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기후적응지역 설정 연구 -삵의 서식지를 중심으로-
Spatial Planning of Climate Adaptation Zone to Promote Climate Change Adaptation for Endangered Species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4 no.6, 2011년, pp.111 - 117  

이동근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백경혜 (서울대학교 대학원) ,  박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김호걸 (서울대학교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s to facilitate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conservation area by spatial planning of climate adaptation zone for endangered species. Spatial area is South Korea and select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as a target species of this study. In order to specify the climate ad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후적응지역을 공간적으로 설정하고 서식지와 대상 생물종의 기후변화 적응을 촉진하여,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고찰하였다. 이 과정에서 대상종인 삵의 출현정보를 이용하여 삵이 서식하기 적합한 지역을 추출하였으며, 삵의 생태적 특성인 이동거리를 고려한 기후적응지역을 선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후적응지역'을 선정하여 현재의 서식지와 미래 적합 서식지간의 연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하여 기존의 파편화된 서식지가 교란 또는 파괴되었을 때 대체서식지로 이용될 수 있는 기후적응지역 선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후적응지역'이란 기후변화 적응 도구(정책 등)를 집중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환경적 조건을 갖춘 지역으로 기존 서식지의 확대가 가능한 지역, 기존 서식지의 질 향상이 가능한 지역, 생물다양성을 집중적으로 보전해야하는 지역, 이와 더불어 적응 도구를 도입하였을 때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지역을 의미한다(Claire C.
  • Maxent를 통하여 파악된 삵의 적합 서식지와 토지피복도에서 추출한 산림 지역을 중첩하여 그림 2과 같이 실질적으로 서식하기 적합한 지역을 추출하였다. 삵은 우리나라 전역에서 서식이 가능하나 산림을 핵심 서식지로 이용하는 특성을 가지며 장기적인 생물다양성 보전 측면을 고려하고자 산림지역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서식 가능한 지역을 파악하였다.
  • 잠재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서식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삵이 필요로 하는 서식면적을 파악하였다. 태국의 연구에서는 총 20개체의 삵을 모니터링한 결과 평균 행동권의 크기가 1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유일한 고양잇과 야생동물로 멸종위기종 Ⅱ급에 해당되는 동물은? 우리나라 생태계를 대표하는 깃대종인 삵(Prionailurus begalensis)을 대상종으로 선택하였다. 은 우리나라 내륙 전역에 서식하고 있는 유일한 고양잇과 야생동물(최태영 외., 2009)로 멸종위기종 Ⅱ급에 해당된다.
삵의 특성은? , 2009)로 멸종위기종 Ⅱ급에 해당된다. 삵은 넓은 행동반경과 이동거리로 인해 서식지의 외부 환경을 많이 이용하는 특성을 보유하고 있다. 삵은 우리나라 전 지역에 걸쳐 서식이 가능하나 산림지역을 핵심 서식지로 이용하고 산림경계 주변 초지 등에서 먹이활동을 하는 종이다.
삵의 서식적지를 파악하기위한 Maxent(Maximum entropy method)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3을 이용하였다. Maxent는 종의 출현정보를 기반으로 종의 지리적인 분포를 예측하는 모델이며 입력변수가 부족한 상황에서도 목표종의 서식지를 분석할 수 있다(Philips et al., 2006). Maxent 모형은 회귀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야생동물의 출현정보를 바탕으로 최대 엔트로피 접근법(Maximum entropy approach)을 통해 야생동물의 분포를 예측한다(이동근 외., 2010). 모형의 종속변수로는 출현정보가 독립변수로는 환경변수가 입력된다. 모델의 결과물로는 Habitat Suitability Index(HSI)가 도출되며 0(비출현)과 1(출현)의 서식지 적합성이 분석된다(Philips and Dudik, 2008). 삵의 출현 정보는 제 2차 「전국자연환경조사」(1997-2003)를 참고하였으며 삵의 출현지점을 이용하여 Maxent 모형을 구동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이동근?김호걸. 2010. Maxent 모형을 이용한 서식지 잠재력 평가 -하천으로부터의 거리, 하천의 차수, 토지이용을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학회 13(6):161-172. 

  2. 이동근?박찬?송원경. 2008. 경관의 특성에 따른 동물의 이동경로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17(2):133-141. 

  3. 이동근?송원경. 2008. 삵의 서식지 적합성 평가를 위한 분석단위 설정 및 보전지역 설정-충청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6 (5):64-72. 

  4. 최태영?박종화. 2009. 농촌지역의 삵 행동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9(1):56-58. 

  5. 최태영?최현명. 2007. 야생동물 흔적도감. 돌베게. 

  6. Butchart S. H. M., A. J. Stattersfield, J. Baillie, L. A. Bennun, S. N. Stuart, H. R. Akcakaya, C. Hilton-Taylor and G. M. Mace. 2005. Using red list indices to measure progress towards the 2010 target and beyond. Phil. Trans R. Soc. B360:255-268. 

  7. Cabeza and Moilanen, 2001. Design of reserve networks and the persistence of biodiversity. Trends in Ecology & Evolution, 16(5):242- 248. 

  8. Camille Parmesan, Nils Ryrholm, Constanti Stefanescu, Jane K. Hill, Chris D. Thomas, Henri Descimon, Brian Huntley, Lauri Kaila, Jaakko Kullberg, Toomas Tammaru, W. John Tennent, Jeremy A. Thomas and Martin Warren. 1999. Poleward shifts in geographical ranges of butterfly species asso- ciated with regional warming. Nature 399:579-583. 

  9. Chris D., Thomas, Alison Cameron, Rhys E. Green, Michel Bakkenes, Linda J. Beaumont, Yvonne C. Collingham, Barend F. N. Erasmus, Marinez Ferreira de Siqueira, Alan Grainger, Lee Hannah, Lesley Hughes, Brian Huntley, Albert S. van Jaarsveld, Guy F. Midgley, Lera Miles8,15, Miguel A. Ortega-Huerta, A. Townsend Peterson, Oliver L. Phillips and Stephen E. Williams. 2004. Extinction risk from climate change. Nature 427:146-148. 

  10. Claire C. Vos, Dirk C. J. van der Hoek and Marijke Vonk. 2010. Spatial planning of a climate adaptation zone for wetland ecosystems. Landscape Ecol. 25:1465-1477. 

  11. Davis M. B., and R. G. Shaw. 2001. Range shifts and adaptive responses to Quaternary climate change. Science 292:673-679. 

  12. Grassman, L. I., Michael E. Tewes, Nova J. Silvy and Kitti Kreetiyutanont. 2005. Spatial organi- zation and diet of the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in north-central Thailand. Journal of Zoology(London) 266:45-54. 

  13. Heller N. E., and Zalvaleta E. S. 2009. Biodiversity management in the face of climate change:a review of 22 years of recommendation. Biol Conserv. 142:14-32. 

  14. IPCC. 2007. Climate change. In; Parry M. L., Canziani O. F., Palutikof j. p., Van Der Linden P. J., Hanson C. E. (eds)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5. Kuemmerle, T., K. Perzanowski, O. Chaskovskyy, K. Ostapowicz, L. Halada, A.-T. Bashta, I. Kruhlov, P. Hostert, D. Waller and V. C. Radeloff. 2010. European Bison habitat in the Carpathian Mountains. Biological Conservation 143:908-916. 

  16. Oh, D. H., Shusaku Moteki, Nozomi Nakanish and Masako Izawa. 2010. Effects of human activities on home range size and habitat use of the Tsushima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euptilurus) in a suburban area on the Tsushima Island, Japan. J. Ecol. Field Biol. 33:3-13. 

  17. Opdam P., Eveliene Steingrover and Sabine van Rooij. 2006. Ecological networks:A spatial concept for multi-actor planning of sustainable landscap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5:322-332. 

  18. Opdam P., Pouwels R., Sabine van Rooij, Steingrover E., and Vos Claire C. 2008. Setting biodiversity targets in participatory regional planning:Introducing Ecoprofiles. Ecology and Society 13(1):20. 

  19. Opdam P., and Wascher D.. 2004. Climate change meets habitat fragmentation:linking landscape and biogeographical scale levels in research and conservation. Biological Conservation 117:285-297. 

  20. Palomares, F., Delibes, M., Ferras, P., Fedriani, J. M., Calzada, J., and Revilla. E. 2000. Iberian lynx in a fragmented landscape:Predispersal, dispersal and postdispersal habitats. Conservation biology, 14(3):809-818. 

  21. Parmesan and Yohe. 2003. A globally coherent fingerprint of climate change impacts across natural systems. Nature 421:37-42. 

  22. Philips J. Steven and Dudik Miroslav. 2007. Modeling of species distribution with Maxent: new extensions and a comprehensive eval- uation. Ecography 31:161-175. 

  23. Steven J. Philips, Robert P. Anderson and Robert E. Schapire. 2006. Maximum entropy mod- eling of species geographic distributions. Ecological Modeling 190:231-259. 

  24. Sykes, M. T., and Prentice, I. C., 1996. Climate change, tree species distributions and forest dynamics:a case study in the mixed conifer/ northern hardwoods zone of northern Europe. Climatic Change 34:161-177. 

  25. Theobald, D. M. 2004. Modeling functional land- scape connectivity using effective distance and graph theory.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Landscape Ecologist, Las Vegas. NV, April 1. 

  26. Verboom, J., Foppen, R. P. B., Chardon, J. P., Opdam, P. F. M., and Luttikhuizen, P. 2001. Introducing the key patch approach for habitat networks with persistent populations: an example for marshland birds. Biological Conservation 100:89-1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