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중학생의 기초 탐구 기능 이해를 위한 명시적 교수.학습 전략의 개발 및 적용 사례 분석
A Case Study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Explicit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for Comprehension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Basic Science Process Skill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1 no.4, 2011년, pp.641 - 662  

홍석준 (단국대학교) ,  손연아 (단국대학교)

초록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기초 탐구 기능 이해를 위한 명시적 교수 학습 전략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으며, 교수 학습 전략의 적용 효과와 학생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기초 탐구 기능 이해를 위한 명시적 수업 단계를 모색하였으며, 기초 탐구 기능의 수업 적용 준거를 설정하여 명시적 수업 단계에 접목함으로써 기초 탐구 기능 이해를 위한 명시적 교수 학습 전략을 개발하였다. 명시적 교수 학습 전략의 단계별 수업 분석결과, 학생들은 특히 명확하게 설명하기 단계와 독립적으로 연습하기 단계를 통해 기초 탐구 기능을 더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고 진술하였으며, 현장 교사는 구체적 사례 시범 보이기 단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기초 탐구 기능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정도 분석 결과, 대부분의 질문에서 긍정적 결과를 나타냈다. 다른 교과목, 또는 일상생활에서의 파급 효과를 분석한 결과, 학생 스스로 과학 탐구 기능을 활용하려는 태도를 가지게 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명시적 교수 학습 전략이 학생들의 기초 탐구 기능 이해에 효과적임을 연구 결과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과학 탐구 기능의 명시적 교수 학습 전략이 중등학교 현장에 적용 가능하도록 지속적으로 연구 및 개발, 보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explicit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for middle school students were developed to improve basic science process skills. After applying these strategy in an actual class, the effects of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and change of students were analyzed. Explicit Teaching and Learn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학생의 기초 탐구 기능 이해를 위한 명시적 교수 학습 전략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으며, 교수 학습 전략의 적용 효과와 학생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모색하고 개발한 것은?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기초 탐구 기능 이해를 위한 명시적 교수 학습 전략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으며, 교수 학습 전략의 적용 효과와 학생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기초 탐구 기능 이해를 위한 명시적 수업 단계를 모색하였으며, 기초 탐구 기능의 수업 적용 준거를 설정하여 명시적 수업 단계에 접목함으로써 기초 탐구 기능 이해를 위한 명시적 교수 학습 전략을 개발하였다. 명시적 교수 학습 전략의 단계별 수업 분석결과, 학생들은 특히 명확하게 설명하기 단계와 독립적으로 연습하기 단계를 통해 기초 탐구 기능을 더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고 진술하였으며, 현장 교사는 구체적 사례 시범 보이기 단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과학적 탐구활동이란? 과학적 탐구활동은 토의와 반성을 통해 과학의 본성을 인식하는 과정이자 수단이며(Schwartz et al., 2004), 과학의 핵심적인 구성요소이자 과학 교수의 중심적인 전략이다(조희형 등, 2009). 따라서 과학 탐구 기능은 과학적 탐구활동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절차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사고과정 전체를 의미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사례 중심의 질적 연구의 목적은 연구 결과의 일반화보다는 특수화된 사례의 맥락성과 행위자의 관점을 이해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는 이유는? 이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면적 질적 사례 분석을 적용하였다. 질적 사례 분석은 연구 사례의 독특성을 강조하여, 그 사례 자체를 이해하는 것을 강조한다(Creswell, 1998). 따라서 사례 중심의 질적 연구의 목적은 연구결과의 일반화보다는 특수화된 사례의 맥락성과 행위자의 관점을 이해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이혁규,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교육부 (1997). 과학과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 

  2. 교육과학기술부(2009). 과학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교육인적자원부 (2007). 과학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4. 김수경, 김중복 (2005). 연구논문: 실생활 소재 과학 탐구 모듈이 중학생의 과학 탐구 능력과 실험 활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7), 811-819. 

  5. 김윤옥 (2005). 통합교육을 위한 직접교수의 원리와 실제. 서울: 학지사. 

  6. 김정률, 박정희, 박예리 (2005). 중학생의 탐구 능력 향상을 위한 지구과학 모듈의 개발. 한국지구과학회지, 26(3), 183-198. 

  7. 김태선, 고수경, 김범기 (2005). 연구논문: 고등학생들의 그래프 능력과 과학 탐구 능력 및 과학 학업 성취도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5), 624-633. 

  8. 김희령, 여성희 (2004).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2학년 과학교과서의 과학 탐구 과정과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 분석. 학국생물교육학회지, 32(4), 390-397. 

  9. 김희경, 박보화, 이봉우 (2007). 우리나라 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기초 탐구 과정 분석: 분류, 예상 및 추리 탐구 요소를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학회지, 26(5), 499-508. 

  10. 서울대학교 (2005). 성공적인 중학과학 탐구수업을 위한 길라잡이 자료. 서울: 서울대학교 과학교육 연구소. 

  11. 소원주, 우종옥 (1994). 중학생의 논리적 사고력과 통합적 과학탐구 능력에 관한 한.일 비교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312-320. 

  12. 오상관 (1994). 국민학생의 논리적 사고력과 과학 탐구능력과의 관계.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4(1), 320-321. 

  13. 우종옥, 김종일 (1993). 고등학생의 인지수준과 과학탐구 능력과의 관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2), 296-307. 

  14. 이봉우, 박보화, 김희경 (2007). 연구논문: 우리나라 3-10학년 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기초탐구과정 분석: 관찰 및 측정 탐구요소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 학회지, 27(5), 421-431. 

  15. 이혁규 (2005). 교과 교육 현상의 질적 연구. 서울: 학지사. 

  16. 장진아, 전영석 (2010). 초등학생을 위한 자유 탐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학생의 과학 탐구 기능 특성 및 지속적 피드백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29(2), 207-218. 

  17. 정덕호, 이국행 (2008). 탐구과정을 강화한 과학 수업이 탐구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과학교육논총, 33, 49-62. 

  18. 정지숙 (1996). 삼차원 과학 탐구 평가틀을 이용한 국민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 측정. 한국 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9. 조희형 (1992). 과학적 탐구의 본질에 대한 분석 및 탐구력 신장을 위한 학습지도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1), 61-73. 

  20. 조희형, 김희경, 윤희숙, 이기영 (2009). 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21. 조희형, 이문원, 조영신, 지찬수, 강순희, 박종윤, 허명, 김찬종 (1995). 고등학교의 과학적 탐구력 신장을 위한 과학 학습지도 방법과 자료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1), 54-67. 

  22. 조희형, 최경희 (2001). 과학교육 총론. 교육과학사, 서울: 대한민국. 

  23. 최돈형 (1990). 중학생의 과학실험활동과 과학학습 결과의 관계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24. 최선영, 강호감 (2002). 연구논문: 제 6차와 7차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기능과 교수- 학습 방법의 비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706-716. 

  2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TIMSS/PISA)에 나타난 우리나라 중 고등학생의 성취변화의 특성.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8-3-1. 

  26. 한동하 (1982). 교과서 개발 원리와 절차. 한국교육개발원, 18-29. 

  27. Abd-El-Khalick, F. (2001). Embedding nature of science instruction in preservice elementary science courses: Abandoning scientism, but.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2(3), 215 233. 

  28. Akerson, V. L., Fouad, Abd-El-Khalick, & Lederman, N. G. (2000). Influence of a Reflective Explicit Activity-Based Approach on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4), 295-317. 

  29. Akindehin, F. (1988). Effect of an instructional package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acquisition of science-related attitudes. Science Education, 72(1), 73-82. 

  30. Amerci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0). Science for all American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1. Bartholomew, H., Osbome, J., & Ratcliffe, M. (2004). Teaching students "Idea-About- Science": Five dimensions of effective practice. Science Education, 88(5), 655-682. 

  32. Creswell, & John W. (1998).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s. Thousand Oaks, Calif. : Sage Publications. 

  33. Gersten, R., Taylor, R., & Graves, A. (1999). Direct instruction and diversity. In R. Stevens (Ed.), Teaching in American schools Columbus, OH: Merrill. 

  34. Grossen, B. (1993). I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for teaching science to diverse learners. Effective School Practices, 71, 136-142. 

  35. Jones, E. D., Wilson, R., & Bhojwani, S. (1997). Mathematics instruction for secondary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30(1), 151-163. 

  36. Kame enui, E. J., & Simmons, D. C. (1990). Designing instructional strategies: The prevention of academic learning problems. Colombus, OH: Merrill. 

  37. Khishfe, R., & Abd-El-Khalick, F. (2002). Influence of explicit and reflective versus implicit inquiry-oriented instruction on sixth graders' view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7), 551-578. 

  38. Lederman, N. G., & Abd-El-Khalick, F. (1998). Avoiding de-natured science: Activities that promote understandings of the nature of science. In McComas, W. F.(Ed.),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Rationales and strategies.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39. Lee, Y. H., & Chiappetta, L. E. (2008). How do the high school biology textbooks introduce the nature of science? Dissertation. Houston, TX: University of Houston. 

  40. Palincsar, A. S., & Brown, A. L. (1984). Reciprocal teaching of comprehension fostering and comprehension-monitoring activities. Cognition Instruct. 1, 117-175. 

  41. Pearson, P. D., & Dole, J. A. (1987). Explicit comprehension instruction: A review of research and a new conceptualization of instruction. Elementary School Journal, 88, 151-165. 

  42. Richard J. Rezda, Constance Spraque, & Ronald Fiel (2003). Learning and Assessing Science Process Skills. 4th ed. Dubuque, Iowa: Kendall/Hunt Publishing Company. 

  43. Rosenshine, B. V. (2002). Convergent findings on classroom instruction. Presented at the Pattern Conference: Research-Based Effective Teaching Principles. Harrisburg, Pennsylvania. 

  44. Rosenshine, B. V., & Stevens, L. (1986). Teaching functions. In M. Wittrock(Ed.), Handbook on Research on Teaching(volume III). New York: Macmillan. 

  45. Rosenshine, B. V., & Meister, C. (1995). Direct instruction. In L. W. Anderson(Ed.)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volume II).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6. Schwartz, R. S., Lederman, N. G. & Crawford, B. A. (2004). Developing views of nature of science in an authentic context: An explicit approach to bridging the gap between nature of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Science Education, 88(4), 610-64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