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불안 장애에서 벡우울척도의 요인구조
Factor Structure of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in Anxiety Disorder 원문보기

Anxiety and mood = 대한불안의학회지, v.7 no.1, 2011년, pp.16 - 21  

양현주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김대호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장은영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한창우 (계요병원 정신과) ,  박용천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Depressive symptoms often coexist with other anxiety disorder symptoms. Furthermore, an anxiety disorder that is comorbid with a depressive disorder results in more severe symptoms and a poorer outcome prognosis. To understand the construct of depressive symptoms in anxiety disorder, t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불안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BDI를 이용하여 우울증상을 측정하고, 우울증상들의 타당성 있는 요인구조를 탐색적으로 추출하고, 그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적합성을 확인하고자 진행되었다. 더불어 우울장애를 대상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3요인 구조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불안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BDI의 요인 구조를 탐색하고 그 적합도를 구하여 불안장애 환자의 우울증상의 구성 요소를 가늠해 보고, 기존의 우울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요인구조와 비교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그 결과 인지-정서, 신체증상, 자기 책망, 건강염려와 우유부단이라고 명명한 4개의 요인구조가 추출되었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이 모델의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 다만, 이러한 연구방법을 취하는 경우에는 장애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증상이나 하위요소들에 대해서는 유용한 정보나 시사점을 얻기 어렵다. 이러한 제약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은 불안장애와 우울장애 환자들의 우울증상들이 서로 어떠한 관련성을 지니는지 혹은 우울증의 하위요소들이 지니는 상관관계나 공변하는 양상을 알아보는 것이다.
  •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주요우울장애와 불안장애 환자들이 지닌 우울증상의 요인구조가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는데 초점을 두었다. 주요우울장애를 비롯한 우울장애의 요인구조를 탐색하거나 확인한 결과들은 선행연구를 통해 상당수 찾아 볼 수 있다.
  • 우울장애를 지닌 사람들의 BDI의 요인구조를 알아본 연구들이 상당 수 진행된 데 비하여 불안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상응될만한 작업을 수행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불안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BDI를 이용하여 우울증상을 측정하고, 우울증상들의 타당성 있는 요인구조를 탐색적으로 추출하고, 그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적합성을 확인하고자 진행되었다. 더불어 우울장애를 대상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3요인 구조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이 연구의 포함 기준은 1) 외래 초진 환자 가운데 DSM-IV 진단 기준에 따라 정신과 전문의에게 불안장애로 진단을 받았으며, 2) 연령이 만 16세 이상 65세 미만이고, 3) 한글을 읽고 쓸 수 있는 경우였다. 한편, 배제 기준은 1) 초등학교 졸업 미만의 학력, 2) 정신 지체, 3) 기질성 정신 질환이나 신경학적 질환, 4) 신체적 장애로 인해 설문지 작성이 불가능한 경우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울증상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도구는? 주요우울장애를 비롯한 우울장애의 요인구조를 탐색하거나 확인한 결과들은 선행연구를 통해 상당수 찾아 볼 수 있다.6-21 이 연구들에서 우울증상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도구는 벡우울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를 들 수 있는데, 우울장애에 대한 BDI의 요인구조는 연구에 참여한 대상 집단의 특징, 연구에 사용된 언어, 요인을 추출한 방법이나 요인구조의 회전방법에 따라서 매우 다양한 의견들이 제시되어왔다.
BDI란? BDI는 우울 증상의 정도와 유형을 가늠하기 위하여 개발된 척도이다. 문항은 정서적, 인지적, 동기적, 신체적 및 기타 증상들에 대한 21개의 질문들로 이루어져 있다.
불안과 우울 증상이 구분하기가 힘든 이유는? 불안과 우울은 흔한 정신 증상이며 불안장애와 우울장애는 가장 유병률이 높은 질환이다.1,2 이둘 증상은 중첩되는 부분도 있고 동시에 공존하는 경우가 많아 구분하기가 힘들며, 아직까지 이 두가지의 유사점과 차이점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olb LC, Brodie HKH. Modern clinical psychiatry. 10th ed. Philadelphia: Sauders;1982. 

  2. Kessler RC, Chiu WT, Demler O, Walters EE. Prevalence, severity, and comorbidity of 12-month DSM-IV disorders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Arch Gen Psychiatry 2005;62:617-627. 

  3. Park YN. Shared characteristics of depressive and anxiety disorders. J Korean Soc Biol Ther Psychiatry 2003;9:118-128. 

  4. Di Nardo PA, Barlow DH. Syndrome and symptom comorbidity in the anxiety disorders. In: Maser JD & Cloniger CR ed. Comorbidity in anxiety and mood disorder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1990. p.205-230. 

  5. Yang HJ, Kim DH, Jang EY, Park SC, Park YC. Psychosocial correlates of depressive symptoms in outpatients with anxiety disorders (unpublished observation);2011. 

  6. Golin S, Hartz MA. A factor analysis of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in a mildly depressed population. J Clin Psychol 1979;34:322-325. 

  7. Shek DT. Reliability and factorial structure of the Chinese version of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J Clin Psychol 1990;46:35-43. 

  8. Endler NS, Rutherfold A. Beck Depression Inventory: Exploring its dimensionality in a nonclinical population. J Clin Psychol 1999;55: 1307-1323. 

  9. Weckowicz TE, Muir W, Cropley AJ. A factor analysis of the Beck Inventory of Depression. J Consult Psychol 1967;31:23-28. 

  10. Campbell I, Burgess PM, Finch SJ. A factorial analysis of BDI scores. J Clin Psychol 1984;40:992-996. 

  11. Teri L. The use of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with adolescents. J Abnormal Psychol 1982;10:277-284. 

  12. Gould J. A psychometric investigation of the standard and short-form Beck Depression Inventory. Psychol Res 1982;51:1167-1170. 

  13. Reynolds WM, Gould JW. A psychometric investigation of the standard and short-form Beck Depression Inventory. J Consult Clin Psychol 1981;49:306-307. 

  14. Hill AB, Kemp-wheeler SM, Jones SA. What does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measure in students? Pers Indiv Differ 1986;7:39-47. 

  15. Shin HC, Kim CH, Park YW, Cho BL, Song SW, Yun YH, et al. Validity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detection of depression in primary care. J Korean Acad Fam Med 2000;21:1451-1465. 

  16. Lee YH, Song JY. A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BDI, SDS and MMPI-D. Korean J Clin Psychol 1991;10:98-113. 

  17. Han HM, Yeom TH, Shin YW, Kim KH, Yoon DJ, Cheong KJ. Standardization study of Korean version Beck Depression Inventory. Korean J Neuropsychiatr Assoc 1986;25:487-500. 

  18. Cho YR, Kim JH, Park SH, Kim HR, Kim SH, Pyo KS. Factor structure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Kor J Clin Psychol 2002;21: 247-258. 

  19. Byrne BM, Baron P, Campbell TL. Measuring adolescent depression. J Res Adol 1993;3:127-143. 

  20. Byrne BM, Baron P, Larsson B, Melin L.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Testing and cross-validating a second-order factorial structure for nonclinical adolescents. Behav Res Ther 1995;33:345-356. 

  21. Byrne BM, Baron P, Balev J.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Educ Psychol Meas 1998;58:241-251. 

  22. Lee KS, Bae HL, Kim DH. Factor analysi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in patients with anxiety disorders. Anxiety Mood 2008;4:104-109. 

  23. Lee YH, Song JY.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BDI, SDS, and MMPI-D Scales. Korean J Clin Psychol 1991;15:98-113. 

  24. Beck AT, Steer RA, Garbin MG.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Twenty-five years of evaluation. Clin Psychol Rev 1988;8:77-100. 

  25. Muliak SA, James LR, Alstine JV, Bennett N, Lind S, Stiwell CD. Evaluation of Goodness-of-fit indices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 Psychol Bull 1989;105:430-445. 

  26. Bentler PM, Bonett DG. Significance tests and goodness of fit in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Psychol Bull 1980;88:588-606. 

  27. Widaman KF. Hierarchically nested covariance structure models for multitrait-multimethod data. Appl Psychol Meas 1985;9:1-26. 

  28. Cox BJ, Swinson RP, Kuch K, Reichman JT. Self-report differentiation of anxiety and depression in an anxiety disorders sample. Psychol Assess 1993;5:484-486. 

  29. Kim JH, Cho Y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Testing configural and metric invariance across undergraduate and clinical samples. Korean J Clin Psychol 2002;21:843-857. 

  30. Clark DA, Steer RA, Beck AT. Common and specific dimensions of self-reported anxiety and depression: Implications for the cognitive and tripartite models. J Abnorm Psychol 1994;103:645-6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