하여 물을 뿌리는 뜻이 있다. “洎水三斗”70))이라 하였다. 달인 후 약액을 걸러내는 것은 ‘抒’(“煮李實, 疾沸, 而抒”71))라 하였다. |
元.王好古 著, 胡國臣 主編. 湯液本草.東垣先生用藥心法 .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2005. p.15.
神農本草經. 第4輯. 北京. 中國醫藥科技出版社. 2003. p.19, 21, 84.
張仲景 述, 王叔和 集. 新編金?方論 第2集. 北京. 中國醫藥科技出版社. 2003. p.546, 584.
陶弘景. 本草經集注甲本殘卷 . 南京. 江蘇古籍出版社. 1998. p.557.
漢語大字典編輯委員會. 漢語大字典. 成都. 四川辭書出版社. 1996. p.15.
郭沫若. 甲骨文字硏究 三卷本. 成都. 四川辭書出版社. 1995. p.2039.
張仲景. 金?要略方論.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4. p.21, 23, 71.
馬繼興. 馬王堆古醫書考釋, 長沙. 湖南科學技術出版社. 1992. p.35, 47, 328, 331, 335, 338, 341, 345, 348, 349, 351, 355, 359, 371, 380, 384, 389, 393, 394, 396, 398, 399, 404, 405, 406, 411, 416, 422, 426, 429, 437, 451, 456, 458, 460, 464, 465, 467, 472, 487, 499, 500, 508, 520, 521, 535, 538, 540, 542, 547, 549, 552, 553, 556, 561, 562, 563, 564, 565, 569, 574, 579, 581, 582, 584, 585, 586, 587, 589, 591, 596, 599, 613, 615, 616, 617, 619, 624, 626, 629, 630, 633, 641, 642, 649, 651, 655, 659, 662, 666, 667, 668, 672, 673, 676, 678, 680, 682, 687, 688, 689, 692, 693, 695, 700, 707, 708, 709, 713, 715, 722, 723, 731, 734, 735, 751, 755, 759, 760, 766, 776, 803, 813. pp, 121-146, 404-410 547-555, 751-752, 775-777, 733-734.
蜀.憔周. 古史考. 北京. 中華書局. 1991. p.9.
鄭玄 撰. 周禮 . 서울. 法仁文化社. 1988. pp.23-24.
明.熊宗立. 醫學源流 卷上 . 上海. 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88. p.39.
陶弘景. 名醫別錄.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86. p.64.
山田慶兒. 湯液の起源.科學史資料の硏究. 京都. 京都大學人文科學硏究所. 1985. p.84.
許信 撰, 段玉裁 注. 說文解字. 上海. 上海古籍 出版社出版, 1984. p.599.
唐愼微. 重修政和經史證類備用本草. 서울. 大星文化社. 1983. p.31, 35.
司馬遷 撰. 史記. 서울. 景仁文化社. 1983. p.79.
班固 撰. 漢書. 서울. 景仁文化社. 1983. p.453.
晉.皇甫謐. 甲乙經.序.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82. p.2.
漢.鄭康成注. 周禮注疏.天官家宰下 卷2. 北京. 中華書局. 1980. p.21.
朱?. 普濟方 23卷. 서울. 麗江出版社. 1978. p.755*301.
甘肅省博物館 .武威縣文化館. 武威漢代醫簡. 北京. 文物出版社. 1975. 簡17, 47, 57, 71, 木牘 80甲, 80乙, 87甲, 89甲.
張仲景 撰 王叔和 編. 註解傷寒論.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63. p.63, 67, 70, 97, 144, 172, 188.
黃帝內經靈樞經.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63. p.21.
漢.劉安. 淮南子.主術訓 卷9. 發行年未詳. p.139.
宋.李昉. 禮含文嘉 卷869. 發行年未詳. p.3854.
漢.班固. 漢書.食貨志 卷24. 發行年未詳. p.1183.
周.韓非. 韓非子.外儲說左下 卷12. 發行年未詳. p.10.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