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민.관 파트너십 도시공원 조성 및 관리방식 연구
A Study of Urban Park Development and Management through Public-Private Partnership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9 no.3, 2011년, pp.83 - 97  

김용국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한소영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  조경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도입단계에 있는 우리나라 민 관 파트너십 도시공원의 실태 분석결과를 성숙단계에 있는 다양한 국외사례와 민 관 파트너십 도시공원의 계획과정(민 관 파트너십 형성${\rightarrow}$공원조성${\rightarrow}$공원 운영 관리) 속에서 비교분석(Gap Analysis)함으로써 우리나라 민 관 파트너십 도시공원의 전개방향과 파트너 십 활성화를 위한 단서를 찾는다는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국내외 민 관 파트너십 도시공원 사례를 비교분석 결과, 앞으로 우리나라 도시공원의 전개방향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겠다. 첫째, 지금까지 민 관 파트너십 도시공원 사례가 지자체 중심의 단일 또는 소수 파트너가 주도해 조성 관리했다면 앞으로는 도시공원의 유형별로 효율적인 다 부문간의 파트너십(Multi-Sector Partnership)을 형성해 도시공원을 조성 관리해 나가야 할 것이다. 도시공원은 공익이 우선 시 되는 공간이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다양한 민 관 부문 관계자들의 목소리를 반영시켜야 하겠다. 둘째, 도시공원은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계속 만들어져 가는 공공 공간이다. 따라서 결과 중심이 아닌 과정 중심으로 접근해야 한다. 지금까지 국내 사례분석 결과, 민 관 파트너십의 개념이 도시공원의 조성과정에 적용되는데 치우쳐 있다는 것은 도시공원의 양적 확충에 중심을 두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시공원이 지역사회 내에서 공공 공간으로서의 가치를 지속적으로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결국 공원의 조성과정뿐 아니라 이후 운영 관리 과정에서의 민 관 파트너십이 요구된다. 셋째, 민-관 파트너십 도시공원 관리가 효과적이고 지속적이기 위해서는 결국 지역사회 참여가 바탕이 되어야 하겠다. 지역사회의 참여는 도시공원의 가치에 대한 민 관 부문 모두의 의식 전환이 전제되어야 하므로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는 서울그린트러스트와 같은 비영리단체가 민 관 파트너십을 통해 크고 작은 도시공원을 조성 및 관리하면서 성공사례들이 축척 될 필요가 있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a gap analysis between public-private partnership urban parks of Korea currently in their initial stage and various foreign cases that have been established in terms of planning(formation of public-private partnership${\rightarrow}$creation of parks...

주제어

참고문헌 (29)

  1. 강남구청(2005) 대치유수지 체육공원 조성 기본계획. 

  2. 경기개발연구원(1997) 도시공원의 확대전략에 관한 연구. 

  3. 권태자(2003) 주민참여에 의한 공원만들기 사례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 김기호, 문국현(2006) 도시의 생명력 그린웨이. 랜덤하우스 중앙. 

  5. 김성진(1991) 지역주민참여에 의한 도시공원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연금, 마기로(2007) 영국 공원개발에 있어서의 파트너십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5(2):4-11. 

  7. 대전광역시(2009) 유림공원 사업현황보고. 

  8. 박창열(2004) 기업의 사회공헌에 관한 연구-울산대공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변정수(2009) 민간자본 활용을 통한 장기미집행 도시공원의 개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2009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 22-32 

  10. 산림청(2009). 기업참여 도시숲 조성, 관리 기본계획. 

  11. 서울그린트러스트(2008) 2008우리동네숲 리포트. 

  12. 서울그린트러스트(2009) 2008 서울숲사랑모임 애뉴얼 리포트, 4년 사업보고서 자연과 함께 숨쉬는 서울숲. 

  13. 서울시정개발연구원(1995). 미시설공원의 조성 및 토지수용방안. 

  14.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7). 시민참여를 통한 생활권 공원녹지 조성방안. 

  15. 오수길.(2003) 파트너십 거버넌스의 가능성과 한계: '지방의제 21' 추진 과정의 경험. 한국행정논집 15(2):283-313. 

  16. 울산발전연구원(2007) 울산광역시 도시공원의 가치평가: 울산대공원을 중심으로. 

  17. 유영봉(2004). 공원녹지 관리의 민간부문 활용방안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재준(2007) 민간활성화를 위한 공원시설 제도 개선 방안. 서울시정 개발연구원 개원 15주년 기념 정책토론회 자료집. 

  19. 인천발전연구원(2006).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개정에 따른 실천방안. 

  20. 임영록(2007) 민간자본활용을 통한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 해소 방안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9(1):145. 

  21. 조경진(2009) 도시공원의 비전과 전략. 합포문화동인회 민족문화강좌. 

  22. CABE(2006) Paying for Parks: Eight Models for Funding Urban Green Space. 

  23. Edward K. Uhlir, FAIA, Chicago(2006). The Millennium Park Effect Creationa Cultural Venue with an Economic Impact. International Symposium on Central Open Space in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Korea. 

  24. .IPPR(2001) Building Better Partnership. Commission on Public Private Partnerships. 

  25. National Audit Office(2002). The Cancellation of the Benefits Payments Card Project. HC 857. Session 2001-2002. London: the Stationary Office. 

  26. Dunnett, Nigeland Carys Swanwick and Helen Woolley(2002) Improving Urban Parks, Play Areasand Green Spaces. Department for Transport, Local Government and Regions:145. 

  27. Project for Public Spaces(2000). Public parks, private partnerships. 

  28. SK(주), 울산광역시(2007) 행복한 울산대공원 만들기: 그 10년의 이야기. 

  29. http://www.ncppp.org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