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합의학의 개념 및 한의학과의 관계
Concepts of Integrative Medicine and its Relationship with TKM (Traditional Korean Medicine) 원문보기

韓國韓醫學硏究院論文集 =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ine, v.17 no.3 = no.33, 2011년, pp.35 - 42  

이태형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  김남일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terms, CAM and Integrative Medicine, have been often used to conceptualize relation between TKM and western medicine in Korea. But both terms often lead to confusion since the backgrounds of those were not being properly discussed. Methods : We researched the concepts of CAM and I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기존과 같이 RCT나 Systematic Review 만을 좇으려고 하지는 않는다. 각 의학체계를 유지하면서도 객관적인 근거를 확보하고자 노력한다. 이 관점에서는 과학적 의학이 곧 RCT, 혹은 Systematic Review를 뜻하지는 않는다.
  • 아직까지도 위에 제시된 연구방법론 중 완전한 것은 없으며, 계속해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공통적으로 한의학의 이론 체계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complex system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는 기존 서양의학의 획일적인 연구 방법론에 대한 비판에서 비롯되었다.
  • Network Research는 각 부분 사이의 상호 관계와 상호 영향을 연구하여 인간을 하나의 온전한 체계로 바라보는 연구방법론이다. 또한 인간을 독립된 개체로 바라보기 보다는, 그 개체가 살고 있는 환경과도 연계하여 생각한다. 다음으로는 ’Systems Biology'가 있다.
  • 이와 같은 연구방법론은 보완대체의학을 연구함에도 그대로 적용되었다. 보완대체의학을 연구하는 대표적인 기관인 미국의 NCCAM과 국제적 기관인 Cochrane Collaboration5)은 RCT에 기반한 연구를 통해 각 질환에 있어 최신의 systematic review를 갖추고자 한다. 이들은 보완대체의학에 과학적 연구 방법론을 적용하여 서양의학적인 관점에서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표로 한다.
  • 본 논문에서는 먼저 미국 및 유럽의 국가들에서 서양의학과 기타 의학간의 관계를 설정하기 위해 제시한 ‘보완대체의학’ 및 ‘통합의학’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다.
  • 본 논문에서는 먼저 미국 및 유럽의 국가들에서 서양의학과 기타 의학간의 관계를 설정하기 위해 제시한 ‘보완대체의학’ 및 ‘통합의학’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다. 이들 개념의 변화 양상을 통해, 서양에서의 의학체계간 관계에 대한 논의를 고찰하겠다. 이어서 한국에서 ‘통합의학’ 개념이 어떠한 양태로 사용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궁극적으로 ‘통합의학’ 개념이 한의학과 서양의학 간의 관계에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을지 논의해보도록 하겠다.
  • 이어서 한국에서 ‘통합의학’ 개념이 어떠한 양태로 사용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궁극적으로 ‘통합의학’ 개념이 한의학과 서양의학 간의 관계에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을지 논의해보도록 하겠다.
  • 서양의학은 인체의 구조적인 문제에 보다 관심을 기울였으며, 병리 기전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한편 병리 기전을 확실하게 알 수 없는 경우는 근거중심의학이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통계적인 수치를 통해 치료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특정 시간, 특정 환경으로 제어된 상황에서 어느 수준 이상 유효하다고 생각되는 치료 방법일 경우 인정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겼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완대체의학이라는 용어는 언제 사용되기 시작했는가? 보완대체의학이라는 용어는 90년대 초반에 들어서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처음 보완대체의학을 지칭하는 용어로는 ‘alternative medicine’, ‘complementary medicine’ 등이 있었지만, 1995년도 이후로 이 둘을 합친 용어인 ‘CAM(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통합의학은 언제 새롭게 출현하였는가? 1994년, 미국의 University of Arizona에서는 기존의 보완대체의학(CAM)과는 다른 통합의학(Integrative Medicine)이라는 용어가 새롭게 출현하였다. 본래 이용어는 PIM(the Program in Integrative Medicine)6) 이라는 이름의 교육과정을 시도하면서 생겨났지만, 이후 통합의학이라는 개념이 점차 확산됨에 따라 서양의학과 기타 의학체계 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중요한 용어로 자리 잡았다.
통합의학의 정의를 요약해 키워드를 추린다면 어떻게 되는가? 첫 번째는 "good science that is open to new paradigms"이다. 통합의학 역시 과학적 의학을 지향한다. 하지만 기존과 같이 RCT나 Systematic Review 만을 좇으려고 하지는 않는다. 각 의학체계를 유지하면서도 객관적인 근거를 확보하고자 노력한다. 이 관점에서는 과학적 의학이 곧 RCT, 혹은 Systematic Review를 뜻하지는 않는다. RCT와 Systematic Review만을 좇을 경우 각 의학체계의 특이성은 사라지기 때문이다. 다음은 "depends for its philosophical foundation and patient-centered approach on systems of CAM"이다. 통합의학 개념은 각 의학의 철학적 배경을 존중하고자 한다. 또한 더불어 환자중심의학을 구현하여, 근거중심의학의 객관적 통계 뿐아니라 환자의 주관적인 호소에도 관심을 기울일 것을 주장한다. 위와 같은 주장은 기존 보완대체의학 개념, 혹은 서양의학 개념에 대한 비판에 기반 한다. 과학적 의학을 지향하는 서양의 근대의학은 주관적일 수 있는 지표에 대해서는 인정하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ob Leckridge, Ch. B., F.F.Hom. The Futur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Models of Integration. J Altern Complement Med. 2004;10(2):413-416. 

  2. The British Medical Association(BMA). British Medical Association Complementary Medicine: New Approaches to Good Practice.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3. Eisenberg DM, Kessler RC, Foster C, Norlock FE, Calkins DR, Delbanco TL. Unconventional medicine in the United States. Prevalence, costs, and patterns of use. N Engl J Med. 1993;28;328(4):246-252. 

  4. Ernst Ernst. Complementary Medicine - A Definition [letter]. The British Journal of General Practice. 1995;5:506. 

  5. Gaudet TW. Integrative Medicine: The Evolution of a New Approach to Medicine and to Medical Education. Integrative Medicine. 1998;1(2):67-73. 

  6. Gevitz N. Unorthodox Medicine in America. Johns Hopkins Univ Pr. 1998. 

  7. Ian D. Coulter. Evidence Summaries and Synthesis: Necessary but Insufficient Approach for Determining Clinical Practice of Integrated Medicine?. Integr Cancer Ther. 2006;5(4):282-6. 

  8. Iris R. Bell, Opher Caspi, Gary E. R. Schwartz, Kathryn L. Grant, Tracy W. Gaudet, David Rychener, Victoria Maizes, Andrew Weil. Integrative Medicine and Systemic Outcomes Research. Arch Intern Med. 2002;28;162(2):133-40. 

  9. Iris R. Bell, Mary Koithan. Models for the Study of Whole Systems. Integr Cancer Ther. 2006;5(4): 293-307. 

  10. John Concato, Nirav Shah, Ralph I. Horwitz.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bservational Studies, and the Hierarchy of Research Designs. N Engl J Med. 2000;342(25):1887-92. 

  11. Keith i. Block, Wayne B. Jonas. Top of the Hierarchy - Evidence for Integrative Medicine: What Are the Best Strategies?. Integr Cancer Ther. 2006;5;277. 

  12. Kjell Benson, Arthur J. Hartz. A Comparison of Observational Studies a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N Engl J Med. 2000;342:1878-1886. 

  13. Panel on Definition and Description. Defining and describ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AM Research Methodology Conference. April 1995. Altern Ther Health Med. 1997;3(2):49-57. 

  14. Marja J. Verhoef, Laura C. Vanderheyden, Vinjar Fonnebo. A Whole Systems Research Approach to Cancer Care: Why Do We need It and How Do We Get Started?. Integr Cancer Ther. 2006;5(4):287-92. 

  15. 김은식. 현대의학의 新 패러다임 '통합기능의학'. MD저널 Vol 113. 2009;3:18-27. 

  16. 김재효, 손인철, 강연석. 마음치유 모델로서 일원의학에 대한 검토.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2010;49:69-84. 

  17. 변광호. 새로운 의료패러다임: 통합의학과 생활습관. 금요학술세미나. 가톨릭의과대학 통합의학교실. 2005;129-141. 

  18. 이성재. 통합의학에서 보완대체요법의 역할. HANYANG MEDICAL REVIEWS. 2010;30(2):75-83. 

  19. 정유석. 보완대체의학의 윤리적 성찰. 한국의료윤리학회지. 2009;12(2):189-198. 

  20. 최운정. 보완대체의학의 과학적 접근. 대한임상종양학회. 2009;5(2):41-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