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9 no.6, 2011년, pp.41 - 54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correlation between family abuse experience, family stress, social support, family resiliency and happiness in university students, and to explore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support and family resiliency between family abuse experience, family stress and hap...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청소년, 모든 연령층의 가정생활에서 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는? | 특히 대학생이 행복을 느끼는데 있어 성장기와 그 이후 삶에 가족생활의 영향력은 간과될 수 없다. 청소년(김의철․박영신, 2004)과 모든 연령층(박영신․김의철,2006)이 가정생활에서 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로 화목한 가족관계를 매우 중요하게 여겼으며 청소년의 행복에 가정의 화목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였다(허승연, 2009). | |
대학생의 행복에 작용하는 요인은? | 대학생의 행복에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개인적 요인으로 사랑이나 이성관계(원준재, 2006), 자기효능감, 관계효능감(박영신 등, 2002), 개인목표달성(구재선․김의철, 2006), 대학생활적응요인(한덕웅 등, 1991), 감사(노혜숙․신현숙, 2008; 조진형 등, 2008; Emmons & Shelton, 2005; Perterson, 2006), 낙관성(원두리․김교헌, 2006; Diener et al., 1999) 등이 작용하고 있다. 또한 가족적 요인으로 가족건강성(서하진․김정옥, 2009; Cicchetti & Toth, 1998), 가족유대나 친밀감(구재선․김의철, 2006), 부모양육태도(곽윤영, 2009) 등이, 사회적 요인으로는 사회적 지지(구재선․ 김의철, 2006; 안지영, 2007; 허승연, 2009; Lyubomirsky et al., 2005) 등이 행복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대학생의 행복에 개인적 요인뿐만아니라 가족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되고 있음을 볼 때 행복에 대한 다양한 요인들간의 관련성을 파악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 |
행복에 영향을 주는 것은? | 행복은 개인의 독특한 특성 뿐만아니라 청소년이 직접 몸담고 생활하는 가정환경, 학교환경, 지역사회환경과 눈에 보이지 않는 사회전반에 걸쳐 있는 가치관, 사회제도와 정책, 법률, 복지서비스, 이데올로기, 문화 등의 상호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총체적 맥락하에 포괄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대학생이 행복을 느끼는데 있어 성장기와 그 이후 삶에 가족생활의 영향력은 간과될 수 없다. |
곽윤영(2009). 부모의 양육태도 및 대학생의 경제적 자립도가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구재선?김의철(2006). 한국인의 행복경험에 대한 토착문화심리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2), 77-100.
기화?정남운(2004). 만성질환 아동을 둔 가족의 심리적 적응에 관한 가족탄력성 모형의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1), 1-24.
김미옥(2001). 장애아동 가족의 적응에 대한 가족탄력성 (family Resilience)의 영행력 분석. 한국가족복지학, 8, 9-40.
김의철?박영신(2004). 청소년과 성인의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학적 분석: 가정, 학교, 직장, 여가생활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4), 973-1002.
김의철?박영신?김의연?TsudaAkira?Horiuchi Saroshi(2010). 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부모의 사회적 지원, 어려움극복효능감, 스트레스 관리행동의 영향: 초, 중, 대학생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문제, 16(2), 197-219.
김재협?최지현(2005). 여대생의 아동학대경험이 정신건강 및 사회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0(2), 27-47.
김혜림(2006). 자폐아동 가족탄력성과 가족적응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노혜숙?신현숙(2008). 청소년의 감사성향과 심리적 안녕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5(2), 147-168.
박병금(2006).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관한 생태체계요인 탐색.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영신?김의철(2008). 한국사회와 개인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탐구: 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와 낮추는 요소에 대한 세대별 지각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1), 161-195.
박영신?김의철(2008). 배우자의 사회적 지원, 자녀에 대한 신뢰 및 자기효능감이 성인의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4), 71-101.
박영신?김의철?민병기(2002). 부모의 사회적 지원,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 변화에 대한 종단자료 분석과 생활만족도 형성에 대한 구조관계 분석. 교육심리연구, 16(2), 63-92.
박지원(1985). 사회적 지지 척도개발에 관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진선?박은희(2010). 유아?가족배경변인과 가족탄력성이 유아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4(1), 203-225.
서하진?김정옥(2009).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자아존중감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3), 141-178.
송영경(2006).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및 학교적응.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지영(2007). 인간관계,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중학생과 그 부모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어용숙(2010). 장애아동 주양육자의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지 지가 가족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연구, 26(1), 209-236.
오혜정(2004). 아동기 학대경험과 부부폭력노출경험이 성장 후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영주(2004). 가족강화를 위한 한국형 가족건강성 척도개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119-151.
원두리?김교헌(2006). 심리적 웰빙을 어떻게 추구할 것인가. 웰빙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에 대한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1), 125-145.
원준재(2006). 전국대학교 학생생활상담소의 상담영역별 운영 실태 및 발전방안-개인상담을 중심으로. 동계 학술대회 자료집, 35-51.
이선애(2004). 만성질환아동 가족의 가족탄력성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수연(2010). 대학생의 행복척도 개발 및 구인타당도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7(2), 107-122..
이은희?구정화(2009). 가족탄력성이 한 부모가족의 적웅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1), 61-80.
이은희?손정민(2008). 가족탄력성이 만성질환아 가족의 적웅에 미치는 영향연구. 한국아동복지학, 27, 95-120.
이주희?정현주(2009). 가족스트레스가 자폐성아동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0(4), 15-31.
정은선?조한익(2008). 부모의 양육태도가 주관적 행복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강인성의 매개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1), 209-227.
정현주(2008). 자폐아동 가족의 스트레스와 가족적응이 자폐아동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경로분석-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가족복지학, 13(3), 89-110.
조진형?김경미?김동원?김정희(2008). 감사일지 작성이 주관적 안녕감, 자기존중감, 자기효능감, 감사성향 및 신체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 담론201, 11(2), 75-101.
한덕웅?전겸구?이창호(1991). 한국대학의 생활환경변화와 대학생활적응. 학생지도연구, 9, 5-17.
허승연(2009). 청소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허지연?손은정(2008). 청년기와 중년기 집단에서의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 자기효능감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를 매개변인으로.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340-341. 8월 20-22일. 서울: 육군사관학교.
현은민(2008). 스트레스와 가족탄력성이 여성한부모가족의 적웅에 미치는 효과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3(4), 59-84.
홍세희(2000). 구조 방정식 모형에 있어서 적합도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 심리학회지: 임상, 19, 161-177.
Beriere, J. & Runtz, M.(1990). Differential adult symtomalogy associated with three typed of child abuse histories. Child Abuse & Neglect, 12, 331-341.
Block, J. & Kremen, A. M.(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e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y, 70(2), 349-361.
Bowlby, J.(1988). Development psychiatry comes of ag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5, 1-10.
Carlson, B. E.(1990). Adolescent observers of marital violence. Journal of Family Violence, 5, 285-299.
Cicchetti, D. & Toth, S. L.(1998). The development of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merican Psychologist, 53(2), 221-241.
Cohen, S.(1988). Psychological models of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etiology of physical disease. Health Psychology, 7, 269-297.
Cohen, S. & Wills, T.A.(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 301-357.
Diener, E., Suh, E, M., Lucas, R., & Smith, H.(1999).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125, 276-302.
Doumas, D., Margolin, G., & John, R. S.(1994).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aggression across three generations. Journal of Family Aggression, 9(2), 135-152.
Emmons, R. A. & Shelton, C. M.(2005). Gratitude and the science of positive psychology. In C. R. Snyder & S. J. Lopez (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pp. 459-471). N.Y.: Oxford University Press.
Garcia, J., Adams, J., Friedman, L., & East, P.(2002). Links between past abuse, suicide ideation, and sexual orientation among San Diego college students.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51(1), 9-15.
Hotard, S. R., McFatter, R. M., McWhirter, R. M., & Stegall, M. E.(1989). Interactive effects of extraversion, neuroticism and social relationship on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 321-331.
Hughes, H. M.(1988).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correlates of family violence in child witness and victim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18, 77-90.
Kernic, M. A., Wolf, M. E., Holt, V. L., McKnight, B., Huebner, C. E., & Rivara, F. P.(2003). Behavioral problems among children whose mothers are abused by an intimate partner. Child Abuse and Neglect, 27(11), 1231-1246.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Y.: Springer-Verlag.
Lu, L. & Shih, J. B.(1997). Personality and happiness : Is mental health a mediator?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2(2), 249-256.
Luthar, S. S., Cicchetti, D., & Becker, B. E.(2000). The construct of resilience: A critical evaluation and guidelines for future work. Child Development, 71, 543-562.
Lyubomirsky, S., King, L., & Diener, E.(2005). The benefits of frequent positive affect: Does happiness lead to success? Psychological Bulletin, 131, 803-855.
Lyubomirsky, S.(2007). The how of happiness: A scientific approach to getting the life you want. N.Y.: The Penguin Press.
McCubbin, H. I.(1981). Family Inventory of Life Events and Changes(FILE). St. Paul Minnesota: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McCubbin, H. I., McCubbin, M. A., Thompson, A. I., Han, S. Y., & Allen, C. T.(1997). Families under stress: What makes them resilient. Journal of Family Consumer Science, 89(3), 2-11.
McCubbin, M., Balling, K., Possin, P., Friedich, S., & Bryne, B.(2002). Family resiliency in childhood cancer. Family Relations, 51(2), 103-111.
McCubbin, M. A. & McCubbin, H. I.(1993). Families coping with illness: The resiliency model of family stress, adjustment, and adaptation. In C. B. Danielson, B. H. Bissell and P. W. Fry: Family, health and illness: Perspective on coping and intervention. St. Louise: Mosby-Yrar Book, Inc.
Peterson, C.(2006). A primer in positive psychology. N.Y.: Oxford University Press.
Pierce, G. R., Sarason, B. R., & Sarason, I. G.(1996). Handbook of social support and the family.(pp.3-23). N.Y.: Pleum.
Roosa, M. W.(2000). Some thoughts about resilience versus positive development, mail effects versus workshops. Journal of Divorce and Remarriage, 40, 55-68.
Ryan, K. D., Kilmer, R. P., Cauce, A. M., Watanabe, H., & Hoyt, D. R.(2000). Psychological consequences of child maltreatment in homeless adolescents: Untangling the unique effects of maltreatment and family environment. Child Abuse & Neglect, 24(3), 333-352.
Ryff, C. D.(1997). Experience and well-being: Explorations on domains of life and how they matter.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0, 193-206.
Strauss, M. A.(1998). Identification of child maltreatment with the parent-child conflict tactics scales: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data for a national sample of American parents. Child Abuse & Neglect, 22, 249-270.
Toth, S. L., Cicchetti, D., & Kim, J.(2002). Relations among children's perceptions of maternal behavior, attributional styles and behavioral symptomatology in maltreated children.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0(5), 487-501.
Veenhoven, R.(1991). Questions on happiness: Classical topics, modern answers, blind spots, In F. Strack, M. Argyle, & Schwarz(Ed), Subjective well-being: An interdisplinary perspective(pp. 7-26). Oxford: Pergamon Press.
Walsh, F.(2002). A family resilience framework: Innovative practice applicatoions. Family Relations, 51(2), 130-137.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